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 따르면 2024년 5월 저출산·고령화 관련 정부 정책 기조에 발맞춰 인구정책을 강화하기 위한 팀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에 여성가족과, 아동보육과, 청년담당관, 일자리경제과, 보건소 등 각 부서에 흩어져있던 정책을 한데 모아 기능을 강화하고 인구위기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역할이 필요했다고 풀이된다.
하지만 천안시 인구 증가는 순전히 '외국인'이 좌지우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서 총인구는 2020년 68만5595명에서 2024년 69만7299명으로 1만1704명(1.7%)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내국인은 65만8808명에서 65만9920명으로 1112명(0.2%) 증가에 그친 반면 외국인은 2만6787명에서 3만7379명으로 1만592명(39%)이나 증가하면서 인구증가를 이끌고 있다고 확인됐다.
더욱이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의 데드크로스가 발생하면서 자연증가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결과를 보였다.
최근 5년 새 4686명이던 출생아 수가 3507명으로 25.6% 감소했고, 사망자 수는 2935명에서 3534명으로 20% 증가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아울러 청년 인구 마저 2024년 기준 20만명선이 붕괴되고, 인구의 14%가 노인으로 집계되면서 국제연합(UN)이 정하는 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됐다.
이에 따라 시는 외국인 유입으로 인한 인구 70만 달성에 자아도취 할 시기가 아니라 인구의 자연증가를 이끌 수 있는 원동력 마련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다.
시 관계자는 "외국인과 노인 인구가 증가추세인 반면에 청년 인구수는 감소추세"라며 "일자리와 주거 등 청년 인구를 적극 유입할 수 있는 종합적인 정주 여건을 개선해 인구가 자연증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