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마·폭염 대비 특별대책 회의<제공=하동군> |
전 부서가 참여하는 T/F팀이 가동되며, 고령자와 실외 노동자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기상청은 올해 7~8월이 평년보다 무덥고 폭염일수도 많을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지난 6월부터 경남 지역은 40도에 육박하는 날씨가 이어졌고, 온열질환자 발생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동군은 5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를 폭염대책기간으로 정하고 5대 전략 중심의 대응책을 추진 중이다.
군은 현재 총 26명으로 구성된 T/F팀을 중심으로 '인명 피해 제로화'와 '재산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설정했다.
핵심 전략은 폭염 취약계층 보호, 무더위 쉼터 운영, 폭염 저감 인프라 확충, 농축수산업 보호 등이다.
특히 정오부터 오후 5시까지 실외작업을 자제하도록 권고하고, 군 발주 건설현장은 유연하게 작업 일정을 조정한다.
군은 마을회관과 경로당 등 393곳을 무더위쉼터로 지정하고, 야외 쉼터 27곳에도 생수·부채·냉방기를 비치했다.
읍면사무소 양산 대여소 운영과 시가지 살수차 운행 등도 병행하며 생활 밀착형 대응도 병행한다.
또한 독거노인과 고령자를 위한 '안부 전화 드리기' 운동, 방문 건강관리 서비스, 1:1 안전예찰 등도 강화됐다.
농업기술센터는 농작물 재해대책상황실을 운영하며, 해양수산과는 고수온 대응 장비 확충과 수온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하동군은 올해 폭염 대응의 핵심을 '전 부서 참여'와 '생활 기반 대응'으로 설정한 만큼, 다양한 계층에 닿는 대책이 설계됐다.
그러나 기후 변화로 매년 반복되는 극한 폭염에 대비하려면, 일회성 대응을 넘어 장기적 인프라와 제도 보완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늘은 만들 수 있어도 기온은 내리기 어렵다.
폭염은 누군가에겐 위협이 아니라 재난이기에, 행정의 대응은 빠를수록 삶에 가까워진다.
하동=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