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 도쿄 스미다구가 쓴 고향사랑기부제 기적

  • 오피니언
  • 월요논단

[월요논단] 도쿄 스미다구가 쓴 고향사랑기부제 기적

고두환 사회적기업 ㈜공감만세 대표이사

  • 승인 2025-02-09 17:01
  • 수정 2025-02-10 07:41
  • 신문게재 2025-02-10 18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고두환
고두환 대표이사
도쿄 스미다구의 한적한 거리, 철길을 따라 걷다 보면 한눈에 봐도 독특한 건물이 등장한다. 바로 가쓰시카 호쿠사이 미술관이다. 일본을 대표하는 에도시대 목판화가 가쓰시카 호쿠사이의 '가나가와의 거대한 파도 아래'는 19세기 서유럽 예술가들에게 강렬한 영향을 미치며 '자포니즘(Japonism)' 열풍을 일으켰다. 일본이 쇄국을 끝내고 세계로 나아가던 시기, 이 파도가 유럽인들에게는 어떤 의미로 다가왔을까.

스미다구는 호쿠사이의 고향이다. 1988년, 그의 업적을 기리는 미술관 건립 계획이 세워졌다. 하지만 일본 버블경제 붕괴로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이후 2000년대, 도쿄의 새로운 랜드마크인 '스카이트리' 건설이 추진되면서 미술관 계획도 재점화됐다. 하지만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건설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또다시 좌초되고 만다.

결국 스미다구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했다. 바로 고향사랑기부제였다. 2015년, 당시 지방 소도시의 전유물처럼 여겨지던 이 제도에 스미다구가 뛰어든다. 결과는 놀라웠다. 9년간 모금한 금액만 약 100억 원에 달한다. 단순한 기부금 유치가 아니었다. 스미다구는 전략적으로 기부자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했다. 2017년 미술관 개관 1주년 특별전 입장권, 2019년 호쿠사이 서거 170주년 기념 특별전시 입장권과 함께 도쿄 스카이트리 최상층에서의 저녁 식사 티켓을 내놓았다. 100만 원 이상 기부한 사람들에게 주어진 이 혜택은 전국적으로 화제를 모았다. '기부'가 아니라 '참여'로 만들어낸 성공이었다.

스미다구의 도전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이곳은 전통적인 수공예 산업이 활발한 지역이다. 크고 작은 공방과 장인들의 가게가 2,000여 개 이상 밀집해 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며 이들의 존재는 점차 잊혀갔다. 이에 스미다구는 '모노즈쿠리('혼신의 힘을 쏟아 최고의 제품을 만든다' - 장인정신) 거리' 보존을 새로운 목표로 삼았다. 장인들의 제품을 홍보하고 판로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기부금 사업에 포함시킨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일본 국민들의 공감을 이끌어냈고, 2023년 스미다구 고향사랑기부금은 100억 원을 돌파했다.



처음부터 이 모든 과정이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수도인 도쿄의 한 기초지방자치단체가 '고향사랑기부제'로 기부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일본에서 이 제도가 활성화된 초기에는 낙후된 지방 도시들이 주로 수혜를 입었고, 대도시 지역은 소외되기 일쑤였다. 하지만 스미다구는 달랐다. 단순히 '우리 지역이 어려우니 도와달라'는 식의 접근이 아니라, '호쿠사이 미술관을 함께 만들자', '도쿄에 모노즈쿠리 거리를 보존하자'는 정서적 서사를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최초의 고향사랑기부제 민간플랫폼 '후루사토초이스'가 강력한 조력자로 나섰다. 이들은 단순한 기부금 모금이 아니라, 지역 브랜드를 만들고 가치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사람들은 스미다구에 기부하면서 단순히 혜택을 받는 것이 아니라, 그 도시의 일부가 된다는 자부심을 느끼게 되었다.

