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민원’ 고통, 정부부처보다 지자체 공무원 더 심각

  • 정치/행정
  • 국회/정당

‘악성 민원’ 고통, 정부부처보다 지자체 공무원 더 심각

2021∼2023년 전체 위법행위 13만1097건 중 지자체에서 7만5443건(57.5%) 발생
정부 부처는 고소·고발 적극 대처하지만, 지자체는 '신고' 수준
국회입법조사처 ‘악성 민원 근절, 실효적인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방안’ 보고서

  • 승인 2025-03-23 11:15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표1
제공=국회입법조사처
민원 담당 공무원을 상대로 한 위법행위가 정부 부처나 광역자치단체보다 시·군·구 등 기초자치단체에서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지자체의 대처는 ‘신고’ 수준인 반면 정부 부처는 적극적으로 ‘고소·고발’에 나서는 등 대응 수위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국회입법조사처가 23일 공개한 ‘악성 민원 근절, 실효적인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민원 처리 담당자에 대한 위법행위는 2021년 5만1883건, 2022년 4만1559건, 2023년 3만7655건 등 3년간 모두 13만1097건이 발생했다.

표2
제공=국회입법조사처
유형별로는 폭언과 욕설이 10만9328건으로 가장 많고, 협박 1만3874건, 성희롱 1661건, 폭행 806건, 기물파손 217건, 위험물 소지와 주취 소란, 업무방해 등 기타가 5211건이다.



13만1097건의 위법행위 중 자치단체에서 발생한 위법행위가 2021년 2만7133건, 2022년 2만6685건, 2023년 2만1265건 등 7만5443건(57.5%)으로, 같은 기간 정부 부처 등 중앙기관(5만5654건, 42.4%)에서 것보다 많았다.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가장 많이 발생한 폭언과 욕설의 경우 3년간 정부 부처에선 4만6905건이었지만, 지자체에선 6만2423건이나 발생했다. 협박도 정부 부처에선 5474건 발생했지만, 지자체에선 8400건에 달했다.

지자체 중에서도 시·군·구 등 기초자치단체가 심각했다.

2023년에 지자체에서 발생한 위법행위 2만1625건 중 시·군·구에서 발생한 전체 위법행위가 1만7204건(79.6%)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읍·면·동이 3546건(16.4%), 광역시·도 875건(4%) 발생했다. 폭언과 욕설의 경우(1만8692건)에도 시·군·구에서 1만5227건에 달했고, 읍·면·동 2691건, 광역시·도 774건이었다.

표3
제공=국회입법조사처
반면 2021년∼2023년 민원처리 담당자의 악성 민원 대응조치는 신고가 1652건, 고소·고발 349건 등에 불과했다.

대응에서도 정부 부처과 자치단체가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정부 부처는 모두 193건을 고소·고발한 반면, 자치단체의 고소·고발은 153건이었다.

신고의 경우도 정부 부처는 424건이었지만, 자치단체는 1228건에 달했다. 위법행위에 대한 대응에서도 자치단체는 대부분 신고 수준이었고 고소와 고발 비율은 낮았다.

보고서는 악성 민원 방치와 민원 공무원 보호를 위해 악성 민원 또는 정보공개 청구의 근본적인 정의, 유형, 처벌규정, 민원담당자 보호 규정 등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5건의 법률 개정안의 보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폭언·폭행, 반복·중복 민원 등 악성 민원을 범죄로 인식하는 사회적 전환이 요구된다”며 “정당한 민원이 보장되는 가운데 공무원과 민원인이 조화를 이루는 민원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학 교직원 사칭한 납품 주문 사기 발생… 국립한밭대, 유성서에 고발
  2. [문화 톡] 대전 진잠향교의 기로연(耆老宴) 행사를 찾아서
  3. 대전특수교육수련체험관 마을주민 환영 속 5일 개관… 성북동 방성분교 활용
  4. 단풍철 맞아 장태산휴양림 한 달간 교통대책 추진
  5. 대전 중구, 교육 현장과 소통 강화로 지역 교육 발전 모색
  1. [내방] 구연희 세종시교육청 부교육감
  2. "함께 땀 흘린 하루, 농촌에 희망을 심다"
  3. [한 장, 두 장 그리고 성장] 책을 읽으며 사람을 잇고 미래를 열다
  4.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026년 장애예술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 접수 시작
  5. 대전도시공사,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표창’ 수상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