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보라 안성시장, 대설 피해 현장 방문 |
시는 이번 폭설로 각종 공공시설은 물론, 시설하우스와 포도비가림, 인삼재배시설 등 농업시설을 비롯해 소와 돼지 등을 키우는 축산시설이 집중적으로 피해를 당해 농민들의 생계유지와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시는 폭설 피해와 관련된 지속적인 신고가 이어져 면밀한 조사가 필요함에 따라, NDMS 입력 기간을 기존 8일에서 13일로 연장할 것을 요청했다.
요청이 수용됨에 따라 13일 오후 8시 기준 공공시설 21개소(54억 원)와 사유시설 6,972개소(공장시설 258개소, 소상공인 443개소, 비닐하우스 3,701개소, 축산시설 850개소 등 1,774억 원)로 피해 규모를 확정했다.
또 시는 폭설 피해복구를 위한 긴급 예비비 투입과 함께 별도의 센터 및 상황실을 구축하고 시민을 향한 재난 심리 회복 사업에도 앞장섰다.
예비비의 경우, 시 예비비와 경기도 지원 등 총 19억 8000여만 원을 투입해 제설 장비 임차와 시민들의 장비 수리비와 유류비를 지원하고, 농가 및 축사 철거와 폐사 가축 처리, 인력 지원 등 빠른 복구에 힘썼다.
아울러 안성시 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폭설 피해 통합지원센터와 축산농가 대상 지원 상황실도 운영하며 각종 피해민원 접수와 자연재난 피해자 복구자금 융자상담, 국민연금 및 국세납부 유예상담, 농작물 재해보험 상담, 폐사축랜더링 및 건축물 해체 상담 및 지원, 건축 인허가 절차 간소화 등을 추진했다.
이외에도 별도의 심사를 거쳐 소상공인 긴급생활안정비(최대 1천만원)를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시는 재해 중소기업 확인증을 발급받은 관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재해피해 특별경영자금 융자를 지원하고, 재난 심리회복 지원사업을 통해 대면 또는 전화상담으로 정신건강상태평가 및 전문 심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지난 3일, 대규모 폭설로 인한 복구지원의 일환으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공식 건의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지역 복구비 중 일부를 정부의 국비로 지원하는 제도로 피해조사와 선포기준 충족 검토,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심의, 대통령 건의 및 재가 등의 절차로 진행된다.
시는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행정안전부 중앙합동조사단이 설치돼 피해 상황 조사를 마쳤으며, 피해액이 1,828억 원으로 확정됨에 따라 조속히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될 수 있도록 국회의원과의 협력 등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안성=이인국 기자 kuk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