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엘라 피츠제럴드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엘라 피츠제럴드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 승인 2024-02-07 17:17
  • 신문게재 2024-02-08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조부연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필자는 디자이너에 가까운 도예가다. 맞춤한 이름이 있는데 '도자 디자이너'라고 한다. 작품이 꼭 상품 같다. 백화점 그릇 코너에 가면 볼 수 있는 도자기를 만든다. 도자기로 이런저런 제품을 만들어 달라는 의뢰가 많다. 최근에 광주에 사는 젊은 유통업자가 강아지 식기 디자인을 의뢰했다. 두 달여 만에 시제품을 완성했는데, 반응이 꽤 좋은 모양이다.

요즘은 수원의 족발집을 개업하려는 젊은 자영업자에게 보낼 내열 찜기 디자인이 한창이다. 필자는 디자인하고 시제품만 만든다.

어쩌다 글 쓰는 일까지 하게 됐다. 지난해부터 대전예술 미술 분야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그리고 주변에서 이런저런 짧은 글들을 요청받아 쓴다. 요즘 글쓰기가 어렵다. 글은 엉덩이로 쓰고 글쓰기는 체력이라는 것을 실감한다. 무엇보다 집중하기 어렵다. 진득하게 자리를 잡고 앉아 몰입해도 모자랄 판에 자꾸만 스마트폰에 손이 간다. 요즘은 쓰고 싶은 글보다 써야만 하는 글들이 많다. 정작 여러 해 준비 중인 필자 이름을 내건 도자기 실용서 집필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났다. 그래서 신나지도 자유롭지 못하다. 그래서 며칠 놀기로 했다.

지난 주말과 휴일에 모처럼 휴식을 가졌다. 물론 집 콕을 선택했다. 잘 먹고 푹 쉬며 가벼운 소설을 읽는 주말을 계획했다. 엘라 피츠제럴드의 '70 Essential Hits' 3장을 CD플레이어에 걸고 볼륨을 낮춰 반복 재생했다. 그리고 히가시노 게이코의 <백조와 박쥐>와 카르스덴 두세의 <명상 살인>, 두 권의 소설을 쉬엄쉬엄 읽으며 틈틈이 의뢰받은 원고의 초안도 타이핑했다.



여성 재즈 보컬을 아주아주 좋아한다. 빌리 홀리데이, 사라 본, 엘라 피츠제럴드, 재즈계의 3대 디바로 불린다. 그중 최애는 엘라 피츠제럴드(1917~1996)다. 스윙 풍의 재즈가 좋아 엘라의 음반을 사들였다. 우울한 저녁, 어깨춤이 추고 싶으면 그녀의 'Cheek To Cheek'을 듣는다.

엘라의 노래 중에는 계절을 찬양한 노래가 무척 많다. '엘라가 노래하는 사랑의 계절들'이란 플레이 리스트가 있을 정도다. 미스티, 섬머타임,셉템버 송 등등. 그중에 "September Song"을 가장 좋아한다. 이 곡은 많은 가수가 불렀지만 엘라의 버전이 가장 유명하다. 이 곡은 사랑에 빠진 여인이 사랑하는 이와 보낸 꿈 같은 며칠을 노래한 러브송이다.

감미롭다. 엘라의 낮고 부드러운 목소리, 약간의 쇳소리가 섞인 비브라토가 듣는 이의 마음을 어루만진다. 풍성하다. 엘라의 음색은 저음에서부터 고음까지 폭이 넓다. 특히 엘라의 저음은 마치 부드러운 솜털로 만들어져 내 몸에 딱 맞는 베개를 베고 잠든 기분이 든다. 그리고 그녀의 고음은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청량함이 있다.

3분 43초의 짧은 "September Song"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곳이 있다. 곡의 마지막 후렴구에서 점점 줄어드는 9월을 안타까워하는 대목이다. 가사도 좋지만, 멜로디가 가슴을 저민다. 9월이 지나면 10월인데, 11월로 건너뛴다. 이게 신의 한 수다. 너무나 애절하게 'September'를 부르짖는다. 그리고 허탈하게 'November'를 노래한다. 아마도 'October'라고 했다면 이 곡을 좋아하지 않았을 것 같다.

"Oh, the days dwindle down to a precious few September, November" "오!, 그 많던 나날들이 점점 줄어드네요. 조금 남은 9월 그리고 곧 11월."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3.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4.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5.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1.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2.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3. ‘몸짱을 위해’
  4.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지역 노사 엇갈린 반응… 노동계 "실망·우려" vs 경영계 "절충·수용"
  5.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