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3. 대전 동구 가오동 노래방

  • 경제/과학
  • 중도 Plus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3. 대전 동구 가오동 노래방

대전 동구 가오동 상권 내 노래방 18곳으로 줄곧 유지
매출은 월 평균 1123만원으로 1년 전보다 점진적 증가
오후 9시부터 밤 12시 소비자 몰려 남성 매출이 최다

  • 승인 2024-10-16 16:22
  • 수정 2024-10-17 10:54
  • 신문게재 2024-10-17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가오동노래방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⑬대전 동구 가오동 노래방





직장인 김 씨(49)는 어릴 적 가수를 꿈꿨다. 부모님의 반대로 꿈을 포기했던 그는 현재 지역의 한 중소기업에서 20년 넘게 근무 중이다. 그는 여전히 노래하는 것을 좋아해 시간을 쪼개 홀로 코인노래방에서 열창을 하곤 한다. 비록 무대에 서는 꿈은 못 이뤘지만, 그에게 노래는 삶의 원동력이다. 그러다 문득 김 씨는 자신이 자주 가는 코인노래방을 창업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규모 자본에 인건비도 크게 들지 않아 부담도 크지 않다. 그에게서 문의가 왔다. 자신이 원하는 상권에 어디에 노래방이 있는지는 대략 알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매출이 궁금하단다. 그의 궁금증을 풀어보자.



▲경쟁자는 얼마나=김 씨가 원하는 대전 동구 가오동 노래방 업소 수는 2023년 11월 기준 18곳이다. 1년 전 17곳이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늘거나 줄지 않고 유지 중이다. 반경 1km 업소 수는 27곳, 동구 전체로는 155곳이다. 대전 전체는 1164곳이다. 가오동 상권 내에서 노래방을 창업해 깔끔한 가게 관리를 한다면 충분한 승산이 있어 보인다. 통상 업소수의 증가는 해당 업종의 경기가 좋을수록 증가하며, 업소 수 추이는 업종에 대한 시장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만큼 창업의사 결정이나 업소 운영 기간 결정 시 중요한 요소로 쓰인다.





▲매출은=대전 동구 가오동 상권의 노래방 매출액은 좋은 편에 속한다. 노래방의 월 평균 매출액은 2024년 7월 기준 1123만원으로, 1년 전(913만원)보다 증가했으며, 올해 5월부터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반경 1km 노래방 월 평균 매출액은 745만원, 동구 전체는 548만원, 대전 전체는 624만원이다. 상권 자체가 노래방을 찾는 이들이 많다는 걸 의미한다. 매출은 주중과 주말이 비슷하게 발생했다. 주중엔 154만원, 주말은 177만원이다. 주중엔 수요일이 221만원의 매출이 나오며 가장 많은 매출을 기록했고, 목요일(172만원), 금요일(144만원), 화요일(127만원), 월요일(106만원) 순이다. 주말엔 토요일이 260만원으로 압도적이었으며 일요일은 93만원으로 저조했다. 주중과 주말의 매출차가 크지 않은 상권이 더 좋은 상권이라 볼 수 있다. 요일·시간대별 매출 비율은 평균 매출이 낮은 요일의 경우 할인행사나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운영방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소비자와 방문 시간대는=시간대별로는 오후 9시부터 밤 12시가 677만원으로 높았고 오후5시부터 9시는 444만원이었다. 다른 시간엔 매출이 발생하지 않았다. 노래방 특성상 늦은 저녁에 찾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 주로 찾는 이들은 40·50대가 주를 이뤘다. 50대 매출액은 월 평균 345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40대는 316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60대 이상 202만원, 30대 133만원, 20대 25만원 순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압도적이었다. 동구 가오동 노래방의 월 평균 매출액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878만원으로 높았고, 여성은 143만원이었다. 성별·연령대별 매출 비율은 선택 상권과 업종을 주로 이용하는 타겟 고객층을 의미한다.



▲잠재적 소비층인 유동인구는=대전 동구 가오동 상권의 유동인구는 2024년 7월 기준 2만 2506명이다. 유동인구는 통신사 휴대전화 통화량을 바탕으로 전국 50M 셀로 추정한 해당 월·일 평균 추정 데이터다. 유동인구는 상권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상권의 구매력 파악과 서비스 전략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된다. 가오동 상권은 1년 전(3만 7163명)보다는 크게 줄었으나 2024년 6월 2만 678명에서 늘어나기 시작해 점차적으로 회복 중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1만 2747명, 여성이 9759명이었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이 709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50대 5086명, 40대 4547명, 30대 2315명, 10대 1858명, 20대 1603명 순이다. 유동인구는 주중과 주말 편차를 보이지 않았다. 주중엔 2만 2957명, 주말은 2만 1215명이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2만명대를 유지했으며, 주말도 토요일은 2만명대를, 일요일은 1만 9842명으로 비슷했다. 김 씨가 꿈꾸는 창업에 작은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2.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3.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4.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5.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1.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2. ‘선배님들 수능 대박’
  3.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4. 김영삼 "대덕특구 순환버스 중단 우려"… 산건위 市 교통국 행정사무감사
  5. 이장우 시장 "지방재정 부담 사전협의 및 예타제도 개선 필요"

헤드라인 뉴스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는 독서가 어렵게, 수학은 공통·선택 모두 까다로운 문항이 배치되면서 수험생 체감 난도가 크게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영어도 지난해 수준을 유지했지만 일부 고난도 문항이 포함돼 상위권 변별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13일 입시 전문가들에 따르면 국어 영역은 지난해 수능보다 약간 어렵고 9월 모평보다는 부담이 덜한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파악된다. 독서는 지문 난도가 높았던 반면 문학과 선택과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구성됐다. 법 해석·담보 기능을 다룬 사회 지문은 개념 추론 과정이 복잡했고,..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