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65강 한식(寒食)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65강 한식(寒食)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04-06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65강 : 한식(寒食) : 차가운 음식을 먹는다.

글자 : 寒(찰 한), 食(밥 먹을 식)

출처 : 춘주좌씨전(春秋左氏傳), 열국지(列國志)

비유 : 군주가 은혜를 잊고 참회함 / 끈기, 충성, 효성, 청렴한 사람을 비유





한식(寒食)은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매년 청명(淸明) 다음날이거나 같은 날이다. 설날, 단오(端午), 추석(秋夕)과 함께 우리의 전통 4대 명절에 속한다.

계절적으로는 한 해 농사가 시작되는 시기이며 조상의 무덤을 보수하는 때로 여겨져 왔다. 한식은 원래 중국에서 들어온 절기였으나 한국에 토착화되었다. 지역적으로는 한반도 북쪽지역이 남쪽지역에 비해 더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

한식은 중국춘추시대 진(晉)나라 문공(文公)과 개자추(介子推)〉의 일화에서 유래했다.

중국 춘추시대에 진헌공(晉獻公)에게는 본처(本妻)의 아들 세 명과 첩(妾)의 아들 두 명이 있었다. 헌공은 첩(여희)을 총애했고 여희는 헌공이 죽으면 자기와 아들 두 명의 운명을 걱정하여 헌공으로 하여금 이미 태자로 임명된 본처의 맏아들 신생(申生)을 죽이고, 둘째 아들 중이(重耳)와 셋째 아들 이오(夷吾)를 제거하기 위해 병력을 동원하였으나 두 명의 공자는 진나라를 탈출하여 망명의 신세가 되었다.

둘째 공자 중이는 인품도 훌륭하고 끈기와 용맹을 겸비한 청년으로 대부분 타국에서 환영을 받았다. 그러다 작은 나라인 위(衛)나라를 방문하였는데 위나라는 쫓겨 다니는 중이를 환영하면 혹 진나라의 분노를 살 것 같아 박대하며 쫓아버렸다. 설상가상으로 그 망명의 무리들 중에 두수라는 자가 중이 일행의 돈과 패물 등을 훔쳐 도망하는 바람에 그 일행들은 굶주리고 피로하여 움직일 기력조차 없는 상황이 되었다.

중이도 지쳤고, 그를 따르는 10여 명의 수행자들도 지쳤는데 중이가 느닷없이 혼잣말로 "아! 고깃국 한번 먹어보았으면"고 하니까 모든 수행원들이 중이를 원망스럽게 생각하고는 고깃국은 커녕 밥이라도 실컷 먹었으면 하는 눈치이다.

그때 일행 중 개자추(介子推)라는 신하가 슬쩍 무리에서 나와 없어졌다. 조금 지나가자 다시 그가 나타났는데 어디서 났는지 고깃국 한 그릇을 들고 와서 중이에게 바친다. 중이가 깜짝 놀라 고깃국을 먹으면서 어디서 구했느냐고 물으니 개자추가 돌아서면서 작은 소리로 "공(公)을 위해 자기 허벅지 살을 떼어 그 살로 국을 끓였습니다"라고 말을 하였다. 중이는 그때 눈물을 흘리며 많은 것을 느끼고 다시는 밥 타령을 포함한 어떠한 불평도 하지 않고 오직 고국으로 돌아가 진(晉)나라의 군주가 될 것을 가슴속 깊이 맹세하였다.

한편 진나라는 내부의 권력투쟁 때문에 여희와 그의 아들들이 살해당하고 내분에 의해 나라 사정이 복잡해지면서 망명하고 있는 중이를 다시 모시게 되었고, 귀국한 중이는 진나라 군주가 되어 문공(文公)이라는 칭호를 받으며 망명생활(19년)했던 쓰라린 교훈을 생각하며 진나라를 잘 다스려 춘추오패(春秋五覇)중 두 번째 패권국이 되었다.

