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청 산불<제공=산청군> |
긴급대피한 주민만 700여 명, 사망자 4명과 부상자 10명 등 인명 피해도 컸다.
건조한 날씨와 강풍이 화마를 키웠고, 산불 3단계가 발령된 이후에도 불길은 마을과 시설로 빠르게 번졌다.
재난은 하루였지만, 복구는 매일이다.
산청군은 산불 다음 날인 3월 22일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총 313억 원 규모의 복구비를 배정받았다.
범정부 차원 지원이 시작됐고, 장례·의료·심리지원부터 주거·통신·전력 복구까지 신속히 이뤄졌다.
피해 주택 92동은 모두 철거됐고, 18세대에 주택 복구비를 지급했다.
그 중 16세대는 신축을 희망해 개별 건축사와 1:1로 매칭됐으며, 1호 착공이 지난달 시작됐다.
군은 추석 전 입주를 목표로 복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건축설계비·감리비·토목설계비 감면과 지적측량 수수료 면제 등 행정지원도 함께 진행 중이다.
농업·축산·임산물 피해에 대한 지원도 이어졌다.
현재까지 사유시설 복구비 87억 원 중 63억 원이 지원됐고, 농기계 무상임대, 재해대책자금 융자 등도 병행 추진됐다.
이재민에게는 숙박비·급식비를 포함한 생활지원이 제공됐으며, 53억 원에 달하는 모금액은 순차적으로 배분될 예정이다.
산림복구 역시 병행된다. 긴급벌채와 조림, 산사태 예방사업이 지속되고 있으며, 산불 피해 지역 장기적 생태 복원 계획도 마련 중이다.
하지만 회복이 속도만큼 깊이를 갖기 위해선 또 다른 질문이 필요하다.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구조는 있었는가.
다음을 대비할 시스템은 충분한가.
이승화 군수는 "지리산이라는 산림 중심 지역 특성을 감안하면 진화헬기 상시 배치와 남부권 산불대응센터 건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산불은 언제든 다시 찾아올 수 있다.
그러나 구조와 대응은 바꿀 수 있다.
그 차이가, 다음 봄의 모습까지 바꿀 수 있다.
산불은 사라졌고, 복구는 진행 중이며, 진짜 과제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남은 건 나무가 아니라 방향이다.
산청=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