도쿄 스미다구의 성공 사례는 단순한 기부금 유치가 아니다. 고향사랑기부제라는 제도를 지역의 문화와 정체성을 지키는 도구로 활용한 것이다. 대도시 기초지자체라도 소멸의 칼날을 피해갈 길은 없다. 쇄국이 끝난 후 일본을 세계로 알린 호쿠사이의 파도처럼, 스미다구의 도전은 재정자립의 서막인 셈이다.

/고두환 사회적기업 ㈜공감만세 대표이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프로야구 개막'... 대전신축 구장 활용 방안 만들자
  2. 멀어지는 '벚꽃 추경'… 충청권 현안 사업 어쩌나
  3. 한국수자원공사, 대한민국 물산업 '초격차 도약'에 박차
  4. 충남 베이밸리 건설 사업 '순항'
  5.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1. 제69회 신문의 날 표어.캐릭터 수상작 선정
  2.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3월24일 월요일
  3. [독자칼럼]기업의 광고목적과 성공적인 전략
  4. 대전시, 국토부 제4회 녹색건축평가 최우수상 수상
  5. 글로벌 노마드의 도쿄 이야기 <도쿄의 기억과 발견>

헤드라인 뉴스


한덕수 탄핵 기각… 87일 만에 대통령 권한대행 복귀

한덕수 탄핵 기각… 87일 만에 대통령 권한대행 복귀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심판 청구가 기각됐다. 국회의 탄핵안 의결 87일 만으로, 한 총리는 곧바로 직무에 복귀한다. 헌법재판소는 24일 오전 10시 대심판정에서 한 총리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열고 재판관 8명 중 5명(문형배·이미선·김형두·정정미 재판관·김복형)이 기각 의견을, 1명(정계선)은 인용 의견을, 2명(정형식·조한창)이 각하 의견을 내면서 탄핵 심판 청구를 기각했다. 한 총리는 2024년 12월 27일 국회에서 탄핵 소추안이 가결되면서 직무가 정지됐었다. 탄핵 사유는 비상계엄 공모·묵인·방조와 헌법재판관 임명..

공무원 요람 `(가)국가채용센터`, 2031년 세종시에 신설
공무원 요람 '(가)국가채용센터', 2031년 세종시에 신설

가칭 국가채용센터가 2031년경 중앙행정의 중심지인 세종시에 들어설 전망이다. 국회 세종의사당과 지방법원·검찰청 개원 시점과 유사하다. 국가채용센터는 일명 국가고시센터로 통하고, 국가공무원의 시험 문제를 출제하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해왔다. 행복청(청장 김형렬)과 인사혁신처(처장 연원정)는 2025년 3월 24일 행복도시 내 '국가채용센터(가칭)' 건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국가균형발전과 행복도시의 상징성을 고려한 결정으로 다가온다. 국가공무원 다수가 근무하는 43개 중앙행정기관이 자리를 잡고 있고, 인근에 정부대전청사도..

산불 가장 위험한 시간대는 `오후 3~5시`…화재원인 1순위 담배꽁초
산불 가장 위험한 시간대는 '오후 3~5시'…화재원인 1순위 담배꽁초

전국적으로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으로 인한 산불과 화재 피해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화재 예방에 대한 각별한 경각심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금산소방서는 입산 시 인화물지 소지 금지 등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며 봄철 화재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24일 금산소방서에 따르며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4월 중 충남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1066건으로 이로 인해 인명 피해는 25명(사망 6명, 부상 19명), 재산 피해는 192억 9천만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금산군의 경우 2023년 4월 복수면에서 발생한 산불로 1..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농사철 앞두고 농기계 수리 농사철 앞두고 농기계 수리

  • 제19회 공주금강배 전국풋살대회…일반부 대구LFS 결승 진출 제19회 공주금강배 전국풋살대회…일반부 대구LFS 결승 진출

  • 제19회 공주금강배 전국풋살대회…5~6학년부 예선 제19회 공주금강배 전국풋살대회…5~6학년부 예선

  • 제19회 공주금강배 전국풋살대회…초등 3~4학년부 예선 제19회 공주금강배 전국풋살대회…초등 3~4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