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한국교총 교원 인식 설문조사 |
12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실시한 전국 교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차기 대통령이 가장 중시해야 할 교육정책을 묻는 질문에 교사 23.6%가 '교권보호·보장'이라고 응답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교원 처우 개선(19.3%), 학급당 학생수 감축 등 교육여건 개선(17.9%) 순으로 나타났다. 대통령의 1순위 자질을 묻는 문항엔 교원 절반이 '소통과 통합능력'이라고 답했다.
교총은 제44회 스승의 날을 기념해 4월 29일부터 5월 7일까지 전국 유·초·중·고·대학 교원 5591명을 대상으로 교원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발표했다.
제21대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본격화된 가운데, 교총은 대선 후보들이 현장 교원들의 염원이 담긴 교육과제들을 공약으로 적극 반영해줄 것을 요구했다. 교사 절반 이상(58%)이 대선 지지후보를 정했냐는 물음에 '정했다'고 답했고, 향후 지지후보가 바뀔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엔 48.6%가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해 유동적인 교심(敎心)을 드러냈다.
![]() |
/출처=한국교총 교원 인식 설문조사 |
실제 2023년 3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퇴직한 10년차 미만 초·중·고 교사는 576명으로 최근 5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한국교육개발원 통계에서도 5년 미만 초등교사 중 '교직이탈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교사가 2021년 39.7%에서 2022년 48.6%, 2023년 59.1%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앞서 2024학년도 입시에선 전국 10개 교대가 수시 미달사태를 빚었고, 2023년 교대 자퇴생은 5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탈 원인으론 '교권 침해(40.9%)'를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사회적 인식 저하(26.7%), 업무강도 대비 낮은 보수(25.1%)도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저연차 교사 이탈 방지 대책으론 '교권 보호 법·제도 마련(37.3%)'과 '보수·수당 현실화(34.8%)'를 요구했다.
교권 침해는 학생 휴대전화 사용과 관련해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휴대전화 알람, 벨소리 등으로 수업 끊김·방해를 겪었다는 응답은 66.5%에 달했다. 학생의 휴대전화 사용을 제지하다 저항, 언쟁·폭언을 경험한 교원도 34.1%나 됐다. 또 교사 85.8%는 교육활동 중 몰래 녹음·촬영을 당할까 걱정된다고 답했다. 이 같은 우려에 학생·학부모가 교사 폭행 시 가중 처벌하는 교원지위법 개정안에 대해선 99.3%가 찬성했다.
교사들은 우수 인재가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교권 보호와 처우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도진 대전교총 회장은 "대전지역은 용산초 사건 등 교권 침해 문제들로 인해 타 지역보다 우려와 혼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가정과 연계되지 못한 공교육에 대한 신뢰 저하가 교사의 교직 기피나 이탈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는데, 교권 보호를 위한 사회적 제도 마련이나 법안 정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