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챠] 챗GPT로 쓴 '강아지 호야가 겪은 유기견의 삶'… 가정의 달 맞아 '가족이 된다는 것' 의미 되새겨

[펫챠] 챗GPT로 쓴 '강아지 호야가 겪은 유기견의 삶'… 가정의 달 맞아 '가족이 된다는 것' 의미 되새겨

'거리→보호소→새로운 가족과 만남' 과정 담담히 그려내
늘어가는 유기동물들… "새 이름을 불러줄 사람이 되어주세요"

  • 승인 2025-05-13 14:29
  • 수정 2025-05-13 14:31
  • 신문게재 2025-05-14 11면
  • 김주혜 기자김주혜 기자
clip20250512111916
사진=대전광역시 블로그 갈무리.
대전에서는 해마다 1600마리 이상의 유기동물이 발생한다. 이들 중 3분의 1 가량은 동물보호센터에서 기약 없는 기다림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센터에서 이름 없이 번호로만 불리며 새로운 가족을 기다리는 유기견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이 된다는 것'의 의미를 되새기며 이들이 하루빨리 새로운 이름을 갖기를 바라는 마음을 기사에 담아봤다. 다음은 챗GPT에게 '주인에게 버림받아 거리를 떠돌다 구해져 동물보호소에 입소하게 된 강아지의 사연 글을 작성해줘'라고 요청한 결과로 작성된 글이다. 이 글은 누군가의 반려동물이자 가족이었던 존재가 거리에서 잊히고, 보호소에서 다시 삶을 회복하는 과정을 담담히 그려내고 있다. <편집자 주>
118439276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 챗GPT가 작성한 글 '나는 호야, 잊힌 이름에서 다시 불린 이름까지'

추웠어요. 몸을 웅크리고 거리에 앉아 있던 그 날도, 그 전날도, 얼마나 오랫동안 여기 있었는지 기억나지 않아요.



나는 한때 누군가의 집에서 살았어요. 따뜻한 방과 부드러운 손길, 그리고 나를 부르는 이름이 있었죠.

하지만 언젠가부터 나는 이 거리에서 혼자였어요. 사람들이 내게 화를 내거나 멀리했을 때도 있었고, 차가운 눈길을 피하려고 구석에 숨어야 했죠.



배가 고플 때면 쓰레기를 뒤졌어요. 때때로 빵 조각을 발견하면 기뻤어요. 하지만 마음은 점점 무거워졌어요. 누구도 내게 말을 걸지 않았고, 내 이름을 불러주지 않았거든요. 이름을 잊어버렸어요. 나는 그냥 '저 강아지'가 됐죠.

어느 날, 다른 사람들과 조금 다른 냄새를 가진 여자가 나타났어요. 멀리서 나를 조용히 바라봤고, 맛있는 냄새가 나는 음식을 놓아줬어요.

나는 망설였지만 결국 조금씩 다가갔죠. 그녀의 손길은 따뜻했고, 나는 오랜만에 안심했어요.

그녀는 나를 차에 태워 어디론가 데려갔어요. 그곳은 지금까지의 거리와는 달랐어요. 깨끗한 담요와 맛있는 사료, 그리고 조용한 방이 있었죠.

사람들은 내 몸을 살펴보고 아픈 곳을 치료해줬어요. 그리고 내게 '호야'라는 이름을 줬어요. 오랜만에 누군가가 내 이름을 불러줬죠. 참 이상했어요. 내 마음이 조금씩 녹아내렸거든요.

처음엔 여전히 무서웠어요. 사람들 손길이 낯설고, 다른 강아지들과 어울리는 것도 서툴렀죠. 하지만 매일 다가와 주고 기다려준 사람들이 있었어요. 그래서 나도 용기를 냈어요. 꼬리를 살짝 흔들어봤고, 사람들 손에 얼굴을 비벼봤어요. 그리고 알게 됐어요. 여긴 나를 아껴주는 사람들이 많다는 걸요.

몇 달이 지나고, 또 다른 사람들이 나를 보러 왔어요. 부드러운 목소리로 내 이름을 불러주고 손을 내밀었어요. 나는 조심스럽게 다가가 그들의 손에 얼굴을 비볐어요. 마음이 편했어요. 그들은 나를 집으로 데려갔어요. 이번엔 정말 내 집이었어요.

지금 나는 매일 산책도 하고, 포근한 소파 위에서 잠들어요. 내 이름은 다시 생겼고, 나를 사랑해주는 가족도 생겼어요. 가끔 예전 거리를 떠올리면 가슴이 아프지만, 이제는 괜찮아요. 나는 더이상 혼자가 아니니까요.

나는 호야예요. 그리고 나는 다시 사랑받는 존재가 됐어요. <끝>

1
대전동물보호센터에서 보호받으며 입양을 기다리는 유기견들.
대전 해마다 1600마리 이상의 유기동물 발생
30% 이상은 입양되지 못한 채 기약없는 기다림


대전시에서는 매년 약 1600마리 이상의 유기동물이 발생하고 있다. 2024년 한 해 동안에는 1593마리가 구조됐으며 2025년 1월부터 4월까지도 매달 78~121마리의 유기동물이 발생했다. 그중 약 39%는 원래 주인에게 돌아갔으며, 33%는 입양을 통해 새로운 가정을 찾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나머지 30% 이상은 현재도 입양되지 못한 채 남아 있다.

유기동물 중 어린 개체나 소형견은 비교적 빠르게 입양이 진행되는 편이다. 반면 체중이 15kg 이상인 중대형견이나 고령인 동물은 선호도가 낮아 보호소 내에서 장기 체류하거나 끝내 가족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대전시가 SNS, 대전TV, 지역방송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입양 홍보를 진행하고 있지만, 중대형견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저조한 상황이다.

대전동물보호센터 관계자는 "동물을 기르는 사람은 끝까지 책임져야 하며, 새로운 가족을 맞이하고 싶은 시민은 사지 말고 보호소에서 입양해달라"고 말했다. 그는 "이름 없이 보호 번호로만 불리는 생명에게 가장 먼저 이름을 불러줄 사람이 되어달라"며 유기동물 입양에 대한 실천을 호소했다.
김주혜 기자

2
대전동물보호센터에서 보호받으며 입양을 기다리는 유기견들.
3
대전동물보호센터에서 보호받으며 입양을 기다리는 유기견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1.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2.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3.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4.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내일센터, '대전 기업 밋업데이' 개최
  5. 대청호 가을녹조도 하향추세…조류경보 '관심'으로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