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시평] 사회적 대학, 대학의 새로운 길

  • 오피니언
  • 중도시평

[중도시평] 사회적 대학, 대학의 새로운 길

  • 승인 2023-10-31 17:14
  • 신문게재 2023-11-01 18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한밭대 오용준-1
오용준 한밭대 총장
대학은 무엇을 위한 기관일까? 최근 대학이 취업학원화 되었다는 비판이 심심치 않게 들려온다. 일반적으로 대학의 임무는 교육, 연구, 봉사로 인식되고 있다. 대학은 중세 이후 성직자, 법률가, 의사 등을 길러내는 교육기관으로 시작됐다. 과학 혁명기 이후 18세기 독일 훔볼트대학에 이르러서야 연구가 대학의 임무로 공식화됐다. 1980년대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대학이 연구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는 산학협력이 세 번째 임무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최근에는 이러한 산학협력의 영역이 더욱 확대돼, 대학이 지역사회와 함께 그들이 속한 커뮤니티를 발전시켜 나가는 사회적 대학(social university)이란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사회적 대학의 이상과 개념을 가장 잘 구현하고 있는 곳이 영국의 코번트리 대학이다. 1990년대 초반 우리나라의 산업대학에 해당하는 폴리테크닉 대학이 3만5000명 규모의 종합대학으로 승격돼 만들어진 이 대학은 영국의 명문대학 리그인 러셀그룹 대학들을 제치고 2018년에는 영국 12위 대학에 선정됐다. 2차대전 후 한때 전성기를 구가하던 도시인 코번트리는 유령도시로 불릴 만큼 침체기를 겪었지만, 지금은 이 대학으로 인해 영국의 문화도시(UK City of Culture 2021)로 선정돼 새롭게 활성화되고 있다. 여기에는 도심 한복판에 위치한 코번트리 대학의 자회사 격인 '코번트리 대학 사회적 기업(CUSE, Coventry University Social Enterprise)'에 비밀의 열쇠가 있다. CUSE는 사회적 기업가(social entrepreneur)를 키우는 공간이다.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사회적 임팩트를 만들어내는 사회적 기업 등의 비즈니스 교육, 창업지원, 허브센터, 생태계 구축 등의 역할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2018~2019년 기준 6667명의 학생, 교직원, 지역 주민들이 CUSE 활동에 참여하고, 15개의 사회적 기업을 설립했다고 한다. 1000명 이상의 학생, 교직원 등이 지역공동체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코번트리 대학은 사회적 임팩트(social impact)를 강조한다.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닌 사회적 실천을 강조하고, 대학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있다. 대학 내 30여 명의 교원과 40여 명의 박사과정 학생들이 함께 꾸려가는 '사회 비즈니스 센터(Centre for Business in Society)'가 이러한 임팩트를 만들어 내는 방법과 실천적인 비즈니스를 연구하고 있다. 정부가 손을 놓은 지역의 빈 수도원에 지역공동체가 중심이 된 공동체 이익회사(Community Interest Company)를 설립해 지역을 되살린 사례가 유명하다. 난민을 고용하고 생활임금을 지급하는 청소회사 '스프링 액션', 버려지는 음식과 굶는 사람들은 연결하는 소셜 비즈니스 '리얼 정크푸드' 모두 코번트리 대학의 작품이다. 이러한 사회적 대학의 핵심 개념 중의 하나가 '앵커 기관(Anchor Institution)'이다. 도서관이나 병원 등과 같이 지역사회에 깊이 뿌리박고 관여하며, 지속해서 존재하는 기관이라는 의미다. 예를 들어, 대학이 가진 부동산, 연구 자산 등을 통해 재화와 서비스를 조달하고, 지역경제 주체의 교육, 고용, 인큐베이팅 및 협력망을 통해 지역재생을 이끄는 협업사업을 수행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대학 리빙랩 네트워크 등의 사업을 통해 대학의 지역사회 기여, 사회문제 해결형 사업의 성공사례를 축적해 가고 있다. 필자가 재임하고 있는 한밭대의 경우에도 지역사회상생센터가 이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센터가 운영하는 대전지역사회문제은행은 지역의 문제를 대학의 구성원과 연결하여 해결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노력해야 할 영역과 극복해야 할 과제가 대단히 많다. 무엇보다 제 역할을 위해서는 지역에 대한 이해가 꼭 필요하다. 우리 대학의 경우 2년 전에 새롭게 개설된 '지역의 이해'라는 학과목이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다. 대전의 산업과 역사를 소개하고, 전망있는 지역 내 중견·강소 기업들을 집중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앞으로 우리 대전의 대학들이 함께 협력해 지역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길 기대한다. /오용준 한밭대 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산으로 힐링 가을여행 오세요"
  2. 대전 유성 노인회서 견학갔다가 80대 실종 9일째…인력 600여명 투입 '희망을'
  3. 대전A고 학교운영위원장 교권침해? 24일 '교보위' 촉각
  4. [S석 한컷]서포터석에서 탐탐이 치는 K-리그 기자! 음치-박치-엇박자 서포터 현장팀 체험
  5. 대전경찰청, 제80주년 경찰의 날 기념식 개최
  1. 프로야구 티켓 매크로 대량구입 암표되팔이 20대 '체포'
  2. [사설] CTX 개통 앞당길 방안 찾아야 한다
  3. 기계 정식용 양파 모종, 노지서도 안전하게 키운다
  4. [사설] 세종경찰 '빈약한 여건' 개선해야
  5. 대전가톨릭가정.성폭력통합상담소 젠더기반폭력 근절 캠페인

