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여행] 54- 산수가 수려한 청양의 민물 게

  • 문화
  • 맛있는 여행

[맛있는 여행] 54- 산수가 수려한 청양의 민물 게

김영복 식생활문화연구가

  • 승인 2024-12-09 17:00
  • 신문게재 2024-12-10 8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KakaoTalk_20241208_233150779_04
참게장. (사진= 김영복 연구가)
옛말에 게(蟹)는 옆으로 걷는다 해서 '횡보공자(橫步公子)'라 했고, 옆으로 걷는 갑옷 입은 공자라 해서 '횡행개사(橫行介士)', 사특하게 곁눈질한다 해서 '의망공(依望公)이라 불렀으며, 창자가 없어 애끓는 아픔을 모르는 무장공장(無腸公子)'였고, 곽속에 있다고 해서 곽개사(廓介士)이라고 했다.

조선 전기의 시인, 작가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금오산(金鰲山)에서 지은 조선 최초의 한문 단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에 곽개사(廓介士)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귀한 손님들을 위해 모두 각기 재주를 보이는 것이 어떠한가?"

자칭 곽개사(廓介士)가 발굽을 들고 비스듬한 걸음으로 나와서 말했다.



"제 속은 누렇고 밖은 둥글며 굳은 갑옷을 입고 날카로운 칼을 가졌습니다.

재미와 풍류는 장사(壯士)의 낯을 기쁘게 해 주고 곽삭(郭索)한 꼴은 부인들에게 웃음을 주었습니다. 그러니 내 마땅히 다리를 들고 춤을 추어 보겠습니다."

곽개사는 눈을 부릅뜬 채 사지를 흔들면서 앞으로 나갔다가 뒤로 물러섰다가 하며 팔풍무(八風舞)를 추었다. 민좌의 손님들은 웃음을 참지 못했다.' 물론 게[蟹]를 비유로 쓴 내용이다.

이렇게 재미있는 이야기가 얽혀 있는 게[蟹]는 산 좋고 물 좋은 청양군(靑陽郡)의 특산물 중에 하나다.

청양군의 명산(名山) 칠갑산(七甲山 : 559.8m)은 정산면(定山面)과 장평면(長坪面)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차령산맥의 줄기로 한티(大峙)고개를 지나 동쪽에서 서쪽으로 대덕봉(大德峰 : 472m), 명덕봉(明德峰 : 372m), 정혜산(定惠山 : 355m) 등과 이어진다.

KakaoTalk_20241208_233150779_02
참게 매운탕. (사진= 김영복 연구가)
칠갑산(七甲山)의 계곡을 싸고 흐르는 잉화달천(仍火達川)은 정산면 마티리(馬峙里) 칠갑산 산자락에서 발원하여 학암리(鶴岩里)를 지나 청남면 동강리(東江里)까지 이어지는 하천이다. 동강리에서는 금강(錦江)에 합류하는데, 잉화달천은 하천의 발원지점이 과거에 잉화달면(仍火達面)이었기 때문에 생겨난 지명이라고 한다. 잉화달면은『동여도(東輿圖)』, 『해동지도(海東地圖)』, 『비변사인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地圖)』, 『1872년지방지도(一八七二年地方地圖)』등에 따르면 정산현의 서북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지도상에서는 잉화달면의 동쪽에서 하천이 발원하여 금강으로 유입한다고 하였다.

이 잉화달천(仍火達川) 흐르며 7곳의 명당이 만들어 져 칠갑산(七甲山)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고도 한다.

특히 칠갑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맑은 물은 어울하천, 작천, 지천, 금강천이 협곡과 아름다운 산수경을 이루며 흐르는데 물굽이가 기묘하고 기암괴석이 아름다워 지천구곡이라 한다고 한다.

이처럼 산수가 수려한 청양군의 계곡과 하천(河川)는 조선 초 부터 민물게[蟹]가 많이 잡혔다고 한다.

조선 전기에 편찬된 관찬 지리지인『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1656년 실학자 유형원(柳馨遠,1622~1673)이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찬 전국지리지인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에 보면 청양현(靑陽縣)의 토산(土産) 중에 게[蟹]가 나온다.

