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51차 비상경제대책회의./부산시 제공 |
회의는 자동차 관련기업 5개 사와 전문가, 대학, 유관기관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자동차산업 위기 극복과 미래 도약 대응 전략을 발표하고 현장 의견 청취 및 토의 순으로 진행됐다.
시는 총 4265억원 규모의 3대 전략, 7대 세부과제로 구성된 '부산 자동차산업 위기 대응 전략'을 수립해 본격 추진한다.
△ 유동성 지원을 통한 미국 고율관세 대응 지역기업 경영위기 극복
시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1000억원 규모의 시설투자자금을 신속히 지원하고, 부품기업의 판로 확대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대체 부품 개발지원 등 사업 다각화 및 마케팅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 최근 긴급 편성된 통상분야 정부 추경예산 정책자금을 지역기업이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지원을 다할 계획이다.
△ 차세대 선도기술 및 핵심 기반시설을 통한 미래차 산업 생태계 고도화
미래차 시장 선점을 위한 차세대 선도기술 확보를 위해 인공지능(AI) 활용 미래차 전동화 요소 부품 기술산업화 지원사업, 자이언트캐스팅 공용센터 구축을 통한 초대형 차체 일체화부품 개발 지원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한다.
미래차 산업의 신속하고 유연한 전환을 위해 미래차 전용플랫폼 지원 확장 현실(XR) 기반 가상모형(디지털트윈) 시스템 구축, 미래차 에너지 저장 및 구동 부품소재 안전 성능·실증 기반 구축, 미래차 사이버보안 검증 지원센터 구축 등 핵심 기반시설 확충에도 힘쓸 계획이다.
글로벌 미래차 허브 도약을 위해 부산 미래차산업 육성 단계별 이행안(로드맵) 수립, 미래차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연구기관 분원유치, 범정부 지원대책 연계 및 정책·재정 협력 체계 구축 등 전략적으로 대응해나간다.
△ 물류 혁신 및 상생협력을 통한 자동차 부품산업 역량 강화
부품기업의 물류비 절감을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공동물류 플랫폼 구축과 자율주행 기반 스마트항만 기술개발 및 실증을 통해 물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자동차 분야 산학연관 협의체를 구성해 글로벌 미래차 허브 도약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지역혁신센터 및 완성차기업과 연계한 역량 강화 및 인재 양성 시스템을 구축한다.
박형준 시장은 "시는 지역 주력 산업인 자동차산업의 생존을 넘어 미래차 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다"며 "민간기업과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차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