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쪽방촌 재개발 보고서] 쪽방보다 못한 임시주거지...노후 여관촌 뿐 "밥도 못먹어"

  • 사회/교육
  • 사건/사고

[대전 쪽방촌 재개발 보고서] 쪽방보다 못한 임시주거지...노후 여관촌 뿐 "밥도 못먹어"

대전시 여관, 여인숙 임시주거지로 활용 계획에 우려
취사 안 되고 스프링클러 등 소방설비 없는 곳 대부분

  • 승인 2025-01-20 17:46
  • 수정 2025-01-20 21:40
  • 신문게재 2025-01-21 2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여인숙
대전 중동 일대 모습.
대전 정동 일대 쪽방촌 주민들에게 올해 겨울은 유독 더 힘겹다. 지금 이들에게 칼바람보다 힘든 것은 주거가 나아질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 뒤바뀐 희망 고문이다. 5년 전 쪽방촌 정비와 주거 취약계층인 쪽방 세입자들을 지원하는 공공주택지구 개발 소식이 전해졌지만, 이 사업은 2년 넘게 멈춰있다. 중도일보는 소외된 지역 쪽방 주민들의 주거환경 개선과 인권 문제, 그리고 해법에 대해 세 차례에 걸쳐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2. '쪽방서 쪽방' 탁상행정에 소외된 인권



쪽방촌 개발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쪽방 주민들의 주거 공백 해소를 위해 마련되는 임시주거지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대전시는 공사 기간 중동 일대 여관, 여인숙에 주민들이 일시 거주하도록 지원하겠단 계획이지만, 법적으로 취사가 안 되고 스프링클러 등 최소한의 소방설비도 갖춰지지 않은 곳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20일까지 중도일보 취재를 종합한 결과, 2020년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대전시는 정동 공공주택지구 조성 계획 중 공사 기간 쪽방 세입자 등 원주민들이 생활할 수 있도록 임시주거단지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당시 대전시는 정동과 가까운 중동 일대에서 운영 중인 23곳의 여관, 여인숙과 협의해 주민들이 일시 거주할 수 있도록 객실 138개를 확보한 바 있다.

다만 사업 지연으로 5년이 지난 상태인 가운데, 대전시는 소유주 변경, 폐업 확인을 위해 중동 일대 여관·여인숙에 대해 다시 실태조사를 한 후 재협의를 할 계획이다. 월세를 지원해 주민 입주가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를 두고 정동 주민 사이에서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KakaoTalk_20250120_173506562
중동 일대 여관 객실 중 한 곳. 좁은 공간에 TV와 침대만 갖춰진 모습이다. (사진=독자 제공)
실제로 중도일보가 지난 1월 15일 중동 일대를 돌아본 결과, 객실 규모가 쪽방과 비슷한 5평(16.5㎡)내외가 대부분이었다. 냉장고와 TV, 옷장 등은 갖춰져 있지만, 취사를 위한 부엌이 없는 것은 물론 일부는 화장실도 객실 내부에 없어 공용 화장실을 사용해야 했다. 여관 임에도 불구하고 월세방으로 운영하는 업주들도 있었다. 객실 조명이 붉은색인 곳도 보였다.

법적으로도 여관과 여인숙은 취사가 불가하다. 일반 숙박업소로 분류된 여관·여인숙은 조리할 수 있는 독립된 주방이 없다. 휴대용 가스버너를 사용해 조리하는 것도 금지돼 있다. 즉, 이곳에서는 주민들이 라면 하나도 끓여 먹을 수 없으며, 늘 외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업소 대부분 화재 안전 설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다. 2024년 8월 대전소방본부가 스프링클러 미설치 숙박업소를 조사한 결과, 중동 지역에 있는 여관·여인숙 전체 15곳 중 14곳이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일대 여관·여인숙은 1970~1980년대에 지어진 구축이 대부분으로 당시만 해도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사항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에 사업이 재개되면 임시주거단지에 대해서도 주민 의견 수렴이 필요해 보인다는 의견이 나온다. 정동에 사는 원주민 A씨는 "착공 후에 공사 기간이 2년 정도는 소요될 텐데 그동안 밥 하나도 못해 먹는 게 말이 안 된다"라며 "무엇보다 일부는 아직까지 성매매 알선 행위가 이뤄지는 곳이라 안전상으로도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라고 토로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두고 김태흠 지사-김선태 의원 '공방'
  3.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4.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5. 대통령실 인사수석에 천안 출신 조성주 한국법령정보원장
  1.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2.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3.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4. '빈집 강제철거 0건' 충남도, 법 개정에 빈집정비 속도 오를까
  5.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헤드라인 뉴스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최근 5년간 충청권 국립대학에서 타 대학·기관 등으로 이직한 교수 절반 이상이 이공·자연계열인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해외로 떠나는 수도권 대학교수들이 늘면서 비수도권 대학교수들이 수도권으로 향하는 연쇄 이탈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에서 지역별 국가 첨단산업 인재 육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우수교원들이 지역을 떠나는 것이다. 9일 국회 교육위 서지영 의원실이 최근 발표한 '전국 국립대 교수 이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21년~2025년 5월) 충남대·충북대 등 전국 지방거점국립대 9곳에서 이직한 교수는 3..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대전의 한 전통시장 공중화장실. 문을 열자 바닥에 흩어진 휴지 조각이 눈에 들어왔다. 몇몇 변기 칸은 이물질로 막혀 사용할 수 없었고, 비누통은 텅 비어 있었다. 휴지통이 없으니 누군가는 사용한 휴지를 변기 뒤편에 숨겨두고 갔다. 무심코 남긴 흔적은 청소 노동자에게는 전쟁 같은 하루를, 다른 이용자에게는 불쾌한 경험을 남긴다. 사회 전반의 시민의식 수준이 높아졌다는 평가와 달리, 공중화장실만큼은 여전히 우리의 부끄러운 민낯이 드러나는 공간이었다. 9일 중도일보는 대전의 한 전통시장과 천변 공중화장실을 관리하는 청소 관리자를 현장에서..

보완수사 존폐 기로… 검찰청 폐지안에 대전지검 긴장
보완수사 존폐 기로… 검찰청 폐지안에 대전지검 긴장

정부가 검찰청을 해체하고 기소·수사권을 분리하는 조직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보완수사권 존폐 논란이 재점화됐다. '검수완박'이라 불린 2021년 형사소송법 개정 때 검사장이 직접 기자회견을 열고 평검사들이 전국회의 소집을 요구했던 대전지검은, 지금은 겉으론 평온하지만 내부에선 일손을 잡지 못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최근 발표된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검찰청을 해체하고 기소 권한을 법무부 산하의 공소청으로, 수사 기능을 행정안전부 산하의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으로 분리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검사가 보안수사를 실행할 수 있느냐는 이번 개정안 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