뿐만아니라 구한말 문신이었던 오횡묵(吳宖默, 1834~1906)이 제작한 세계와 조선의 지리서로 학부 지리교과서였던『여재촬요(輿載撮要)』에도 청양현(靑陽縣)의 토산(土産)이 게[蟹]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청양에서의 게[蟹]는 조선 전기부터 말까지 변함없는 특산물이었던 것 같다.

KakaoTalk_20241208_233150779_01
참게 매운탕. (사진= 김영복 연구가)
게를 한문으로 해(蟹)라고 한다. 이 어원을 살펴보면 고대 중국의 우(禹) 임금의 치수(治水)와 관련이 있다.

게는 갑각류로 무서운 집게다리를 가진 추한 벌레와 같다고 생각했다.

특히 논두렁에 구멍을 내고 사람을 물어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다.

중국인들은 이 털게들을 '사람을 꼬집는 벌레'(夾人)라고 부르면서 무척 겁내게 되었다.

이렇듯 털게로 인한 강남 지역 중국인들의 고충을 해결한 사람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가 바로 우 임금인데, 중국 역사상 최고의 치수 전문가였던 우왕(禹王)이 강남을 개발하면서 당시 강남지역 치수를 위해 힘이 장사(壯士)였던 파지에(巴解)라는 인물을 양청후 지역책임자로 파견하였다. 파지에(巴解)는 현지 백성들을 이끌고 물길을 내는 공사를 지휘하였다.

파지에(巴解)는 매일 공사를 하면서 어느 날 밤이 되자 공사장 앞에 모닥불을 피워놓았는데 불빛을 보자 '사람을 꼬집는 벌레'들이 수없이 몰려들며 입에서 허연 포말을 품어대며 모닥불로 몰려들었다. 밤새 이들을 저지를 하느라 공사장은 잠을 못잘 정도였다. 그러나 날이 밝자 '사람을 꼬집는 벌레'들은 속속 물로 되돌아갔다.

그렇지만 많은 일꾼들은 살점이 꼬집혀서 피가 나고, 상처 가 나있었다.이처럼 '사람을 꼬집는 벌레'의 계속되는 공격은 치수 공사를 심각하게 방해하였다. 이에 파지에는 이를 퇴치할 방법을 생각하다가 좋은 아이디어를 냈다. 그는 일꾼들을 불러 토성을 쌓고 성 주변에 도랑을 깊이 파서 저녁이 될 때를 기다려 토성 위에서 불을 붙였다. 그리고 도랑에서 물을 빼버리자 '털게'들이 기어올라 왔다가 타죽게 되었다. 도랑에는 죽은 벌레들이 쌓여갔고 불에 탄 털게는 색깔이 온통 빨갛게 변해서 산처럼 쌓였다.그런데 어디선가 맛있는 냄새가 코를 찔렀다. 공사 책임자였던 파지에가 이 소식을 듣고 호기심이 생겨 한 마리를 껍질을 벗겨서 자세히 살펴보았더니 향내가 사방에 진동하였다. 파지에가 한입을 깨물어 먹어 보았다. 그런데 이 흉측한 벌레가 너무도 부드럽게 씹히는 것이 아닌가 파지에는 털게 한 마리를 다 먹고 다시 한 마리를 입으로 가져갔다. 이를 본 주변의 사람들도 모두 따라서 털게를 먹게 되었다.맛있는 털게에 대한 소식은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사람을 괴롭히는 해충이 일순간에 멋진 음식재료로 바뀌는 순간이었다. 모두가 천하에서 처음으로 먹어본 파해를 용감한 영웅으로 칭송하였다. 그리고 파지에(巴解) 그의 이름인 해(解)자 밑에 벌레 충을 붙여 민물 게를 의미하는 해(蟹)자로 사용하면서, 민물 게를 최초로 먹은 인물로 기리게 되었다는 사연이다. 더욱이 '따자시에'로 유명한 마을인 빠청쩐(巴城鎭)도 파지에(巴解)라는 인물을 기념하여 명명한 마을이 되었다고 한다.

특히 청양은 바다와 먼 내륙지방으로 청양에서 나는 게[蟹]는 두말할 것도 없이 모두 참게를 말한다.

