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20강 삼감지계(三鑑之戒)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20강 삼감지계(三鑑之戒)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5-09-0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220강 三鑑之戒(삼감지계) : 세 개의 거울의 경계(警戒)

글자 : 三(석 삼/세 개) 鑑(거울 감) 之(~의/관형격 조사) 戒(경계할 계)

출처 : 오긍(吳兢)의 貞觀政要(정관정요)

비유 :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재(人才)이다.



중국 역사상 정치(政治), 경제(經濟), 문화(文化)의 꽃을 피웠다고 평가받는 당 태종(唐 太宗) 이세민(李世民)!

그는 모든 것을 이루고 (단 하나 이루지 못한 꿈/고구려 정벌) 죽음에 임박하여, 후손과 신하들에게 삼감(三鑑 /세 개의 거울)의 내용을 설명했다고 기록 되어있다. 곧 자기를 대당황제(大唐皇帝)로 있게 해준 고마운 존재 세 가지를 꼽은 것이다. 당 태종은

"동(銅/구리)으로 거울을 만들면 의관(衣冠)을 단정(端正)히 할 수 있고,

역사(歷史)를 거울로 삼으면 천하의 흥망(興亡)과 왕조 교체의 원인을 알 수 있고,

사람을 거울로 삼으면 자신의 득실(得失)을 분명히 알 수 있다."라고 했다.

이른바 당 태종의 '삼감론(三鑑論/세 개의 거울)'이다.

'이봉이록 민고민지(爾俸爾錄 民膏民脂)'는 '관리들의 봉록은 다 백성들의 기름이다.'라는 뜻이다. 관리들이나 관원들의 봉급은 모두 백성들이 바친 비단이나 곡식으로 준다. 모두 피땀 어린 노력을 하여 정성으로 거두어들인 것들이다. 그러니 함부로 힘없는 백성들을 학대하여 더 이상 부당하게 뜯어가지 말라는 경고의 지침이기도 하다. 당 태종 이세민(李世民)은 아버지 이연(李淵/唐高祖)을 도와 수(隋)나라를 멸망시키고 당(唐)나라를 세운 일등 공신이다. 당 고조(唐 高祖) 이연(李淵)에게는 22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정실 두씨(竇氏) 사이에 네 명의 아들이 있었다. 장남 이건성(李建成)과 둘째 이세민(世民), 셋째 이현패(李玄覇), 넷째 이원길(李元吉)이다.

맏아들 황태자 이건성은 동생 이세민을 두려워하였다. 황태자 이건성 밑에는 위징(魏徵)이라는 신하가 있었는데, 위징(魏徵)은 황태자 이건성과 넷째인 이원길을 도와 둘째인 이세민을 죽이려 하였다. 이것을 눈치챈 이세민은 재빨리 먼저 '현무문(玄武門)의 난(亂)'을 일으켜 형 이건성과 아우 이원길을 제거했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고조(高祖) 이연(李淵)은 이세민을 황태자로 세우고 조칙을 내려 크고 작은 군사와 일반 정치를 모두 태자에게 맡겼다. 그 후 당 태종이 된 이세민은 이건성을 도운 위징(魏徵)을 처벌하지 않고 오히려 중용(重用)하였다. 그의 인격에 끌렸고, 옳은 일에는 굽힐 줄 모르고 직간(直諫)하는데 큰 감명을 받았기 때문이다. 위징(魏徵)은 그냥 보통 사람에 지나지 않았다. 단지 담력(膽力)과 계략(計略)으로 황제(皇帝)의 생각을 잘 읽었을 뿐이다. 더러는 정면으로 직접 간언(諫言)하여 당 태종의 마음을 상하게도 하였다. 당 태종의 심기가 불편할 때도 위징의 자세는 당당함, 그대로였고, 조금도 동요 하지 않았다. 그런 위징의 태도에 당 태종은 감정을 억누르며 노여움을 가라앉히곤 했다. 어느 날 당 태종이 아름다운 새매를 구하여 손바닥에 놓고 가지고 놀고 있었다. 그때 멀리서 위징이 오는 것을 보자 얼른 새매를 소매 속에 감추었다. 위징은 당 태종에게 업무를 보고하면서 짐짓 시간을 지체하였다. 결국 새매는 당 태종의 소매 속에서 죽고 말았다. 당 태종에게는 위징의 직간하는 태도가 모두 경계하도록 하는 말이었고, 하나도 이치에 어긋남이 없는 솔직한 말이었다. 그러므로 당 태종은 어쩌면 그러한 태도의 위징을 밉지만, 믿는다는 생각 이상으로 아꼈기 때문이다. 위징이 병으로 자리에 누웠을 때 당 태종은 위징의 집으로 약(藥)을 보내고 왕실 호위 무관을 보내어 기숙하면서 보고토록 하였다. 그러다가 당 태종 자신이 스스로 황태자(皇太子)와 함께 병문안을 가기도 하였다. 그를 매우 아꼈기 때문이다.

당 태종은 오직 백성을 위한 일에 최우선을 두었다. 당 태종 시대를 역사상에서는 '정관의 치(貞觀之治)'라고 한다.

