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부여군당협, “박정현 군수 폭행은 법치주의 훼손… 강력한 처벌 촉구”

  • 전국
  • 부여군

민주당 부여군당협, “박정현 군수 폭행은 법치주의 훼손… 강력한 처벌 촉구”

“6만 부여군민 모욕한 폭력”… 민주당, 군수 폭행 사건에 긴급 성명...박정현 군수 “군민이기에 고발 망설여”

  • 승인 2025-07-21 10:24
  • 김기태 기자김기태 기자
KakaoTalk_20250721_101610033_01
김민수 도의원이 박정현 군수 폭행 관련, 성명서를 내고 즉각적인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7월 17일, 충남 부여군 규암면 수해 현장을 점검하던 박정현 군수가 한 주민으로부터 주먹과 욕설 등 폭행을 당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부여군당원협의회는 21일 오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이날 김민수·김기서 충남도의원을 비롯한 군의원, 지역 당원 60여 명은 "이번 사건은 단순한 개인의 감정 표현이 아닌, 공권력에 대한 정면 도전이자 법치주의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심각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특히 김민수 도의원은 "이번 사태는 6만 부여군민을 대표하여 강력하게 규탄한다"며 사법 당국의 철저한 수사와 단호한 처벌을 촉구했다.

사건이 발생한 규암면은 과거에도 상습 침수로 피해가 반복되던 지역이다. 해당일 새벽부터 부여군 공무원들은 차수벽 설치와 하수 유도 등의 복구 작업에 매진하고 있었고, 박 군수 역시 주민 피해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현장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피해 상인이 갑자기 접근해 군수를 향해 폭력을 행사했고, 이는 현장에 있던 공무원들과 당원들에게 큰 충격을 안겼다.

KakaoTalk_20250721_101610033_05
박정현 군수 폭행 관련해 규탄 성명서를 내기 위한 더불어민주당 부여군당원협의회 회원들
더불어민주당 부여군당협은 "민원은 제도적 절차를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이지, 폭력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밝히며, "이번 사건은 공직사회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반드시 강력한 법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정현 군수는 현재 고발 여부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으나, 더불어민주당과 공무원 사회의 강력한 입장 표명에 따라 조만간 고발 조치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주민 민원 사건을 넘어, 공무 수행 중인 지방자치단체장을 폭행한 중대한 공권력 침해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민주사회에서 행정 집행의 최일선에 있는 공직자에 대한 물리적 폭력은 사회적 합의를 깨뜨리는 위험한 선례가 될 수 있으며, 법적·제도적 대응의 강화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수해라는 재난 상황 속에서도 현장을 누빈 공무원들의 노력을 무색하게 만드는 행위는 공동체 신뢰를 해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공무 수행 중인 인력에 대한 보호 체계를 정비하고, 위기 상황에서의 행정 권위와 질서를 지키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요구된다.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2. 대전·세종·충남 호우특보 해제…일부 지역 밤까지 강한 비
  3. 새정부 유일 충청 출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 ‘지명 철회’
  4. 폭우 구름띠 좁고 강해졌는데 기상관측망은 공백지대 '여전'
  5. 대전시,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축소 해명 나서
  1. 폭우 지나고 폭염·열대야 온다…당분간 곳곳 소나기
  2. 자연계 강세 4년째 지속… 인문계와 격차 벌어져
  3.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4. 한솔제지 "신탄진공장 사망사고 근로자 깊은 애도"
  5. 3년째 축소된 지방교육재정, 전국교육감들 "깊은 우려… 축소 논의 멈춰야"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