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필자는 대청호 수몰 지역에 관심이 있어 그곳에서 살고 있는 수몰 지역 원주민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눈 적 있었다. 그들은 한결같이 수몰로 고향을 잃고 정든 이웃들과 헤어져 만나지 못하는 상실감의 고통을 호소하고 있었다. 대청호 최고의 경관을 자랑하는 명상정원은 양칭이마을 뒷산으로 아리랑목장이 있던 곳이다. 주원천 변 동면 장터 소장이 서던 공터에는 가끔 천막으로 만든 간이극장이 들어섰던 곳이다. 은빛 모래사장으로 유명한 내탑수영장과 금강을 건너는 나룻배가 있던 탑산마을 등 그들의 기억 속에 고향은 아직도 머릿속에 생생하다. 그러나 물속에 잠겨 용궁이 된 고향마을은 시퍼런 호숫물 속에 잠들어 있어 고향을 그리는 수몰 지역 사람들의 마음만 간절할 뿐이다. 그들의 희생으로 인근 도시의 사람들은 깨끗한 생활용수를 안정되게 공급받고 있다. 그들의 아련한 추억이 어린 물속 고향마을은 대청호오백리길 이름으로 관광객들에게 수변 경관의 아름다움을 즐기는 힐링의 대상이 되었다.
수년 전 대청호 안에 있는 붕어섬에 대청호수로와 오동선 주민들의 가교로 대청호를 전국적인 관광명소 만들기 위해 연륙교 교량을 추진하려는 일이 있었다. 이런 관광 위주 개발은 상수원 보호구역인 이 지역에 난개발을 불러올 수 있다. 수몰민들은 단순한 과거 추억과 회상만이 아니다. 그들은 조상 대대로 수백 년간 살아왔던 삶이 단절되고 잊혀가는 상실감이 더 큰 마음의 상처다. 댐 건설로 제대로 된 보상도 없이 고향에서 쫓겨난 그들에게 더 이상 일방적 희생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 더 이상 수몰 지역 원주민들의 고통을 외면해서도 안 된다. 그들이 힘들 때 찾아와 물에 잠긴 고향을 바라보며 헤어진 이웃들과도 만나서 소통하고 그간의 아픔을 치유하고 그들이 살아왔던 삶의 흔적을 기록하고 전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들의 고향이 잘 보이는 붕어섬에 그러한 일을 전문적이고 지속적으로 펼치기 위해서 수몰 지역 원주민을 위한 친환경적인 기념관이나 박물관 등 설립이 필요하다. 그곳에는 굳이 연륙교 같은 시설도 필요 없이 탑산, 가호, 아득이나루가 인근에 있었듯 나룻배를 타고 그곳에 들어가면 또 어떨까? 그러면 대청호반이 단순한 풍광을 보는 관광지만 아닌 대청호 물속에 수장 된 수몰민들의 삶과 역사가 재 조명되어, 대청호 주변은 아름다운 풍광과 더불어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며 미래로 전승되는 더 풍요로운 곳으로 다시 태어날 것이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