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이미지 생성 모델(DALL·E)로 구성된 충남도립박물관 조감도 |
이완섭 서산시장은 최근 페이스북에서 "충남도립박물관은 단순히 전시를 위한 공간이 아니며, 그것은 충남의 역사와 문화를 온전히 담아내고 이를 후대에 전할 핵심 문화 랜드마크로 기능해야 한다"며 "충남의 역사적, 문화적, 그리고 자연적 가치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중심지로, 서산이야말로 도립박물관 건립의 최적지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서산은 역사, 문화, 생태, 교통, 관광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로, 도립박물관이 들어서기에 완벽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서산이 최적지임을 중요 다섯 가지 이유가 있다"고 강조했다.
첫째 "서산의 역사와 문화적 중심성으로 서산은 충남의 역사를 고스란히 품고 있는 도시"라며 "국보 제84호 서산 마애여래삼존상은 우리나라 초기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적 유산으로, 서산의 역사적 가치를 증명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보원사지, 명종대왕 태실, 개심사와 같은 유적은 서산이 불교와 유교 문화를 함께 품고 있는 중요한 도시임을 보여 주고 있으며, 또한, 천주교 해미국제성지는 전 세계 천주교 신자들이 찾는 순례지로, 서산이 종교문화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음을 증명하며, 최근 발굴된 부장리 고분군과 기지리 유물은 서산이 백제 문명과 교류의 중심지였음을 보여주며, 충남 전체의 역사적 정체성을 대변하는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고 밝혔다.
둘째로 "생태와 관광, 문화의 융합의 서산시로서 서산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생태자원을 보유한 도시이며, 세계 5대 갯벌인 가로림만과 천수만 철새도래지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생태적 가치를 지니며, 도립박물관과 연계해 생태와 문화를 융합한 복합문화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조성 중인 가야산 산림휴양복지 단지는 자연과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서산의 이러한 자원은 도립박물관을 단순한 전시공간이 아닌 생태와 문화가 공존하는 관광 명소로 자리 잡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번째로 "접근성과 국제적 관문으로서의 가능성이 좋은 서산은 육상, 항공, 해상 교통이 만나는 접근성의 중심지이며, 2028년 개항 예정인 서산민항은 국내외 관광객의 유입을 용이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내포-태안 철도와 충청내륙철도가 서산공항역을 경유하며, 충남 전역과 전국 어디서나 서산으로의 접근이 쉬워질 것이며, 대산항 국제크루즈선은 서산을 세계로 연결하는 관문 역할을 하며, 해외 관광객을 유치할 것이며, 이러한 교통망은 도립박물관이 국내외 방문객들이 찾는 세계적 문화 거점으로 자리 잡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네 번째로 "유물 환수와 보존의 필요성이 있는 서산은 수많은 유물과 유적이 발굴되는 지역으로 부장리 고분군의 금동관모, 철제 초두, 청동거울 등은 서산이 백제 시대 해상 교류의 중심지였음을 증명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들 유물은 보관할 시설이 없어 외부로 반출되는 경우가 많아 안타까운 상황이며, 또한, 일제강점기에 반출된 보원사지 철불과 몽유도원도 같은 유물들은 환수 노력을 통해 반드시 고향으로 돌아와야 하며, 충남도립박물관은 이러한 유물들을 보관하고 전시하며, 충남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할 중심 공간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섯 번째로 "충남의 미래를 이끄는 비전을 가꾸어 가고 있는 서산은 2023년 12월 19일, 김태흠 충남도지사님께 도립박물관의 서산 건립 필요성을 건의하였고, 이어 2025년 1월 23일 현대오일뱅크 대산공장에서 열린 경제상황점검회의에서도 서산이 최적지임을 재차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에 "서산은 충남의 역사, 문화, 생태, 교통, 관광이 융합된 도시이며, 도립박물관이 서산에 건립된다면, 이는 서산의 발전을 넘어 충남 전체가 문화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서산에서 시작하는 충남의 문화 르네상스 충남도립박물관은 충남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핵심 문화 랜드마크이며, 서산은 역사적 중심성, 생태적 가치, 접근성, 그리고 미래적 비전에서 모두 충남도립박물관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이완섭 시장은 "도립박물관이 서산에 건립된다면, 이는 충남의 문화적 르네상스를 여는 시작점이자, 충남의 역사를 세계에 알리는 상징적 공간이 될 것이며, 충남도립박물관은 반드시 서산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