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설물 집중안전점검<제공=하동군> |
점검 대상은 전통시장, 숙박시설, 주택, 의료기관, 다중이용시설, 교량 등 10개 유형으로, 노후도와 사고 위험도를 기준으로 선정됐다.
점검은 민간 전문가와 공무원이 함께하는 민관합동 방식으로 이뤄지며, 구조 안정성과 함께 전기·소방 등 생활 안전 요소도 중점 확인한다.
군은 올해 점검 범위를 확대하고, 점검 강도도 높였다고 밝혔다.
또 '안전신문고' 앱과 읍면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사전에 접수된 주민 의견을 현장 점검에 반영하는 '주민점검신청제'도 운영한다.
점검 결과 경미한 사항은 즉시 시정하고, 중대한 위험 요소는 사용 제한이나 보수·보강 등 긴급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법령 위반 사항이 있을 경우, 과태료 부과·영업정지·공사 중지 등의 행정처분도 이뤄진다.
민간 소유 시설은 점검 결과를 통보해 자율 보수를 유도하고, 필요시 행정지도를 병행한다.
하승철 군수는 "군민의 일상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현장 중심 점검을 강화하겠다"며 실효적 조치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반복되는 단기 점검만으로는 일상적 위험을 걸러내기 어렵고, 시설관리의 상시화·체계화 없이는 근본적 변화가 어렵다고 지적한다.
눈에 보인 균열은 고칠 수 있지만, 놓친 틈은 사고가 된다. 지금의 점검이 사후약방문(事後藥方文)이 되지 않으려면, 안전은 매일 확인돼야 한다.
하동=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