[우난순의 식탐]사랑꾼인 당신, 굴 한번 잡숴봐!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사랑꾼인 당신, 굴 한번 잡숴봐!

  • 승인 2018-02-09 09:00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180208_184012338
희대의 바람둥이 카사노바는 여자 못지 않게 먹는 걸 좋아했다. 먹는 것과 키스는 입과 관련돼 있으니 식욕과 성욕은 통한다는 얘기가 괜한 말은 아닌 듯 싶다. 입술과 혀와 목젖을 건드리며 그 무엇이 넘어가는 통로인 목구멍은 음식을 먹고 삼키고 혹은 빨고 핥는 행위를 목적으로 한다. 카사노바는 음식을 통해 여자를 유혹하는 데 능수능란했다. 자신 또한 맛있고 몸에 좋다는 건 다 찾아먹는 미식가였다.

굴은 오래 전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의 식탁에 올랐다. 고대 로마 황제를 비롯 클레오파트라, 한국의 고대 조개무지에서도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카사노바도 굴을 꽤 즐겨 먹었다. 천하의 사랑꾼 카사노바는 하루에 생굴을 50알씩 먹었다고 한다. 여자를 즐겁게 해주기 위해서였다. 굴이 정력에 좋다는 건 꽤 일리가 있다. 굴에는 철분, 칼슘, 아연이 풍부하다. 그래서 굴을 바다의 우유 내지는 바다의 소고기라고 한다. 그 중 아연은 정력을 높이는데 필요한 영양소다.

굴은 찬바람이 부는 초겨울부터 2월까지 먹어야 제대로 맛을 볼 수 있다. 5월부터 8월까지는 독이 있어 먹으면 안 된다. 설 무렵인 이맘 때가 딱 제철이다. 시베리아를 방불케 하는 매서운 추위로 꼼짝 못하고 방안에만 틀어박혀 있으니 이거야말로 산송장이나 다름없다. 춥다는 핑계로 운동을 안 한지 달포가 넘어가는데 이 놈의 식욕은 365일 왕성하다. 늦은 밤 라면에 찬밥 말아먹는 일이 잦아졌다. 어느새 몸의 움직임이 둔해지면서 몸 여기저기서 살찌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매일 먹는 밤참이 꿀맛이긴 한데 뭔지 모를 불쾌감이 스멀스멀 피어오른다.

중무장을 하고 우리 식구는 보령 천북으로 갔다. 청양고추처럼 매서운 바람에 코끝이 알싸하다. 그래, 이런 때 굴을 먹어줘야 해! 굴 마을은 패딩으로 무장한 사람들로 바글바글했다. 한 솥 가득 굴찜이 나왔다. 껍데기를 벌려 발라먹는 재미가 쏠쏠했다. 굴 껍데기 까는 솜씨가 서툰 날 보던 언니가 혀를 차더니 접시에 굴 알맹이를 연신 던져줬다. 졸깃한 굴을 조심스럽게 씹었다. 혹시라도 흑진주가 나올 지 누가 아나? 역시나 흑진주는 없었다.



굴은 역시 생굴이 최고다. 굴구이, 굴 밥, 굴국, 굴 전, 굴 떡국, 굴 생채 등 굴을 이용한 음식은 많다. 그렇지만 굴은 날 것 그대로 다른 것과 섞이지 않은 굴 자체로만 먹어야 맛있다. 한 접시에 1만원하는 생굴을 두 접시 시켰다. 비릿한 향과 함께 미끈덩한 덩어리가 씹을 새도 없이 목젖을 건드리고 쑥 넘어갔다. 굴은 특유의 느낌 때문에 호불호가 갈린다. 입안 가득 차는 물컹한 촉감과 비릿한 바다내음이 어떤 사람에겐 생소하다. 음식도 자꾸 먹어봐야 세련된 감각이 생긴다.

천생 촌사람인 아버지는 굴을 좋아하신다. 예전에 엄마는 겨울이 오면 종종 생굴을 사오시곤 했다. 어린 나는 그 낯선 향과 혀에 닿는 야릇한 부드러움이 영 어색했다. 초고추장에 찍어 먹으면 그나마 양념 맛으로 먹을 수 있었다. 아버지와 엄마는 식성이 좋으시지만 취향은 정반대다. 아버지는 된밥과 국물 없는 반찬, 쇠고기를 좋아하신다. 엄마는 반대로 진밥과 국 종류, 돼지고기를 잘 드신다. 요즘 옆에 사는 언니가 피곤하다며 하소연을 자주 한다. 아버지 성품에 밥상머리에서 뭐라뭐라 하시진 않는다. 좋아하는 건 더 잘 드시고 안 좋아하는 건 덜 드시기 때문에 식구들이 눈치가 보이는 것 뿐이다. 입맛이 다른 아버지 때문에 조금은 성가셨을 엄마가 굴만은 정성스럽게 챙긴 연유로 6남매를 둔 건 아닐까.

오래 전 친구와 선유도를 간 적이 있다. 8월 말이었다. 바캉스 시즌이 끝나갈 무렵이어서 섬은 쓸쓸했다. 물 밀 듯이 밀려와 한꺼번에 떠난 피서객들의 잔상이 곳곳에 배어 있어 더더욱 적막감이 묻어났다. 우리는 바닷가 자그마한 슈퍼 옆 평상에 누워 쏟아지는 졸음에 꾸벅거리고 동네 개인 듯한 백구도 졸린 건 마찬가지였다. 늦은 오후 예쁘장한 학교에서 철봉에 매달려 운동하는 햇병아리 남자 선생님을 봐도 설레지가 않았다. 자전거를 타고 섬 둘레를 한바퀴 돌았지만 친구와 난 영 기운이 안 났다. 저녁도 먹는 둥 마는 둥 자고 배가 고파 아침에 일찍 일어났다. 변변한 식당도 없어 주린 배를 잡고 바닷가 바위에 붙은 굴을 깨뜨려 콩알만한 알맹이를 정신없이 먹었다. 어찌나 짠 지 나중엔 속이 울렁거렸다. 급기야 친구가 뻘에 들어갔다가 발이 안 빠져 동네 총각이 달려와서 도와줬다. 그 총각은 재밌어 죽겠다는 듯이 연신 싱글벙글 했다. 올 겨울이 가기 전에 짭쪼롬한 굴 한번 더 먹어야겠다.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