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명절 고기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명절 고기

  • 승인 2018-09-26 00:52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또 무국
가을 하늘 공활한데 높고 구름없이 청명한 계절에 맞는 한가위. 낼 모레면 50 중반을 바라보는데도 명절만 되면 아직도 설렌다. '이쁜이 꽃분이 모두 다 반겨주는데~'. 마음은 벌써 고향으로 한달음 달린다. 뭐 기혼여성들은 머리 깨나 아프겠지만 말이다. 집 떠나 객지생활 하다 보면 먹는 게 영 시원찮다. 이런 말이 있잖나. '객지 밥은 먹어도 살로 안 간다'고. 하여 난 설이든 추석이든 명절만 되면 벼른다. 평소 굶주렸던(?) 내 위장의 못다한 한을 맘껏 풀어주리라!

요즘은 명절이어도 일가친척 왔다갔다 하지 않는 게 세태인 것 같다. 우리 집도 친척이 없어 식구들끼리 밥 먹고 성묘갔다 오는 게 전부다. 점심 먹고 하품 한 두번 하다 으레 늘어지게 낮잠 한번 자야 명절의 대미를 장식하는 것이다. 반면 뱃속에 거지가 든 나는 생쥐 풀 방구리 드나들 듯 부지런히 주방을 들락거린다. 올 추석도 음식이 진수성찬이다. 눈이 짓무르도록 TV를 보다 접시에 전을 이것저것 담아와 거실에서 두 다리 쭉 뻗고 먹기 시작했다. 창 밖으로 훤히 보이는 들판은 곧 황금빛으로 물들 것이다. 가을의 따사로운 햇살이 거실 한 켠에 슬그머니 기어들어와 자릴 잡았다. 365일 한가위만 같으면 원이 없겠다. 여하튼 동그랑땡, 단호박·가지·버섯·명태전 등 먹을 게 쌓였다. 그 중 돼지고기 간 것을 듬뿍 넣고 청양고추를 넣어 매콤한 동그랑땡에 손이 자꾸 간다. 냠냠 쩝쩝. 옆에서 엄마가 그런 날 물끄러미 보더니 한 마디 한다. "넌 먹는 게 다 어디로 가니?"

어릴 적 명절 날 아침 우리는 큰아버지 집으로 갔다. 의례적으로 가야 하는 일이었지만 썩 즐겁진 않았다. 일단 큰아버지가 어렵고 불편했다. 큰아버지의 괴팍한 성격은 동네에서 소문났다. 거기다 자린고비여서 도대체가 돈 쓸 줄을 모르는 분이었다. 못살던 예전 어른들이 다 그렇긴 하지만 큰아버진 유별났다. 오래된 집이 하도 누추하고 좁아서 자식들이 집을 새로 짓자고 성화였지만 돌부처 저리가라 꿈쩍 안했다. 추석날 아침 제사지내고 큰아버지, 아버지, 오빠들은 안방에서 밥을 먹는다. 방이 워낙 좁아 온 식구가 같이 먹을 수 없기 때문이다. 나머지 여자들은 윗방에서 먹어야한다. 그런데 윗방은 손바닥만큼이나 작다. 콩알만한 전구가 천장에 위태롭게 매달린 윗방은 컴컴한 동굴이나 다름없다. 오래된 이불보따리, 이런저런 물건들이 들어차서 쾨쾨한 냄새도 난다.

차디찬 방바닥은 고릿적에나 볼 수 있는 빳빳한 장판이 깔려 있다. 우리는 앉지도 못하고 서성이다 밥상에 둘러 앉는다. 말소리 크게 내는 걸 질색하는 큰아버지 안 들리게 여자들은 소곤소곤 키득거리면서 그제서야 제삿밥을 먹는다. 멀리서 보면 고흐의 '감자 먹는 사람들'과 영락없다. 희미한 불빛을 받으며 조악한 밥상 앞에서 머리를 맞대고 구차하게 밥먹는 모습이 떠오른다. 무나물, 고사리 볶음, 전, 홍어무침 등과 탕국. 그런데 큰어머니의 탕국은 언제나 맛있었다. 명절에나 먹어본 소고기 탕국. 그땐 돼지고기도 귀해서 어쩌다 먹을 수 있었다. 하물며 소고기는 어떻게 생겼는지, 맛이 어떤지 사실 잘 모르던 시절이었다. 귀해서 맛있고 큰어머니의 손맛이 남달랐다. 아마 간장 맛이 특별한 것 같기도 하다. 음식은 베이스가 중요하다. 장 맛이 좋아야 한다는 얘기다.



이젠 명절에나 먹는 고기가 아니다. 사시사철 물리게 먹는 게 고기란 말씀이다. 흔해서 그런지 예전처럼 맛있는 줄을 모르겠다. 뭐든 조금 부족해야 갈망하게 된다. 남녀간의 사랑처럼 말이다. 큰아버지, 큰어머니가 돌아가신 지금, 맛있는 탕국 먹을 일도 없어졌다. 호랑이 큰아버지의 땡 고함이 지금도 귓가에 쟁쟁하다.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서럽고 그리운 법이다. <미디어부 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제천서 실종된 40대 남성… 여전히 행방묘연
  2. 이장우 "3대하천 준설 덕에…더는 물난리로 불편 없도록"
  3. 대전천 휩쓸린 50대 숨진채 발견…대전충남 폭우 4명 사망
  4. 8년간 재활용품 수집으로 모은 1천만원 기부한 86세 이형진 할아버지
  5.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1. 서울 집값 24주 연속 상승… 대전은 27주 연속 하락 '양극화' 뚜렷
  2. 문화유산회복재단, 유성구청 업무협약 맺고 학생 실감교육 실시
  3.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7월18일 금요일
  4.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5.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등용과 정리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더불어민주당 8·2 전당대회 첫 지역 순회 경선인 충청권 권리당원 선거인단 투표에서 정청래 후보가 62.77%의 득표율로 중원을 민심을 잡으면서 기선을 제압했다. 그러나 정작 충청권 강력 반발하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논란에 대해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등 세 명의 후보 모두 한마디도 하지 않아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19일 민주당에 따르면, 충청권 권리당원 투표 결과 정청래 후보가 3만 5142표(62.77%)를 획득하며 2만 846표(37.23%)를 얻은 박찬대 의원을 큰 격차로 제쳤다. 투표에는 전체 권리당..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올해로 10회를 맞은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KITS:Korea International Tourism Show)가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홀에서 열린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KITS조직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전시산업원이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관광업계 정보 제공의 장과 관광객 유치 도모를 위한 비즈니스의 장을 마련해 상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KITS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별 특색을 살린 여행 콘텐츠와 국제 관광도시 및 국가 홍보, 국내외 관광 콘텐츠 간 네트워..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