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은 제1대안학교인 조치원 '세종 늘벗학교' 전경. 사진=이은지 기자. |
8일 세종교육청에 따르면 고운동 누리학교와 집현동 이음학교에 이어 제3 특수학교 설립을 추진 중이다. 누리학교(1·2·6생활권 학군)는 개교 10년 차로 34학급 정원을 다 채워 특수학생 추가 전입 시 이음학교로 수용되고 있다.
2023년 개교한 이음학교(3·4·5생활권 학군)는 24학급으로 구성돼 정원은 아직 여유 있지만 5년 뒤인 2030년엔 완성학급을 이뤄 더 이상 추가인원 수용이 불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이유로 세종교육청은 앞서 6월 '제3 특수학교 설립 방향에 관한 정책연구' 착수보고회를 열고 신설 필요성을 구체화했다. 연구진은 타 시·도 특수학교 운영사례 분석, 설문조사 등을 통해 지역 실정에 맞는 학교 설립 방향과 교육환경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사업 계획은 9월 중간보고회를 거쳐 10월 최종 보고회에서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교육청은 설립 시기를 2030년 이후로 내다보고 있다. 특수학교가 없는 조치원 지역에 들어설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나, 학생 수 확보가 관건이다.
전체적인 학령인구가 감소 속 장애 학생 수가 얼마나 담보되느냐가 중앙투융자심사 통과 척도가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교육청은 '세종 2040 도시계획'과 연계해 인구 증가 추이를 분석하고 설립시기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더해 제1 특수학교인 고운동 누리학교 증축도 추진된다. 교육청은 누리학교 뒤편 부지를 학교용지로 구입하겠다는 의견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에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이 부지는 전임시장 시절 농업기술센터가 도시농업센터 조성을 위해 확보해놓은 공간이지만 사실상 사업이 철회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증축을 통해 장애학생들의 재활훈련 공간 등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행복청이 긍정적 검토 의사를 밝혀, 내년 예산 수립이 착수되는 올 하반기엔 증축사업 가능성 여부를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 |
제2 공립형 대안학교인 '미래상상학교' 기본계획 수립 착수보고회 안내. /세종교육청 제공 |
개교 목표는 2028년이며, 중학교 3학년(24명), 고등학교 1학년(24명)을 대상으로 '1년 전환형'으로 운영된다. 서울의 '오디세이학교', 경기도 안성의 '신나는 학교'와 충북 괴산의 '목도나루학교' 사례를 벤치마킹해 추진 중이라는 것이 교육청의 설명이다.
교육청은 7월 9일 미래상상학교 정책실행연구 중간보고회를 열고 학교 설립에 관한 전반적 상황을 면밀히 검토 후 7월 말 또는 8월 초 최종 보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