참게는 개천(開川)에서 사는 게를 말하는데, 이를 한문으로 표기하면 '천해(川蟹)'라고 하며 천해(川蟹)는 게 중에서도 가장 맛이 좋다 하여 '진해(眞蟹)'라 하였다. 이 '진해(眞蟹)'를 순우리말로 '참게'라고 불렀던 것이다.

조선 후기 실학자이며 천주교인인 손암(巽庵)정약전(丁若銓1758~1816)이 흑산도 유배지에서 저술한 수산 박물지인 『자산어보(玆山魚譜)』에도 ''참궤'라 하여 형태와 생태 및 잡는 법이 적혀 있으며, 참게는 몸이 검푸른 빛을 띠고 있으며, 수놈은 털이 수북한데, ....게 중에 맛이 가장 좋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조선시대까지 일반적으로 게 하면 참게를 뜻했고 참게가 꽃게 보다 더 유명했다.

조선 후기 학자인 풍석(楓石) 서유구(1764∼1845)가 남긴 백과사전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중 동물을 기르고 사냥하는 방법을 정리한 전어지(佃漁志)』에도 게를 잡는 방법을 적었고, 지금의 밤섬 근처인 농암(籠巖)에 살면서 지금의 노량진 일대 한강의 팔경을 담은 『풍석전집(楓石全集)』「부용강집승시서(芙蓉江集勝詩序)」중 만천해등(蔓川蟹燈)편에는 만천(지금의 용산구 원효대교 북단에 닿는 한강의 지류 하천)에서 밤에 등불을 켜고 게를 잡는 풍경을 팔경 중 하나로 꼽았다.

KakaoTalk_20241208_233150779_05
게막. (사진= 김영복 연구가)
이렇듯 옛날에는 동네 장정들이 하천에 게막을 치고 밤에 불을 켜고 게를 잡았다.

참게를 잡기위한 게막은 냇물이 넓고 50㎝ 이하의 얕은 물속에 친다. 대나무를 수면 위로 30㎝ 이상 올라오도록 길게 자른 뒤, 하천을 가로질러 비스듬하게 쳐 둔다. 물이 내려가는 방향으로 발을 친 끝부분에 통발을 설치하거나, 발을 냇둑 가까이까지 치고 공간을 조금 남겨 둔다. 참게가 냇물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대나무 발을 만나면, 발을 따라 비스듬하게 내려와 통발에 걸린다. 통발을 치지 않은 곳에는 그릇을 놓아 잡는다. 냇둑과 발 사이의 빈 공간에는 흰돌을 깔아 두어 검은색의 참게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둔다. 산란 후 성장을 위해 강으로 올라온 게는 주변의 논이나 작은 개울가에서도 발견된다. 게가 성장해 하류로 내려갈 즈음이 되면 논의 물꼬 주변이나 작은 개울에서 참게를 잡는다. 이때는 발을 설치하지 않고 구멍이 뚫린 그릇으로 떠낸다.

18세기 말~19세기 초 다양한 백과사전이 나오던 시기에 빙허각 이씨(憑虛閣 李氏 1759~1824)가 가정생활에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엮은 실용적 백과사전『규합총서(閨閤叢書)』에는 게의 보관법과 게젓 담그는 법, 굽는 법, 게찜요리 등이 나온다.

청양군은 장평면 미당리 도림천과 천장호수 아래 정산면 와촌리 잉화달천(仍火達川)에 2004년 6월11일 참게 종묘를 방류한 적이 있다.

한편 청양군에는 구전민요로 게의 노래가 있고 이 노래를 게시한 노래비가 세워져 있다.

"게야 잡아라, 게야 잡아라, 밥해 줄께, 얼은 놓아라. 게가 나온다 잇밥 하여라, 거랑방이 나온다, 조밥 하여라."

예부터 잉화달천(仍火達川)과 지천구곡 등 맑은 계곡과 하천에는 민물 게, 즉 참게들이 많이 잡혔다고 한다.

지금도 청양에는 두 군데 민물 게를 이용해 요리를 해 주는 맛 집들이 있다.

KakaoTalk_20241208_233744962
장곡사. (사진= 김영복 연구가)
칠갑산오토캠핑장 옆 대치면 사수터길 115~9 '까치네흥부가든'과 장곡사 입구 대치면 장곡길 147 '칠갑산골'이 있다.

