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월 국토부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으로 선정된 대전 조차장역 철도 지하화사업 구상도. (사진= 국토교통부) |
최근 정부의 철도 입체화 통합 개발 우선 사업 대상에서 제외됐던 만큼 이번에는 사업 당위성에 대한 정부 설득을 통해 반드시 선정될 수 있도록 시정 역량을 모으고 있다.
7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역 철도 입체화 개발 사업 추진을 위해 이달 말 국토교통부에 종합계획서 반영 사업 제안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지난해 정부 역점 사업으로 철도 지하화 통합 개발 정책을 발표, 최근 2월 선도 사업으로 대전과 부산, 안산을 선정했다.
통상 철도 지하화 사업은 '철도 지하화 및 철도 부지 통합 개발에 관한 특별법(철도 지하화 통합 개발법)'에 따라 철도 지하화 통합 개발 전에 먼저 국토부 종합계획 노선에 반영돼야 한다. 이번 선도 사업에 선정된 구간은 종합계획 선정 없이 바로 종합계획에 포함돼 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됐다.
대전시는 앞서 지하화 대신 대전역과 조차장 역사만 재구조화하겠다는 입체화 식으로 제안서를 제출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의 선도 사업지에는 조차장역만 포함되면서 대전역 사업은 잠시 주춤했다.
다만, 선도 사업에 선정되지 않은 대전역 입체화도 추진 기회가 아직 남아있다.
올해 연말 국토부가 수립하는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 반영된다면 사업 추진은 충분히 가능하다.
국토부는 올해 연말까지 종합계획을 만들고 2026년부터 기본 계획 수립 절차에 들어간다는 것인데 대전역 구간 등 빠진 사업들이 연말에 추가 지정될 희망이 있기 때문.
특히 한 차례 고배를 마신 사업들뿐만 아니라 신규 사업을 추진하는 지자체들에게도 국토부 사업에 포함될 기회가 생기면서 벌써 치열한 경쟁이 예고된다.
실제로 국토부는 "5월 종합계획 제안서 제출 기한을 앞두고 앞선 선도사업 제안 때 보다 많은 문의가 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12월 발표를 앞두고 지자체 간 유치전이 뜨거울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전역 사업 반영 가능성에도 이목이 쏠린다.
대전시는 먼저 선정된 조차장역 사업과 같이 지하화가 아닌 상부 데크화를 중심으로 한 입체화 방식을 고수하기로 하면서 이번에도 가능성이 크지 않겠느냐는 의견이 적지 않다.
앞서 정부는 선도 사업 지정 과정에서 장거리 구간 철도의 지하화보다는 단거리와 상부 개발 가능성이 큰 사업에 손을 들어준 만큼 대전역도 선정 가능성이 있다는 해석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역 사업은 상부 데크 면적은 55㎡, 연장 길이는 0.4㎞로 조차장역보다 규모가 작다"라며 "철도 상부와 역전 시장 등 주변 부지를 통합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며, 이번엔 포함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