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충청권 36개 시·군·구 중 21곳 승리…대전·세종 압승, 충남·충북 팽팽

  • 정치/행정
  • 6·3 대선

이재명 충청권 36개 시·군·구 중 21곳 승리…대전·세종 압승, 충남·충북 팽팽

李 세종 55.6% 득표로 金과 22.41%p차 압승…충청권 최고 득표율
대전 전 자치구서 우세…유성은 12%p 최대 격차, 중구는 4%p 이내 접전
충남은 산업도시 vs 농촌지역, 충북은 청주권 vs 동부산간 '표심 양분'

  • 승인 2025-06-04 16:43
  • 신문게재 2025-06-05 3면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PYH2025060400690001300_P4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6·3 대선에서 충청권 36개 시·군·구 가운데 21곳에서 승리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 5개 구 전역과 세종시에서는 압승을 거뒀고 충남 16개 시·군 중에서는 7곳, 충북 14개 시·군 중에서는 8곳에서 민주당 깃발을 꽂았다.

4일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충청권 4개 시·도 중 이 당선인이 가장 높은 득표율을 보인 곳은 세종시(55.62%)였다. 특히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33.21%)를 22.41%p로 따돌리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 임기 내 건립, 행정수도 완성 등 세종시민의 숙원을 담은 공약이 결정적인 지지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전에서도 모든 자치구에서 이 대통령이 앞섰다.



유성구가 49.51%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고, 특히 김 후보와의 득표율 격차는 12.02%p로 대전 5개 자치구 중 유일하게 두 자릿수 격차를 보였다.

유성구는 젊은 유권자와 연구기관 종사자가 밀집한 유성은 전통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이번에도 흐름이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대덕구는 48.84%, 서구 48.30%, 동구 48.23%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고, 중구 역시 47.26%로 가장 낮은 데다 김 후보(43.41%)와의 격차는 3.85%p로 접전 양상을 보였으나 결과적으론 신승했다.

충남에서는 이 대통령이 47.68%를 득표했다.

아산과 당진에서는 과반 득표율을 넘어 우세를 보였고, 서산·논산·계룡은 46~48% 득표율로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충남 서남부 농촌 지역인 공주, 보령, 태안, 금산, 부여, 서천, 홍성, 청양, 예산 등에서는 김 후보가 앞서 전통적인 보수 강세 지역임을 확인했다. 특히 홍성·서천에서는 1~3%p 차로 김 후보가 근소하게 우위를 점했다.

이로써 충남은 산업 도시와 농촌 지역 간 분할된 표심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충북에서도 지역별 표심이 엇갈렸다.

이 대통령은 충북에서 47.70%를 득표했다. 청주 4개 구(흥덕·청원·상당·서원)에서는 모두 47~50% 안팎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특히 흥덕구(49.49%)와 청원구(50.46%)에선 김 후보(38.95%, 38.97%)와의 차이가 10%p 이상 벌어지며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충주는 충북 내 최대의 접전지였다. 이 대통령이 46.04%, 김 후보가 45.19%를 득표해 불과 1188표(0.85%p) 차이로 이 당선인이 앞섰다.

반면 제천·단양·영동·보은·옥천·괴산 등 중북부 및 동부 산간 지역에서는 김 후보가 강세를 보이며 확실한 우위를 점했다. 특히 제천과 옥천은 3~4%p 격차로 야권이 앞섰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서구 괴정동서 20대 남성 전 연인 살해 후 도주
  2. [사설] 광역교통사업도 수도권 쏠림인가
  3. 과기계 숙원 'PBS' 드디어 폐지 수순… 연구자들 "족쇄 풀어줘 좋아"
  4. 의대생 복귀 방침에, 지역 의대도 2학기 학사운영 일정 준비
  5.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1. 이재명 정부 첫 '시·도지사 간담회'...이전 정부와 다를까
  2. 농식품부 '인공지능 융합 미래 식·의약 첨단바이오 포럼' 개최
  3. '전교생 16명' 세종 연동중, 5-2생활권으로 옮긴다
  4. [대입+] 정원 감소한 의대 수시, 대응 전략은?
  5. [춘하추동]폭염과 열대야,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헤드라인 뉴스


이대통령 "지역균형발전, 성장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

이대통령 "지역균형발전, 성장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

이재명 대통령은 30일 "지역균형발전은 대한민국 성장을 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점검 TF 3차 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대선 과정에서부터 강조한 5극(5개 초광역권) 3특(3개 특별자치도) 등 국가균형발전 국정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공정한 성장을 통해 대한민국 모든 문제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양극화를 완화해 나가겠다"며 갈수록 심각해 지는 수도권 1극체제 극복을 위한 노력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성장 전략..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대전 괴정동 전 연인 살해 사건으로 교제폭력 특별법 부재, 반의사불벌죄 문제가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사건 한 달 전 피해자가 가해 남성의 폭행에도 처벌을 원치 않았고 경찰의 안전조치 권유도 거절했으나, 그 기저에는 보복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피해자 의사와 관계없이 가해자를 처벌하고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가 시급하지만 관련 법 제정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대전 서구 괴정동의 주택가에서 A(20대)씨가 전 연인 B(30대·여성)씨를 살해한 혐의로 경찰에..

세종시 `상가 공실 해소` 칼 뺐다… 업종 확대 등 규제 완화
세종시 '상가 공실 해소' 칼 뺐다… 업종 확대 등 규제 완화

상가 공실로 몸살을 앓고 있는 세종시가 상가 허용 업종을 대폭 확대하고, 관광숙박시설 입점 조건을 완화한다.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상가 활성화를 저해하는 '족쇄'를 일부 풀겠다는 전략인데, 전국 최고 수준인 상가공실 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중도일보 7월 5일 온라인 보도> 세종시는 행복도시 해제지역의 상가공실 해소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을 고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지구단위계획 변경은 상가의 허용업종 확대, 일반상업지역 내 관광숙박시설 입지 허용(총 8필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