맛 집을 찾기 전 칠갑산골 부근에 있는 장곡사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마곡사의 말사(末寺)인 장곡사(長谷寺)는 신라 문성왕 12년(850년)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이 창건했다고 전하는 천년의 역사를 지닌 전통사찰이다.

한편 장곡사는 철조약사여래좌상부석조대좌(국보 제58호), 미륵불괘불탱화(국보 제300호), 상하대웅전(보물 제162호·제181호), 철조비로자나좌상부석조대좌(보물 제174호), 금동약사여래불좌상(보물 제337호), 설선당(유형문화재 제273호) 등 전국적으로 보기 드문 많은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는 유서 깊은 사찰이다. 이 절에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한 사찰에 대웅전(大雄殿)이 둘이 있는 절이다.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불이 모셔져 있지 않고, 처음 만나는 하(下)대웅전에는 약사불이 모셔져 있고, 상(上)대웅전에는 비로자나불과 약사불이 모셔져 있다. 약사불은 일념으로 기도하면 난치병이 낫는 가피력(加被力)을 지닌 영험 있는 부처님으로 유명하다.

천천히 시간을 가지고 장곡사 경내를 구경하다 시장하면 근처 '칠갑산골'에서 '참게매운탕'으로 식사를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지역 9개 대학 한자리에… 대전 유학생한마음대회 개최
  2.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3. [편집국에서]배제의 공간과 텅빈 객석으로 포위된 세월호
  4.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5. "광역교통망 수도권 빨대 효과 경계…지역주도 시급"
  1.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2. 태권도 무덕관 창립 80주년 기념식
  3. [건강]대전충남 암 사망자 3위 '대장암' 침묵의 발병 예방하려면…
  4.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5.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헤드라인 뉴스


조선선박 600년만에 뭍으로… ‘태안 마도4호선’ 인양 완료

조선선박 600년만에 뭍으로… ‘태안 마도4호선’ 인양 완료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이 '마도4호선'이 600여 년 만에 수면 위로 올라왔다.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이하 연구소)는 지난 4월부터 태안 마도 해역에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 작업을 진행해 지난달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마도4호선은 10년 전인 2015년 처음 발견됐으나 보존 처리를 위해 다시 바닷속에 매몰했다가 10년 만에 인양됐다. 연구소에 따르면, 이 선박은 15세기 초에 제작된 조운선(세곡 운반선)으로, 전라도 나주에서 세곡과 공물을 싣고 한양 광흥창으로 향하던 중 침몰한 것으로 추정된다...

"불꽃축제, 대전 하늘에 수놓는다"...30일 밤 빛의 향연
"불꽃축제, 대전 하늘에 수놓는다"...30일 밤 빛의 향연

이장우 대전시장은 10일 주재한 주간업무회의에서 한화 불꽃축제 개최의 안전대책과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확대, 예산 효율화 등을 지시했다. 이 시장은 대전시 한화 불꽃축제 개최와 관련해 "축제 방문자 예측을 보다 넉넉히 잡아 대비해야 한다"며 "예측보다 더 많은 방문객이 몰리면 안전과 교통에 있어 대책을 담보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화구단은 30일 한화이글스 창단 40주년과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기념해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및 엑스포다리 일원에서 불꽃축제를 개최한다. 불꽃놀이와 드론쇼 등 대규모 불꽃 향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이 시장은..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

8일 대전시사회서비스원이 주최한 2025년 제9회 대전 유학생 한마음 대회를 방문했다. 대전 서구 KT인재개발원 실내체육관에 도착했을 때 우리가 마주한 건 엄청난 활기였다. 제기차기, 딱지치기, 투호 등의 한국 전통 놀이를 850명 가까운 유학생들이 모여 열중하고 있었다.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환호와 아쉬움의 탄성, 그리고 땀과 흥분으로 데워진 공기에 늦가을의 추위가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후끈 달아오른 공기는 식을 틈이 없었다. 이어진 단체 경기, 그중에서도 장애물 이어달리기는 말 그대로 국제 올림픽의 현장이었다. 호루라기가 울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 ‘보행자 우선! 함께하는 교통문화 만들어요’ ‘보행자 우선! 함께하는 교통문화 만들어요’

  •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