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끝과 시작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 끝과 시작

김태열 수필가

  • 승인 2024-12-16 15:40
  • 신문게재 2024-12-17 19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풍경소리 김태열 수필가
김태열 수필가
파란만장한 한 해가 지나간다. 조금 열린 창틈으로 힐끗 비치는 햇살에 드러나는 분분한 먼지 입자를 보니 세상사 참 변화무상하다. 변화의 원리를 설명하는 주역(The Book of Changes)은 시간의 변화에 대해 끝남이 곧 시작(終則有始)이라고 한다. 세상만사가 사계절의 순환처럼 변화한다고 보는 것이다.

주周나라 때는 밤이 제일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동지가 들은 12월을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는 달로 여겼다. 일 년 12달을 주역의 괘와 짝맞춘 '12벽괘설'에 의하면 12월은 '지뢰복'괘다. 음이 극에 이르렀다가 일양(一陽)이 다시 돌아왔다고 해서 복부(復)라 한다. 이때를 기점으로 땅의 깊은 곳에서 새싹이 꿈틀거리듯 희망이 싹튼다고 보았다. 조선 시대에는 이런 의미를 매우 중요하게 여겨 동지 무렵에 중국에 사신을 보내는 동지사(冬至使)가 있을 정도였다.

어수선한 세상 바람을 느끼며 조용히 한해를 되돌아본다. 연초에 올해 이루리라고 구상했던 목표가 현실의 공간 어디쯤에서 유영하고 있는지 자문해본다. 언제나 그렇듯 아쉬움만 남는다. 그래도 막막한 현실에서 이만큼 살아냈다는 것만으로도 위로의 말을 던져주고 싶다. 욕망이 춤추는 무대에서 스스로 일군 자취를 잘 살펴야 다가올 새해에 새로운 바람을 품을 수 있을 것이다.

풍경소리 칼럼을 처음 썼던 글을 다시 읽어보았다. 제목이 '거리두기의 행복'이었다. 그때는 코로나가 유행하여 물리적인 거리두기가 생존에 필수 조건이었다. 마침내 팬데믹이 종료되면서 사람과의 거리가 예전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하지만 인간관계에서는 여전히 적당한 심리적 거리두기가 중요하다는 내용이었다.



개인은 물론 국가도 서로의 거리두기에 따라 흥망성쇠를 맞는다. 하지만 시절 인연의 세찬 바람이 불 때는 어지간해서는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그것을 운명이라고 했던가. 심리적 거리에는 여러 변수가 영향을 준다. 무엇보다 서로의 가치와 이익과 손해를 보는 기준이 다를 경우 부조화가 생기고, 관계는 계절의 순환처럼 봄·여름·가을·겨울로 바뀐다.

돌아보면 세상살이는 인연의 그물망을 짜가는 일이었다. 부모·형제·자식 간이야 천륜으로 맺어진 사이라 어찌할 수 없다. 하지만 타인과의 관계는 거래의 법칙이라 인연의 끝남에는 감정의 굄이 생긴다. 관계는 바람처럼 정처 없이 떠나갔어도 여전히 머물러 있는 찌꺼기가 있다. 인연의 마침표를 찍고 새로운 인연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그것을 걸러야 한다.

늘 가까이하는 책이 있다. 논어와 노자이다. 논어는 학교(學)에서 시작해 지인(知人)으로 끝을 맺는다. 읽을 때마다 참 위대한 편집이라 생각한다. 인생은 배움을 통해 사유를 넓히고 자기와 남을 알아가는 과정임을 말해주는 것이 아닌가. 그에 비해 노자는 도(道)로 시작해서 다투지 말라는 부쟁불쟁(不爭)으로 끝난다. 세상은 상대적 가치로 돌아가는 심리적 공간이므로 저마다의 프리즘으로 보는 시비분별을 떠나 물처럼 그냥 흘러 아래로 내려가라고 한다.

공자에게 맹자라는 제자가 나타나 인의의 도가 이어졌듯 노자에겐 장자라는 제자가 나타나 무위자연의 도가 이어졌다. 장자는 '소요유'부터 시작한다. 사회가 부여한 갖가지 조건이나 욕망의 지표인 돈과 명예에 홀리지 말고 자족하며 살아가라고 붕새와 텃새라는 우화를 빌려 알려준다. 행복은 외적인 조건이 충족되어서가 아니라 주어진 조건 속에서 스스로 자기다움을 발견하고 놀다 가는 것이라고 들려준다.

지난 시절 열심히 일해 가난의 질곡을 극복하고 물질적으로 제법 살게 되었다. 그런데 삶이 갈수록 각박하다고 느껴짐은 무슨 까닭일까. 그것은 마음 밭이 갖가지 욕심 같은 잡초로 뒤덮여 그럴 것이다. 새해에는 비움과 관조로 내면을 고요하게 하고 마음 밭의 토양을 가꾸어보자. 그럴 때 나를 구속하는 것들에서 벗어나 좀 더 자유롭게 세상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지금 힘들어도 희망을 회복하고자 하는 12월을 보내는 마음 자세이리라. 세상에 대한 암울이 곧 희망으로 이어짐은 자연의 순환에서 배우는 이치가 아니겠는가. /김태열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3. 차기 대전교육감 선거 진보 단일화 시작? 5명 한 자리에
  4.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5. [춘하추동] 문화유산 회복 운동에 있어 재외동포의 역할
  1. [2025 대전교육청 학력신장] 창의융합형 수업으로 미래 역량 씨앗 키우는 대전태평중
  2. 충남대병원, 중증질환 소아청소년에게 완화의료 알리기 캠페인
  3.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4. [홍석환의 3분 경영] 지금 그리고 변화
  5. "거점 국립대만 키우나…" 비수도권 사립대 불안감 심화

헤드라인 뉴스


육사 지방이전 또 불붙나…충청 유치 선제대응 시급

육사 지방이전 또 불붙나…충청 유치 선제대응 시급

한 동안 불붙었다가 사그라들었던 육군사관학교 지방 이전 주장이 올 국정감사에서 또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 국가균형발전 등 차원에서 당위성을 재차 설파한 것인데 이를 지렛대로 '국방수도' 충청권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지역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더불어민주당 이상식 의원(용인갑)에 따르면 전날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내란청산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서울 노원구에 있는 육군사관학교의 지방이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육사는 61년의 박정희 쿠데타, 80년의 전두환 쿠데타 12·3..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미중 무역갈등 재격화 우려 속에서도 상승 출발, 3600선을 재탈환하며 장중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코스피가 종가 기준 최고가마저 경신했다. 15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95.47포인트(2.68%) 오른 3657.28로 거래를 종료했다. 지수는 18.83포인트(0.53%) 오른 3580.64로 개장한 이후 꾸준히 고점을 높여갔고, 장 막판 한때 3659.91까지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전날에도 장 중 한때 3646.77까지 상승, 직전 장중 최고치(3617.86·10월 10일)를 갈아치웠으나 이후 급락해 3561.81로 장을..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이 15일 별세했다. 향년 67세. 고인은 1958년 대전에서 태어나 대전중, 충남고, 충남대를 졸업했다. 제34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사법연수원(24기)를 수료한 뒤 변호사로 활동하다 현실 정치에 뛰어들었다. 17대 총선에서 대전 유성에 출마해 국회에 입성한 후 21대까지 내리 5선을 지냈다. 유성은 물론 대전, 나아가 충청발전을 위해 힘썼고, '법의 정의'를 지키고 소외계층과 사회적약자를 위한 지원에도 앞장섰다. 2023년 12월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뒤 이듬해 1월 국민의힘에 입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