헤드라인 뉴스


24일 대전시 국정감사에 쏠린 눈… `창 대 창` 대결 승자는?

24일 대전시 국정감사에 쏠린 눈… '창 대 창' 대결 승자는?

24일 진행되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전시 국정감사에 정치권 시선이 쏠리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인 박정현 의원을 비롯한 민주당 감사위원들과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 간 치열한 공방이 예상되는 가운데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감장에서 벌어지는 전초전에서 누가 기선을 잡을지 주목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24일 대전시청을 찾아 대전시를 상대로 국감을 진행한다. 이날 대전시 국감은 지방 1반이 담당한다. 신정훈 행안위원장이 감사반장을 맡고, 감사위원으론 민주당 6명, 국민의힘 3명, 조국혁신당 1명의 의원이 참여한다. 지..

"우주항공산업진흥원, 대전에 설립돼야"
"우주항공산업진흥원, 대전에 설립돼야"

국가 우주항공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전담기관인 우주항공산업진흥원이 설립 예정인 가운데 대전시가 우주항공청을 방문해 유치전에 나섰다. 최성아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은 22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을 방문해 노경원 차장을 만나 우주항공산업진흥원 대전 설립과 우주기술혁신 인재양성센터 인력양성사업 국비 지원 등을 건의했다. 우주항공산업진흥원은 정책개발, 기술이전 및 사업화, 창업 및 해외 진출 지원 등 국가 우주항공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전담기관으로, 우주항공청이 9월 공청회를 통해 설립 추진을 공식화한 바 있다.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설..

유류세 인하 올 연말까지 연장… 인하 폭은 휘발유 3%, 경유·LPG 5% 축소
유류세 인하 올 연말까지 연장… 인하 폭은 휘발유 3%, 경유·LPG 5% 축소

정부의 한시적 유류세 인하 조치가 오는 연말까지 두 달 더 연장된다. 다만 인하 폭이 축소되면서 다음 달부터 휘발유는 25원, 경유는 29원가량 오를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22일 이 같은 내용의 '교통·에너지·환경세법 시행령'과 '개별소비세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1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10월 31일 종료 예정이었던 유류세 인하 조치는 12월 31일까지 연장된다. 기재부는 "유가 및 물가 동향, 재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며 "국민의 유류비 부담이 급격히 늘지 않..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 ‘최고의 와인을 찾아라’ ‘최고의 와인을 찾아라’

  • 제80주년 경찰의 날 기념식 제80주년 경찰의 날 기념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