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59강 사금갑(射琴匣)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59강 사금갑(射琴匣)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02-23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작성자김용복|작성시간21.02.20|조회수19

제59강 : 射琴匣(사금갑) : 거문고 상자를 쏴라

글 자 : 射(궁술 사, 쏠 사) 琴(거문고 금) 匣(갑 갑, 작은 상자 갑)



출 전 : 삼국유사 기이편(三國遺事 紀異篇), 동국통감(東國通鑑)

비 유 : 왕은 하늘에서 보호하는 초월적 존재, 그리고 정월 보름날 찰밥 먹는 유래



신축(辛丑)정월 초하루(설)를 맞아 즐거운 한 때를 보낸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보름이 지나는 정월 대보름이 내일 모레이다. 세월이 참 빠르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한다.

정월의 보름달은 지구와 달의 거리가 평소보다 가장 가까워지는 시기에 뜨는 보름달이라 하여 대보름(일명 슈퍼문)이라고 한다. 대보름달은 다른 보름달보다. 16% 이상 크고, 30% 이상 밝다고 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밝은 달에 정성을 들여 한 해의 개인 소원과 모두의 소망인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 등 신령한 행위와 축제를 통해 새로이 시작되는 한 해에 대하여 마음의 준비를 한다. 정월 대보름에 얽힌 고사를 살펴보자.

신라 제21대 비처왕(毗處王/일명 소지왕(炤知王)10년(488년) 1월 15일, 왕이 금오산에 있는 천천정(天泉亭)에 거동했다. 이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우는데, 쥐가 사람 말로 이르기를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따라가 보시오"했다.

왕이 자기가 직접 갈 수 없어 기사(騎士)에게 명하여 까마귀를 따르게 한 바, 남쪽의 피촌(避村)이라는 마을에 이르렀는데, 그곳에서 돼지 두 마리가 서로 싸우고 있는 것을 보고 이를 한참 구경하다가 구경에 정신이 팔려, 까마귀가 간 곳을 잊어버리고 말았다. 기사는 크게 당황하며 까마귀를 찾기 위해 길 주변을 배회하고 있었다. 이때 한 노인이 연못 가운데로부터 걸어 나와 기사에게 한 통의 글을 바치며 왕께 갖다드리라 하고 사라졌다.

기사는 그 글을 왕께 바쳤고 왕이 봉투를 받아보니 겉봉에 다음과 같이 적혀있었다.

'열어보면 두 사람이 죽고 안 열어보면 한 사람이 죽을 것(開見則二人死 不開則一人死)'이라고 쓰여 있었다. 왕은 두 사람보다 한 사람이 죽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서 열어보지 않으려 하였으나, 일관(日官)이 아뢰기를 "두 사람은 보통사람이고 한 사람은 임금을 가리키는 것이니 열어보셔야 합니다"라고 하므로 봉투를 열어보니, 그 속에는 하얀 종이에 정성스레 쓴 글씨로 '궁중의 거문고 상자를 쏴라(射宮中琴匣/사궁중금갑)'라고 쓰여 있었다.

왕이 편지를 보고 급히 궁으로 돌아와 왕의 거실에 들어가니 침대 옆에 놓아둔 거문고갑이 눈에 들어왔다. 왕이 지체없이 활로 거문고갑을 쏘자, 그 안에 평소 왕비와 정(情)을 통하여오던 중(僧)이 왕비와 함께 숨어있었다. 그들은 장차 왕을 해치고 왕이 되려고 숨어있던 것이었다. 이러한 일이 있은 후 왕은 정월보름을 '오기일(烏忌日)'이라 정하고 찰밥(오곡밥)으로 까마귀에게 공양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 사금갑 사건 이후로 매년 정월 첫 돼지, 쥐, 말의 날에는 모든 일을 삼가고 동작을 함부로 하지 않는다고 삼국유사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날엔 까마귀에게 찰밥으로 공양하며 제사를 지내는 풍속으로 계속 이어졌고, 다른 말로는 연못에서 글이 나왔다고 해서 '서출지(書出池)'라고도 한다.

까마귀는 조선시대의 '흉조(凶鳥) 까마귀'라는 인식과 달리, 고려시대까지만 해도 삼국유사 표현을 빌어 '영험하고 빛을 상징하는 짐승'으로 여기고 신령하게 생각했다. 그리고 그날 이후 정월보름날 오곡밥을 지어 먹는데, 오곡밥은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으면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여 여러 집의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었다고 한다.

이제까지 전해지는 대보름날의 풍속은 다양하고 의미가 깊은 놀이와 행사로 이어져 왔는데, '개 보름 쇠듯 한다'는 속담처럼 개에게 음식을 주지 않았는데, 만약 음식을 주면 여름에 파리가 많이 꼬인다고 하여 굶기기도 했다. 또한 아침에 소에게 나물과 밥을 줘서 밥을 먼저 먹으면 풍년이, 나물을 먼저 먹으면 흉년이 든다고 농사일을 점치기도 했다.(일명 農占/농점).

이어지는 풍속놀이는 각 지방마다 다르지만 맥기풍(麥祈風), 찰밥(오곡밥)과 묵나물 먹기, 부럼, 농점(農占/소밥주기), 달맞이, 쥐불놀이 등에, 아이들은 연 날리기, 바람개비, 실 싸움, 돈치기를 했고, 어른들은 놋다리밟기, 횃불싸움, 줄다리기, 동채싸음 등 다양한 놀이와 행사를 즐겼다.

올해는 2월 26일이 정월 대보름으로 예로부터 정월 대보름을 '상원(上元), 또는 오기일(烏忌日)'이라고도 한다. 상원은 중원(中元·7월 15일), 하원(下元·10월 15일)과 함께 삼원(三元) 중 하나로 설날만큼이나 비중을 크게 여겼다. 설날부터 대보름까지는 빚 독촉도 하지 않았으며, 세배를 드릴 수 있는 마지막 날이기도 하다.

오늘날에는 다양한 서양문화와 놀이가 유입되어 성행하므로 우리의 의미 깊은 풍속이 점점 사라져 가는 것이 매우 아쉽고 안타깝다.

세상은 변해도 민족의 혼(魂)과 미풍양속은 면면히 이어지길 바랄 뿐이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fc30925e80329d655df4623727c202024b6979b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원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했다. 이에 따라 이 후보는 서울고법에서 다시 재판받아야 한다. 서울고법은 대법원의 판단 취지에 기속되므로 유죄를 선고해야 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박영재 대법관)는 5월 1일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대법원은 지난 3월 28일 사건을 접수한 뒤 국민의 관심이 지대하고 유력 대권 주자인 이 후보의 피선거권 여부가 달려있다는 점을..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