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1. 대전 서구 관저2동 족발·보쌈집

  • 경제/과학
  • 중도 Plus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1. 대전 서구 관저2동 족발·보쌈집

관저2동 족발보쌈 집 3곳으로, 1년 전보다 1곳 늘어
매출은 월 평균 2000만원 대로 고르게 유지하며 평이
남성 40대 고객층 매출 다수... 주요 타깃 선정 필요

  • 승인 2024-09-25 17:20
  • 수정 2024-10-17 10:53
  • 신문게재 2024-09-26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관저2동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⑪대전 서구 관저동 관저2동 족발·보쌈집





야들야들한 족발을 상추에 올린다. 마늘과 고추를 쌈장에 찍어 담는다. 막국수도 한 젓가락 올려 욕심 가득하게 한 쌈을 완성한다. 크게 입을 벌려 넣어 먹으면 세상을 다 가진 기분이다. 입에 족발이 사라져갈 때쯤 황금 비율로 만든 소주와 맥주를 들이켠다. 입안에 작은 여운이 남는다. 직장인 최 모(47) 씨가 저녁에 즐기는 족발과 반주 일상의 모습이다. 최 씨는 자칭 족발·보쌈 전문가이다. 족발·보쌈 맛집 지도가 머릿속에 입력됐을 정도다. 여러 가지 맛과 가격을 줄줄 꾀는 그는 수년 전부터 자신만의 조리법을 연구하고 있다. 어떻게 하면 자신이 즐기는 이 행복감을 업으로 삼을 수 있을까 고민하며 매진한다. 최 씨는 대전 주요 상권 중 대전 서구 관저동이 궁금하다. 매출은 어떤지, 현재 직장을 포기하고 족발집으로 제2의 인생을 시작해도 될지 고심이다. 최 씨의 고민을 해결해보자.



▲경쟁자는 얼마나=대전 서구 관저2동 족발·보쌈 업소는 2023년 11월 기준 총 3곳이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곳에서 1곳 늘어난 상태이며, 1년간 큰 변화 없이 업소 수를 유지 중이다. 반경 1km 내 족발집은 2023년 11월 기준 10곳이다. 서구 전체로는 63곳이며, 대전 전체는 225곳이다. 업소 수가 증가한다는 건 해당 업종의 경기가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업소 수 추이는 업종에 대한 시장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만큼 창업 의사 결정이나 업소 운영 기간 결정 시 참고하면 좋다. 최 씨가 원하는 관저2동 족발·보쌈 업소는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변화가 없어 한 곳에서 오래 유지가 된다면 업력을 이어갈 가능성이 충분하다. 또 상권이 인근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곳이기 때문에 배달과 가게 홀을 적절하게 이용한다면 좋은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





▲매출은=관저2동 족발·보쌈 업소의 월평균 매출액은 1년간 2000만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2024년 7월 기준 관저2동 족발 보쌈 업소의 월평균 매출액은 2014만원으로, 1년 전(1961만원)보다 늘어났다. 2023년 7월에만 2000만원 아래를 향했고, 이후엔 줄곧 2000만원 초반대를 유지한다. 족발·보쌈 음식 특성상 계절 음식이 아니다 보니 꾸준하게 매출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경 1km 동일 업소의 월평균 매출액은 2024년 7월 1674원으로 관저2동보다 낮았으며, 서구 전체로는 2052만원으로 비슷했다. 대전 전체로도 2091만원으로 큰 편차를 보이지 않았다. 요일별 매출액을 보면 주말인 일요일 매출이 가장 높았다. 관저2동 족발·보쌈 업소의 일요일 매출은 489만원으로 주말 중 가장 높았다. 토요일은 344만원이다. 주중엔 금요일이 359만원으로 높지만, 목요일엔 119만원으로 낮았다. 월요일은 258만원, 화요일 275만원, 수요일 170만원 등이다. 주중 매출의 비중이 높다면 주말엔 매출이 별로 발생하지 않는 직장인·근로자 중심으로 소비가 주로 이뤄진다고 볼 수 있으며, 주말 매출의 비중이 높다면 외지 소비자를 중심으로 볼 수 있다. 통상적으론 비슷한 조건인 경우, 주중과 주말의 매출차가 크지 않은 상권이 더 좋은 상권이다.



▲매출이 발생 시간과 소비자 연령대는=매출은 오후 5시부터 9시까지 월 평균 1575만원이 발생했다. 오후 9시부터 밤 12시까지는 157만원, 오후 2시부터 5시 131만원 등이며 오전 시간에는 매출이 거의 나오지 않았다. 관저2동 족발·보쌈 성별로는 남성이 1267만원으로 여성(560만원)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685만원, 30대 385만원, 50대 282만원, 20대 271만원, 60대 이상 203만원 순이다. 성별·연령대별 매출 비율은 선택 상권과 업종을 주로 이용하는 타깃 고객층을 의미한다. 주 타깃 고객의 성별과 연령을 고려해 서비스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매출액은 카드사 가맹점 매출을 기반으로 추정된 정보로서, 소비 고객이 아닌 결제 고객의 인구적 특성이 반영될 수 있으며, 구분이 되지 않는 법인 및 외국인 거래건 등으로 매출액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40대 이상의 남성 등이 주된 타깃층으로 공략한다면 충분한 승산이 있어 보인다.



▲잠재적 소비층인 유동인구는=관저2동 유동인구는 2024년 7월 기준 1만 3973명으로 서서히 줄어가는 추세다. 유동인구는 통신사 휴대전화 통화량을 바탕으로 전국 50M 셀로 추정한 해당 월 일 평균 추정데이터다. 단, 법인 등 이동 통신기기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가 가감돼 총합이 일부 다를 수 있다. 2023년 7월 1만 5548명이던 유동인구는 2023년 12월 1만 6558명까지 늘었으나 2024년 1월 1만 2241명으로 줄어든 뒤 회복하는 듯했으나 현재까지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는 족발·보쌈 최다 매출을 발생시키는 40대가 3109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이상이 3035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50대 2982명, 30대 2013명, 20대 1420명, 10대 1415명 순이다. 요일별로는 금요일이 1만 5860명으로 가장 많았고, 일요일이 1만 191명으로 가장 저조했다. 나머지 요일은 금요일이 1만 2008명인 것을 제외하고 1만 4000명대를 유지했다. 유동인구는 상권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상권의 구매력 파악과 서비스 전략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최 씨의 창업에 한 줄기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