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60강 처선지용(處善之勇)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60강 처선지용(處善之勇)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03-02 10:48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60강 處善之勇(처선지용) : 처선(處善/조선 연산군시절의 내시)의 용기

글 자 : 處(살 처/머물다) 善(착할 선) 之( ~의, 관형격 조사) 勇(날쌜 용)



출 전 : 조선오백년야사(朝鮮五百年野史)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비 유 : 최악의 상황이 닥친 것을 알면서도 불의에 맞서 바른말을 하는 용기





처선지용(處善之勇)은 조선 연산군 시절 내시(內侍) 김처선(金處善)의 불의(不義)에 대응한 강직한 행동에서 유래되었다.

조선 최고의 암군(暗君)인 10대 연산군(燕山君.1476~1506)의 성품이 날로 포악(暴惡)해지고 방탕(放蕩)이 극(極)에 달해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나 조정 대신들은 직언(直言)을 했다가는 자신의 목숨이 위태로울 것이 뻔했으므로 아무도 말을 못하고 오히려 아첨(阿諂)만 일삼았다.

이러한 때 환관 김처선(金處善, ?~1505)은 나라 꼴이 이 지경인데도 아무도 용기 있게 나서서 간언(諫言)하는 사람이 없음을 안타까워한 나머지 자신이 죽음으로써 이 잘못된 군주의 불의(不義)의 행동을 바로잡을 결심을 하고 가족들에게 말했다.

"내가 오늘 입궁하면 살아서 돌아오지 못할 테니 그리 알라." 그러고는 집을 나섰다.

그날도 연산군은 많은 궁녀들을 거느리고 자신이 창안한 음란한 놀이 처용희(處容戱)를 벌이고 있었다. 이에 이미 각오한 김처선이 분연한 자세로 연산군에게 아뢰었다.

"늙은 놈이 지금까지 일곱 분의 임금을 섬겼고, 글도 조금 읽었습니다마는, 고금에 전하와 같은 분은 처음입니다. 부디 이성을 찾으시어 헐벗고 굶주린 백성들에게 선정(善政)을 베푸시옵소서!"

배석했던 대신들은 질겁을 했다. 아니나 다를까, 불같이 노한 연산군이 김처선을 향해 직접 활을 쏘니 화살이 그의 옆구리에 박혔다. 그래도 그는 의연하게 말했다.

"늙은 내시(內侍)가 어찌 목숨을 아끼겠습니까? 전하께서 오래도록 용상을 지키시지 못할까 봐 그것이 두려울 뿐입니다."

더욱 화가 난 연산군은 이번엔 김처선의 다리를 쏘았다. 그가 쓰러지자 연산군이 소리쳤다.

"일어나서 걸어라. 어서 걸으란 말이다!" 김처선은 연산군을 똑바로 쳐다보면서 말했다.

"전하께서는 다리가 부러져도 걸어 다닐 수 있습니까?"

그래도 김처선이 간(諫)하기를 그치지 아니하자 연산군은 그의 다리와 혀를 자르게 하여 죽이고 말았다. 그러고 나서도 분이 풀리지 않아 그의 가족들까지 참수하고, 그래도 모자라 그의 부모의 무덤까지 파헤치게 했다.

김처선은 비록 환관(宦官)이긴 했으나 참다운 용기를 지닌 진정한 신하(臣下)였다.

내시 김처선의 본관은 전의(全義/지금의 세종시)이고 그는 내시로서 세종 때 입궁하여 연산군에 이르기까지 일곱 임금을 시종하였다.

문종 때 영해로 유배되었다가 단종 때 귀양이 풀리고 직첩이 되돌려졌으나, 1455년(단종 3) 정변에 관련되어 삭탈관직당하고 유배되어 본향의 관노가 되었다.

세조 때 다시 복직되어 1460년(세조 6) 원종공신(原從功臣) 3등에 추록되었으나, 다시 세조로부터 시종이 근실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미움을 받아 자주 장형(杖刑)을 당하였다. 성종으로부터는 전어(傳語: 통역)에 공이 있고, 의술을 알아 대비의 신병 치료에 이바지하였다고 하여 가자(加資)되고 상급을 받기도 하였으며 품계가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이르렀다.

그 뒤, 연산군이 즉위하자 다시 시종에 임하였으나 직언(直言)을 잘하여 미움을 받던 중 1505년 죽음을 무릅쓰고 임금의 비행을 직간하다가, 연산군에 의해 직접 다리와 혀가 잘리고 죽음을 당하였다. 연산군은 김처선의 양자인 이공신(李公信)과 7촌까지도 연좌시켜 처형하고 본관인 전의(全義)도 없앴다.

그리고, 조야(朝野)에 명하여 '處(처)'자(字)와 '善(선)'자(字)를 이름에 쓰지 못하게 하였다. 그 뒤 약 250년이 지난 1751년(영조 27)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동양의 철인(哲人) 장자(莊子)는 '곧은 나무가 먼저 베어지고, 맛있는 샘물은 먼저 마른다.(直木先伐 甘井先竭/직목선벌 감정선갈)'라고 했다.

같은 의미이지만 당태종(唐太宗)의 언행록이라는 오긍(吳兢)의 정관정요(貞觀政要)에 '나무는 먹줄을 따르면 곧아지고, 임금은 간언(諫言)을 따르면 성스러워진다(木從繩則正 君從諫則聖/목종승즉정 군종간즉성)'이라 했다.

요즈음 최고 권력에 맞서는 참다운 인재를 보게 되어 신선함을 더해 준다.

법과 질서를 존중하고 국민 편에 서서 온갖 고초를 감내하는 최감사원장, 윤검찰총장, 신청와대 민정수석 등이 대중에 많이 회자(膾炙)되는 까닭은 정의를 위한 맡은 바 본연의 임무에 충실한 용기와 소신 있는 업무수행이기 때문일 것이다.

5-장상현-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2.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3.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4.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5. <인사>대전시
  1.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2.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3.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4.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5. [한성일이 만난 사람]김용교 전 아산시 부시장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이재명 정부가 국가공무원법상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 것을 둘러싸고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뜨겁다. 일선 현장에선 76년 만에 독소조항 폐지 기대감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문화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환영기류가 우세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 일각에선 개정안 국회 통과 때 자칫 지휘체계가 휘청이면서 오히려 주민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6일 대전 지역 공직사회에 따르면 인사혁신처가 전날 입법 예고한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둘..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