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AI 기술력은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 2025년 글로벌 AI평가지표(Tortoise Global AI Index)에서 발표한 AI국가 순위를 보면 우리나라는 AI 초강대국인 미국, 중국, 영국, 인도, 싱가포르, 프랑스에 이어 7위로, 1위인 미국의 AI 혁신역량지수 70.06점에 1/3 수준인 20.48점이다. 이재명 정부에서 AI 글로벌3(G3)를 목표로 정책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지만, 미국이나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LLM(Large Language Model)까지 가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AI 시대를 대비해 충청권 4개 시·도의 방향을 짚어봤다.<편집자 주>
정부가 인공지능(AI) 초혁신경제 시대를 선도하는 국가로 도약을 강조하면서 AI산업 속도전에 대전시의 발걸음이 빨리 지고 있다.
최근 이재명 정부의 정책 방향을 공개한 국정기획위원회, 새 정부의 미래 경제 성장 전략의 축은 'AI로의 대전환'이었다. 산업 생태계를 AI 중심으로 재편해 한국을 AI 세계 강국을 만들겠다는 포부다.
정부 정책 방향에 전국 광역·기초자치단체들이 분주하다. 광주는 총사업비 6000억원 규모의 인공지능(AI) 2단계 사업을, 전북은 '협업지능 피지컬 AI 기반 SW 플랫폼 연구개발 생태계 조성'사업을, 대구는 2조5000억원 규모의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에 적극 뛰어들고 있다. 경북도 정부의 'AI·에너지 고속도로'에 대응해 국가 AI 컴퓨팅 센터 유치와 산업 AI 혁신지원센터 조성에 나서고 있다.
반면 대전은 아직 굵직한 과제를 발굴하지 못하고, 전략도 구체적이지 못하다. AI허브 역할을 할 AI융합혁신센터 조성과 AI산업 육성 관련 10여 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미흡한 실정이다. 대전의 강점을 내세운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바탕으로 대전은 지역전략산업 맞춤형의 AI 기반 전환 및 고도화, AI 기반 혁신 스타트업 발굴·육성, AI 핵심 전문인력 양성 등에 주력해야 한다. 특히 대전은 '과학수도'다. 대전은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한 국가 R&D(연구개발) 역량이 밀집된 도시다. 미래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최적지다. 국가자원 대부분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상황에서 국가균형발전을 고려할 때 미래산업의 핵심 역할은 결국 대전이 해줄 수 밖에 없다. 더욱이 대전은 AI산업의 필수인 융합을 위한 기반이 갖춰진 도시다.
대전시는 지역 전략산업으로 ABCD+QR(우주항공, 바이오헬스, 나노반도체, 국방, 양자, 로봇) 산업을 집중 육성해 왔다. 모두 첨단 산업으로 AI로 폭발력을 거둘 수 있다. 대전시는 이들 사업의 AI 전환을 위한 기업 지원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펼칠 예정이다.
특히 대전은 최근 바이오헬스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바이오헬스산업은 AI 기술이 전통적인 의료기기, 의약품, 의료산업에 융합되면서 의료 패러다임이 환자(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 및 질병의 예후·예측 기반 건강관리 영역까지 확장되고 있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다양한 생체의료데이터에 AI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 인공지능·빅데이터 기반 독립형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환자 맞춤형 재활의료기기, 차세대 융복합 체외진단시스템 등이 등장해 새로운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대전인 강점인 의약품 분야에서는 AI의 다양한 학습기능이 적용돼 신약 개발과정에서의 연구 개발 생산성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대전의 또 다른 강점은 인재다. 모든 첨단산업이 그렇듯 AI산업의 핵심도 인재다. 대전은 KAIST(카이스트)를 비롯해 충남대 등 인재 양성을 위한 기반 토양이 잘 갖춰져 있다. 하지만, 대기업 부재 등 사업 기반이 약하다 보니 수도권이나 관련 대기업이 자리한 타 시도에 인재를 빼앗길 소지가 다분하다. 모든 산업이 그렇듯 우수한 연구 역량과 기반시설(인프라)을 바탕으로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이 절실하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의 인공지능 산업 육성 기본계획 연구결과를 참고해 9월 중으로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각 전략산업 별 필요에 따라 AI 전환계획을 수립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