당 태종(唐太宗)이 역사상 영명(英明)한 군주로 기록된 데에는 위징(魏徵), 방현령(房玄齡), 두여회(杜如晦)와 같은 훌륭한 신하들이 많이 있었고, 태종 또한 그들의 말을 잘 들어주었기 때문이다. 하루는 태종이 위징에게 물었다.

"왜 어떤 군주는 지혜롭게 되고, 어떤 군주는 혼암(昏暗)하게 되는가?" 대답하기를 "일을 처리하면서 각 방면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두루 들으면 현명한 임금이 되고, 한쪽 말만 지나치게 들으면 혼암한 군주가 됩니다. (兼聽則明 偏聽則暗)"

위징(魏徵)이 죽은 후 당 태종은 조정에서 신하들에게 이렇게 술회했다.

"나는 그동안 정사를 하면서 나를 비추어 보는 세 가지 거울이 있었으니, 나의 의관(衣冠)을 단정하게 하는 거울이 그 하나요(鑑乎鏡),

지나간 사람들의 발자취와 교훈을 비추어 보는 역사서(歷史書)가 그 둘이요(鑑乎前), 마지막으로 내가 처리하는 정사의 잘 잘못을 비추어 주는 간의대부(諫議大夫) 위징이라는 거울이 있었다(鑑乎人).

그런데 이제 그중 하나가 없어졌다." 그리고 다시 당부했다.

"천하의 일에는 선(善)과 악(惡)이 있는데 선인(善人)을 등용하면 나라가 안정(安定)되고, 악인(惡人)을 등용하면 나라가 위태(危殆)롭게 된다. 이후에 인재를 등용하면서 감정이나 애증에 의하지 말아야 할 것이며 내 잘못을 보거든 위징처럼 기탄없이 간쟁(諫爭)해야 한다."

간언(諫言)은 군주를 위한 것도 있지만 백성을 위해서라면 목숨을 내놓아야 하는 것이다. 어리석은 사람은 오직 자신의 외모를 비추는 거울 즉 동감(銅鑒)만을 알지만, 현명한 사람은 타인의 시선을 통해 자신을 ?비추어 보는 인감(人鑒)을 중요시하면서 시대(時代)를 성찰(省察)하고 역사의 흐름을 비추는 사감(史鑒)을 보는 혜안(慧眼)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지도자분들 역사를 통해 얻는 지혜를 갖고, 오직 국가와 국민을 위한 우수(優秀)한 인재(人才)를 등용하여 면면(綿綿)히 이어온 대한민국의 동력(動力)을 키워 가는데 헌신했으면 한다.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홍대용과학관, 8일 개기월식 온라인 생중계 운영
  2. [날씨]200년 빈도 폭우 쏟아진 서천…시간당 137㎜ 누적 248㎜
  3.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4.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5.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1. KAIST 교직원, 법인카드 이용 횡령 의혹… 경찰 수사 착수
  2. 8일부터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전년과 달라진 점은?
  3. [2026 수시특집-우송대] 지역 한계 넘어 세계로… 국제화 역량·특성화 교육성과 입증
  4. [2026 수시특집-우송대 이렇게 뽑는다] 2138명 선발… 모든 전형 수능최저 미적용
  5. [홍석환의 3분 경영] 문득 생각나는 사람

헤드라인 뉴스


‘충청 여야대표 시대’… 극한 정치적 대립 풀어낼 해법 이제 시작?

‘충청 여야대표 시대’… 극한 정치적 대립 풀어낼 해법 이제 시작?

충청 출신이 여당과 야당을 이끄는 이른바, ‘충청 출신 여야 대표 시대’. 극에 달한 정치적 대립과 대결을 하나씩 풀어낼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물론 여전히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이 산적하지만, 오랜 갈등과 마찰로 피로도가 큰 데다 대내외적 악재까지 겹치면서 여야의 협치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8일 이뤄진 이재명 대통령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의 첫 오찬 회동은 국민적 관심을 받았다. 예상과 달리 시작부터 분위기는 화기애애했다. 장동혁 대표가 먼저 인사말을..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항일 독립운동 폄훼와 친일 논란을 빚고 있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8일 국회를 찾았다고 혼쭐이 났다. 8·15 광복절 기념사 왜곡과 광복회원 농성의 부당성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지만,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사면서 쫓기듯 국회를 벗어날 정도였다. 김 관장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은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주선했다. 김민전 의원은 12·3 비상계엄 후 올해 1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겠다’며 한남동 공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자신들을 ‘백골단’으로 소개한 ‘반공청년단’의 국회 소통관 기..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발의 코앞… 여야 정부 공감대 `안갯속`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발의 코앞… 여야 정부 공감대 '안갯속'

내년 출범을 목표로 추진 중인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위한 특별법안이 빠르면 이번 주 국회에 제출된다. 두 시·도는 실질적인 지방정부 구현을 강조하며 통합에 속도 내고 있는 가운데 특별법 국회 통과를 위한 여야와 정부의 공감대를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7일 대전시와 충남도에 따르면 이달 중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서산태안)이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을 대표 발의할 예정이다. 시·도와 성일종 의원실은 현재 여야 의원 50명 이상을 공동 발의자로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실제 대전시는 지역 국회의원들과 만남을 통해 행정통합 추진을 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