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당일까지 충남 공주·논산·홍성 여전히 대설주의보

  • 정치/행정
  • 충남/내포

설 당일까지 충남 공주·논산·홍성 여전히 대설주의보

  • 승인 2025-01-29 09:57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R6M_3412
28일 충남 당진 축사 피해 시설을 방문한 김태흠 지사가 유사 피해 방지를 위한 조치 방안을 주문하고 있다. 사진=충남도 제공
설 연휴 충남에서 강한 눈이 내리며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29일 오전 기준 충남에선 공주, 논산, 홍성 등 지역에는 대설주의보가 내려져 있다.

밤사이 소강상태를 보이던 눈도 지난 새벽부터 다시 내리며 도로 위 많은 눈이 쌓여 있다.

서해안 일부 지역에는 강풍과 풍랑 주의보가 유지되고 있다.



27일부터 내려 쌓인 눈의 양은 계룡산 28.7㎝, 부여 24.6㎝, 홍성 17.1㎝ 등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이번 겨울 들어 가장 많은 눈이 내린 것으로 관측됐다.

시설물 피해도 잇따랐는데, 논산과 청양에서 돼지농장 일부가 무너지고 당진에서도 젖소농장 지붕이 무너져 내렸다.

이번 눈은 설날인 29일 오후까지 이어지겠고, 30일 오전까지 내렸다 그치기를 반복하는 지역도 있을 예정이다.

한편, 전날 충남도 김태흠 지사는 당진시 정미면 축사 붕괴 현장, 폭설 피해가 우려되는 천안 시설하우스 단지를 잇달아 방문했다.

김 지사가 방문한 축산 농가에서는 28일 오전 5시 42분께 쌓인 눈에 지붕이 무너져 내려 약 7천830만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됐다.

충남도는 축사·시설하우스 등에서 유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조치 방안 홍보를 강화하는 등 행정력을 집중 투입할 예정이다.
내포=이현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1.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4.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