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김호연재 문학관' 건립을 희망하며

  • 오피니언
  • 독자 칼럼

[기고] '김호연재 문학관' 건립을 희망하며

최충규 대전 대덕구청장

  • 승인 2025-06-11 16:53
  • 신문게재 2025-06-12 18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최충규 대덕구청장 프로필 사진★ (2)
최충규 청장.
대덕구는 덕을 품은 도시 '회덕(懷德)' 천년의 역사 문화를 계승한 도시다. '회덕'은 공자가 논어에서 "군자는 덕을 생각하고, 소인은 살 땅을 생각한다.(君子懷德, 小人懷土)"라고 말했듯이, 자기 자신의 이익보다 타인을 이롭게 하고자 하는 '군자지향'의 의미를 갖는 단어다. 회덕현은 역사 속 대전 사람들의 유구한 삶의 서사를 이어왔는데, 오늘날 대덕구 행정동의 하나인 회덕동으로 그 이름이 남아있다.

우리 대전의 역사와 전통 속에서는 시대별로 많은 인물들이 배출되었다. 그 가운데에서도 아주 특별히 대전이 품은 위대한 여성 문인이 있다. 바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여성 문인 김호연재(金浩然齋, 1681~1722)이다. 김호 연재는 사대부가의 여성으로서 그 활동이 단절되었던 시대에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문학적 감수성과 확고한 자의식을 바탕으로 244수의 한시 작품을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김호연재는 병자호란 때에 국토가 청나라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된 것을 목도하고 숭고한 목숨을 던져 충절의 상징이 된 선원 김상용 선생의 현손녀이다. 동춘당 송준길 선생의 증손자 송요화와 혼인함으로써 회덕의 여성으로 살다 갔다. 김호연재는 당당한 명문가의 후손으로 태어나 지적 자부심이 대단했던 여성 지식인이었다. 그러나 자신의 문학적 재주와 기개를 접고, 나약한 한 여성으로 숨죽여 살아야 했던 시대 상황에 고뇌했다.

300여 년 전 김호연재는 자신이 처해있었던 문학 환경을, "뜻이 있어도 말하기 어렵고, 문필 있으나 감히 다하지 못한다. 소리를 삼켜 홀로 통곡하고, 흐르는 눈물이 옷깃을 적실 뿐."이라고 고통스러워했다. 김호연재는 성현의 도를 따르고, 군자의 길을 걷고자 한 여성 선비다. '탕탕한 군자의 마음'을 지닌 자기 자신이 너무도 아깝다고 독백했다. 김호연재는 그러한 운명 앞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다!"라고 좌절했다. 날개 꺾인 한 영웅의 외침이 귓가에 맴도는 듯하다.



김호연재의 삶과 문학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지 3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김호연재의 작품은 전통시대 우리나라 여성문인 가운데에서도 자의식이 뚜렷하고, 정체성이 확고한 작품세계로 평가받고 있다. 그녀가 남긴 주옥같은 시집 '호연재유고'가 여러 권이 있다.

대전시와 우리 대덕구는 자랑스럽게도 우리나라 여성문학사에서 가장 빛나는 김호연재를 보유한 도시다. 김호연재라는 여성인물을 통해 '문학도시 대전'이라는 새로운 문화 아이콘이 만들어지기를 소망해 본다. 김호연재 문학관이 건립되어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대전과 대덕구의 문화적 자부심을 대한민국과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만들어지기를 희망해 본다. 다소 늦었지만, 지금이 가장 적기라고 생각한다. 김호연재 문학관이 건립되어 문학도시 대전의 품격을 높이고, 시민의 삶과 질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콘텐츠가 탄생하기를 기대한다.

최충규 대전 대덕구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3. 차기 대전교육감 선거 진보 단일화 시작? 5명 한 자리에
  4.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5. [춘하추동] 문화유산 회복 운동에 있어 재외동포의 역할
  1. [2025 대전교육청 학력신장] 창의융합형 수업으로 미래 역량 씨앗 키우는 대전태평중
  2. 충남대병원, 중증질환 소아청소년에게 완화의료 알리기 캠페인
  3.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4. [홍석환의 3분 경영] 지금 그리고 변화
  5. "거점 국립대만 키우나…" 비수도권 사립대 불안감 심화

헤드라인 뉴스


육사 지방이전 또 불붙나…충청 유치 선제대응 시급

육사 지방이전 또 불붙나…충청 유치 선제대응 시급

한 동안 불붙었다가 사그라들었던 육군사관학교 지방 이전 주장이 올 국정감사에서 또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 국가균형발전 등 차원에서 당위성을 재차 설파한 것인데 이를 지렛대로 '국방수도' 충청권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지역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더불어민주당 이상식 의원(용인갑)에 따르면 전날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내란청산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서울 노원구에 있는 육군사관학교의 지방이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육사는 61년의 박정희 쿠데타, 80년의 전두환 쿠데타 12·3..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미중 무역갈등 재격화 우려 속에서도 상승 출발, 3600선을 재탈환하며 장중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코스피가 종가 기준 최고가마저 경신했다. 15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95.47포인트(2.68%) 오른 3657.28로 거래를 종료했다. 지수는 18.83포인트(0.53%) 오른 3580.64로 개장한 이후 꾸준히 고점을 높여갔고, 장 막판 한때 3659.91까지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전날에도 장 중 한때 3646.77까지 상승, 직전 장중 최고치(3617.86·10월 10일)를 갈아치웠으나 이후 급락해 3561.81로 장을..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이 15일 별세했다. 향년 67세. 고인은 1958년 대전에서 태어나 대전중, 충남고, 충남대를 졸업했다. 제34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사법연수원(24기)를 수료한 뒤 변호사로 활동하다 현실 정치에 뛰어들었다. 17대 총선에서 대전 유성에 출마해 국회에 입성한 후 21대까지 내리 5선을 지냈다. 유성은 물론 대전, 나아가 충청발전을 위해 힘썼고, '법의 정의'를 지키고 소외계층과 사회적약자를 위한 지원에도 앞장섰다. 2023년 12월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뒤 이듬해 1월 국민의힘에 입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