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수시 경쟁률 7대 1 돌파… 비수도권 지원자 10.2%↑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충청권 수시 경쟁률 7대 1 돌파… 비수도권 지원자 10.2%↑

충청권 5만 7806명 모집에 41만 1385명 지원
'미달권 대학' 6대 1 미만 20곳→13곳으로 줄어
비수도권대 10만 4272명 늘어 두 자릿수 상승
경기침체·취업난 여파 수도권 대신 지역대 선택

  • 승인 2025-09-21 17:37
  • 수정 2025-09-21 17:42
  • 신문게재 2025-09-22 1면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수시 표2
2026학년도 대학 수시모집에서 충청권 대학 경쟁률이 7대 1을 넘어섰다. 지원자는 전년보다 3만 9274명 늘었고 단국대·충북대·우송대 등이 비수도권 경쟁률 상위 10위권에 오르며 두각을 나타냈다.

전국적으로도 비수도권 대학 지원자가 10만 4272명(10.2%) 증가한 반면 수도권은 1%대 증가에 그쳤다. 경기 침체와 취업난 속에서 학생들이 수도권 대학에 무리하게 지원하기보다 실리를 택한 결과로 해석된다.

21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전국 192개 4년제 대학 2026학년도 수시 지원자는 254만 645명으로 전년보다 12만 3601명 늘었다. 평균 경쟁률은 9.77대 1로 전년도(9.42대 1)보다 소폭 상승했다. 서울권은 91만 8045명으로 1만 8818명(2.1%), 경인권은 49만 7699명으로 511명(0.1%)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비수도권은 112만 4901명으로 10만 4272명(10.2%) 늘며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비수도권 내에서는 대구·경북 2만 2044명(12.4%), 충청 3만 9274명(10.6%), 강원 7384명(11.7%), 호남 1만 5662명(9.8%), 부울경 1만 9224명(8.0%), 제주 684명(7.8%) 각각 증가했다. 평균 경쟁률도 비수도권은 6.49대 1로 전년(5.98대 1)보다 높아졌으며 충청권은 7.12대 1을 기록했다.



특히 충청권은 평균 경쟁률과 지원자 증가 모두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38개 대학이 5만 7806명을 모집한 데 41만 1385명이 지원해 전년 대비 0.59p 오른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고 모집 증가분(857명)을 훨씬 웃도는 지원자 유입이 있었다. '사실상 미달 대학'으로 분류되는 경쟁률 6대 1 미만 대학도 전년 20곳에서 올해 13곳으로 줄어 비수도권 전체 감소폭(68곳→53곳) 가운데 가장 큰 폭의 개선을 보였다.

개별 대학 경쟁률에서도 충청권 대학들이 강세를 보였다. 단국대(천안)는 1580명 모집에 1만 7559명이 지원해 11.11대 1로 전년도(9.49대 1)보다 올랐다. 충북대는 2593명 모집에 2만 8270명이 지원해 10.90대 1을 기록했고, 건국대(글로컬)는 10.59대 1로 전년보다 1.24p 상승했다. 우송대는 9.10대 1로 전년도(7.70대 1)보다 1.41p 높아졌다. 이들 대학은 모두 비수도권 경쟁률 상위 10위권에 들었다.

전국적으로는 성균관대가 32.49대 1로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고, 한양대(30.99대 1), 중앙대(30.39대 1), 서강대(28.83대 1) 등이 뒤를 이었다. 수도권은 경쟁률이 여전히 높지만 지원자 감소 대학 비율이 절반에 달한다. 서울권은 42곳 중 20곳(47.6%), 경인권은 40곳 중 17곳(42.5%)이 전년보다 지원자가 줄었다. 반면 충청권은 38개 대학 중 5곳(13.2%)만 감소해 수도권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
/종로학원 자료제공
입시 전문가들은 이번 결과에 대해 경기 침체와 취업난 등 전국적 어려움 속에서 비수도권 학생들이 수도권 대학에 무리하게 지원하기보다 지역대를 선택하는 '실리 위주' 패턴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해석한다. 의대 모집 정원 축소, 사회탐구 과목 쏠림(사탐런) 등 입시 불확실성도 상향 지원을 자제하게 만든 요인으로 꼽는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비수도권 대학의 지원 증가가 곧 지역대 위기 해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학령인구 감소 속에서도 나타난 두 자릿수 증가율은 의미 있는 신호"라며 "앞으로 경기 상황, 취업 환경, 지방대 육성 정책 변화에 따라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입시 구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전국재해구호협회, 최학래·송필호 전 회장 고문으로 추대
  2. 작은 마을에 큰 희망을… 키르기스스탄에 새마을정신 전파
  3.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암 예방 운동 교육
  4. 산내종합사회복지관,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5. 대전YWCA, ‘2025 대전시 여성친화도시 성과공유회’
  1. 거제시,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본격 추진
  2. '아이들의 미래를 여는 사람들' 김영춘 전 공주대 부총장 체제로 본격 출범
  3. 당진시의 부당한 도로행정, 주민들의 분노 촉발
  4. 임영웅이 뜨자 대전월드컵경기장이 들썩! 대전하나 시즌 최다 관중(영상포함)
  5.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 등 15곳 폐점 보류... 지역선 일단은 안도 분위기

헤드라인 뉴스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 등 15곳 폐점 보류... 지역선 일단은 안도 분위기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 등 15곳 폐점 보류... 지역선 일단은 안도 분위기

내년 상반기 폐점이 예고됐던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과 천안 신방점의 폐점 보류됐다. 홈플러스 대주주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더불어민주당에 매수자가 결정되기 전까지 보류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최근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비공개로 만난 자리에서 폐점이 결정된 15개 점포와 나머지 점포에 대해 매수자가 결정될 깨까지 폐점은 없다는 약속을 받았다. 이와 관련 당내 'MBK 홈플러스 사태 해결 태스크포스(TF)' 위원인 김남근 의원은 "어떻게 폐점을 안 할 수 있는지 (김 회장과)..

국민 90% 1인당 10만원 추가 지급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22일 스타트
국민 90% 1인당 10만원 추가 지급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22일 스타트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원을 추가로 지급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 쿠폰 신청이 22일부터 시작된다. 21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2일 오전 9시부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소비쿠폰 2차 지급 신청을 시작한다. 1인당 10만원씩 지급하는 2차 소비쿠폰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15만~45만원을 지급한 1차 소비쿠폰과는 달리 소득 하위 90% 국민을 대상으로 한다. 소득 하위 90% 선별은 상위 10%에 해당하는 약 506만명 중 고액 자산가로 판단되는 92만7000가구, 약 248만명을 우선 제외했다. 고..

추석연휴 집 비울때 10명 중 7명 "불안감 느껴"
추석연휴 집 비울때 10명 중 7명 "불안감 느껴"

추석 연휴 동안 장시간 집을 비울 경우 10명 중 7명이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안업체 에스원은 지난 5∼11일 상점·공장 등 보안서비스 이용 고객 1만 866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추석 연휴 안전의식 설문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설문조사에서 '추석 연휴 주요 계획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76%가 '고향 방문이나 국내외 여행, 가족, 친지 모임 등으로 집을 비울 예정'이라고 했으며, '연휴 기간 집을 비울 때 불안감을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67%가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집을 비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한민국 명장·장인 작품 다 모였네’ ‘대한민국 명장·장인 작품 다 모였네’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 2025 적십자 희망나눔 바자회 2025 적십자 희망나눔 바자회

  • 방사능 유출 가정 화랑훈련 방사능 유출 가정 화랑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