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름철 화재 중 냉방기기 사용 증가와 노후 전기설비 과부하 등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는 약 35% 수준이다. 경찰은 2일과 지난달 24일 부산지역 아파트에서 어린 자매 4명의 목숨을 앗아간 두 건의 안타까운 화재 사고도 전기적 요인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2일 화재는 에어컨과 실외기를 연결하는 멀티탭 전선에서 단락흔(끊어진 흔적)이 발견됐고, 지난달 26일 화재의 발화점 역시 거실에 있는 멀티탭으로 추정된다.
에어컨과 실외기 등을 연결한 멀티탭 과열에 따른 발화에 화재를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아 인명 피해가 난 것으로 보인다. 이번 두 건의 화재는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되기 전인 2005년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에서 발생했다. 어린 자매들의 목숨을 잇따라 앗아간 화재의 원인이 모두 멀티탭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면서 가정 내 전기적 요인으로 인한 화재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국적으로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아파트 단지는 2만4000여곳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대전의 경우 지은 지 30년을 넘은 공동주택은 시·도 중 가장 높은 35% 수준으로, 대부분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소방전문가들은 멀티탭의 주기적인 교체와 과다한 기기 연결 금지, 먼지 제거 등 청소만 해도 전기적 요인의 화재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말한다. 계절을 떠나 노후 아파트는 물론 일반 주택에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방법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