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균형발전은 국토와 국민을 보전하기 위해 더는 늦출 수 없는 최우선 국가과제다. 수도권에 고부가가치 산업이 몰리면서, 지방과 GRDP 편차가 갈수록 커지는 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특화산업 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지역에 확충·분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이와 함께 중앙행정기관의 지방이전도 핵심 과제로 꼽았다. 설문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사실상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필요성 의견을 낸 것으로 풀이된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협) 의뢰로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20~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상대로 실시해 22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역 균형 발전 위한 차기 대통령 우선 해결 과제를 묻는 질문에 대전·세종·충청 응답자 중 22%가 '지역 특화 산업단지조성'을 꼽았다. 전국은 27%로 충청보다 높았다.
최근 100대 기업 본사 86%를 비롯해 IT 및 벤처기업 등 지식·정보, 그리고 대학·R&D(연구개발) 기능 등이 수도권에 몰리면서 지역 소멸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 지방에 고임금·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만큼 지역별 특화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본 것으로 여겨진다. 충청 등 지역과 성별, 연령대, 지지 정당, 직업, 생활 수준 등을 막론하고 모두 한목소리로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특화산업단지 조성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번 조사에서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중앙 행정기관 지방 이전'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충청권 21%로 전국 평균(15%)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실상 충청 주민들이 행정수도 완성 필요성을 촉구한 의견으로 보인다.
행정수도 완성은 충청권의 숙원이자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을 위한 상징적인 의제다.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를 비롯해 수도권에 남아있는 200여 개의 공공기관을 2차로 지방에 이전하면 균형발전에 키가 될 수 있다고 유권자는 보고 있다.
'지역 의료기관 확충'이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서 필요하다는 응답도 충청권은 19%나 됐으며, '지방·거점 대학 육성'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6%였다. 전국으로 범위를 넓히면 지역 의료기관 확충'은 20%, '지방·거점 대학 육성'은 5%였다.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지역 일자리 뿐만이니라 주거, 문화, 복지 인프라 확충도 중요하다는 의미다. 유권자들은 수도권 중심의 의료, 교육 시스템을 지역 중심으로 전환해 인재 유출을 막을 수 있다고 봤다.
메가시티를 위한 '광역 교통망 확대'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충청권에서 10%였다. 전국은 12%였다. 수도권 집중과 비수도권 공동화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빠르고 편리한 광역교통망 확충이 필수적이다. 광역교통망 구축을 통해 생활권을 묶어 응집 효과를 내자는 게 응답자의 생각이다. 피조사자 선정방법은 무선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상문 기자·대신협공동취재단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