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교통대학교. |
시민단체 '새로운충주포럼'은 14일 충북대와 한국교통대 통합 관련 민원에 대한 교육부의 무성의한 답변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새로운충주포럼에 따르면 4월 충북대-한국교통대 통합 관련 민원을 교육부에 제출했으나, 교육부는 기한을 연장하고도 '양교 간 합의를 통해 자율적으로 추진한 사항으로, 양교의 합의 결과를 존중할 필요가 있다'는 한 줄 답변으로 일관했다.
시민단체는 성명을 통해 "이 질의의 핵심은 통합 과정에서 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의견 제시 창구나 공식 절차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라며 "국립대학 통합이라는 중대한 사안이 지역의 고등교육 기반과 경제, 정주 환경까지 좌우할 수 있는 구조조정임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과 이해당사자는 철저히 '패싱'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통합 논의가 대학 내부의 비공개 협의와 1~2일 전 통보되는 형식적인 설명회 수준의 공청회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어 충주시민과 교통대 학생, 교수, 동문은 물론 의왕캠퍼스가 있는 의왕시민의 의견 수렴은 사실상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새로운충주포럼은 또 한국교통대가 철도, 물류, 모빌리티 관련 분야에서 독자 생존 및 특화 발전이 가능한 대학임에도 이러한 특성을 살려 자생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대안이나 방안에 대한 검토가 부족했다는 점도 문제로 제기했다.
이에 따라 새로운충주포럼은 ▲충북대-교통대 통합에 대한 지방균형발전 관점에서의 교육부 공식 입장 재정리 ▲충주캠퍼스의 공학 중심 특성화 전략과 R&D 육성 계획 명시 ▲지역사회, 학생, 교수,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공식 공론화 기구 설치 ▲향후 지방국립대 통합 및 구조조정 추진 시 지역 협의 절차 의무화 제도 정비 등을 요구했다.
이태성 상임대표는 "충주는 대한민국의 지방 도시이며, 지방을 존중하지 않는 국가는 결코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없다"며 "교육부는 충주시민의 목소리에 더 이상 침묵하지 말고, 책임 있는 재답변과 협의에 즉각 나설 것"을 촉구했다.
한편 교육부의 '글로컬 대학 30'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이번 통합은 충북 북부지역, 특히 충주지역의 교육적·경제적 기반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새로운충주포럼은 우려하고 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