진(晉)나라 군주가 된 문공(文公, 중이)은 나라의 질서를 바로잡고 다시 시작하는 차원에서 논공행상(論功行賞)을 하였는데 망명생활을 같이한 신하들은 거의 1~2등 공신에 임명하였다. 그런데 어떻게 잘못하여 개자추를 공신명단에서 빠뜨렸다.

이때 개자추는 어머니를 모시고 살고 있었는데 공신명단에 빠진 것을 알면서도 항의조차 하지 않고, 어머니를 모시고 멀리 면산(綿山)에 은거하며 어머니께 효도하며 잘 살았다.

한편 이 사실을 늦게 알게 된 문공은 부랴부랴 개자추를 찾게 되었고, 면산까지 직접 가서 찾았으나 개자추가 산에서 나오지 않자 신하 중 한 명이 "개자추는 효성이 지극하여 산에 불을 지르면 나올 것"이라는 보고에 문공은 불을 질렀고 산이 다 탔으나 개자추는 결국 나오지 않았다. 문공이 군사를 풀어 수색해보니 큰 버드나무를 껴안고 새카맣게 탄 두 구의 시신이 발견되었다. 두말할 것 없이 개자추와 그의 어머니인 것이다.

유사성어로 '할고충군(割股忠君)과 포목소사(抱木燒死)'가 있다.

그 일을 직접 목격한 문공은 이에 그를 애도하는 뜻에서 이날부터 한 달 동안 불을 쓰지 않도록 조치하고 불이 없는 동안 모든 음식은 차게 먹도록 하여 개자추에 대한 미안함을 기리게 되었다. 그 후 세월이 지나면서 사람들은 찬 음식 먹는 기간을 한 달을 사흘로 사흘을 하루로 줄여 개자추를 기리고 있다.

요즈음은 사람들이 점점 사나워지고,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과격한 성격으로 변해가고 있는 것이 매우 안타깝다. 또 과거에 '군자국(君子國)'이라는 예의 바른 나라 소리를 듣던 윤리(倫理), 도덕(道德), 예절(禮節)조차 이제는 기대하지 못할 지경까지 왔다.

이에 사람들은 이렇게 잘못되어가는 사회 무질서를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기 때문이라고 주장 한다. 맞는 말이지만 필자는 학교 교육과 함께 부모에 의한 가정교육의 부재에서 오는 것이라 확신한다.

내가 부모님께 효도를 하면 그것을 보고 크는 아이들이 효도하지 않을 리가 없다.

내가 이웃 어른들을 공경하면 자라는 아이들이 그것을 보고 어른을 공경하지 않을 리가 없는 것이다.

사서(四書)중 대학(大學)에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라는 교훈이 있다. 수신이 먼저요, 그 다음은 가정을 잘 다스려야 나라가 잘 다스려지고, 천하가 평화로움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가정교육에 방점(傍點)을 찍고 싶다.

내가 도둑질하면서 아들에게 너희는 도둑질하지 말라고 하면 교육이 되겠는가?

상류기탁하류난청(上流旣濁下流難淸 / 윗물이 이미 흐린데 아랫물이 맑기는 어렵다)

지금 우리나라의 윗물은 정화될 수 없을 만큼 흐려있다. 아랫물까지 맑기를 기다린다는 것은 허무한 꿈이 아닐까 한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5-장상현-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내방] 구연희 세종시교육청 부교육감
  2. 김진명 작가 '세종의 나라'에 시민 목소리 담는다
  3.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026년 장애예술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 접수 시작
  4. 세종 '행복누림터 방과후교육' 순항… 학부모 97% "좋아요"
  5.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1. 세종시 빛축제, 시민 힘으로 다시 밝힌다
  2. 재난위기가정 새출발… 희망브리지 전남 고흥에 첫 '세이프티하우스' 완공
  3. 대전 향토기업 '울엄마 해장국'...러닝 붐에 한 몫
  4.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한국건축시공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5. 따르릉~ 작고 가벼운 '꼬마 어울링' 타세요!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