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후보자의 갑질 의혹은 그동안 양파껍질 까듯 터져 나왔다. 문재인 정부의 여성가족부 장관까지 갑질 문제를 제기할 정도다. 심각한 것은 자신의 정치 활동을 돕던 보좌진들에 대한 갑질이다. 여성가족부는 사회적 약자를 돕는 대표적인 부처다. 역대 정부에서 이 정도 논란이면 본인이 물러나거나 대통령이 지명을 철회하는 수순을 밟았다. 강 후보자의 사퇴는 민주당 대표 경선에 나선 박찬대 의원까지 나서 사퇴를 요구하는 영향도 크다.
강선우 후보자 임명을 둘러싼 논란과 이진숙 전 후보자의 낙마, 해수부 부산 이전 속도전을 보면서 지역민들은 이 대통령의 충청권에 대한 인식을 궁금해하고 있다. 해수부 부산 이전의 명분은 북극항로 개척이지만 정확한 실체를 아는 국민은 거의 없다. 북극항로 개척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해수부 이전에 대한 이해를 구했다면 반발은 덜했을 것이다. 내년 지방선거와 2028년 총선 등 정치 로드맵에 맞추고 있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일련의 일들은 충청 출신 인사 한두 명의 입각이나, 정부 부처 한 곳 옮기는 문제로 국한할 사안이 아니다. 이 대통령의 인재 발탁 철학과 행정수도 완성이라는 국가 과제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는 사안이다. 정작 충청 정치권은 진영으로 쪼개져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호랑이 등에 올라탄 기세'의 대통령 임기 초지만 여당인 지역 민주당 의원의 각성이 필요하다. 대통령이 듣기 좋은 말만 해선 민심 이반은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