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21일 대전시와 금융권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얼마 전 직접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직접 지방은행 문제를 언급하며 지역금융 활성화 방안을 주문하고 나섰다.
이 대통령은 지난 16일 국무회의에서 "금융 입장에선 지방으로 가면 금융상 이익을 주는 건 불가능하냐"며 "정책금융은 특정한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대출·투자 등 정부가 부담을 안는 제도가 많다. 그걸 지방에선 대출이자를 수도권보다 낮게 적용하거나 혜택을 더 주는 방식이 가능하지 않느냐"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지방은행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지방은행이 지역에 우선 투자하게 해야 하는데 다 잡아먹혀 사라진 것도 문제"라며 "명목상 존재하지만 실제론 기능을 못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지방금융 자체를 지원해서 활성화하고 성장시키는 방법이나 지역 산업·기업에 금융상 혜택을 줄 수 있는 안을 만들어봐 달라"고 주문했다.
이 대통령의 말처럼 지역 경기 침체 속에 대형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사이에서 지방은행의 입지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상반기 순이익(2637억원)은 지방은행 가운데 최대 규모인 BNK부산은행(2517억원)을 넘어섰다. 올해 2분기 기준 4대 지방은행(전북·광주·부산·경남)의 평균 고정이하여신은 3463억원으로 전년(2247억원)보다 55.5% 늘었다. 연체율 역시 0.675%에서 1.075%로 뛰었다. 지방은행은 외국인 금융 확대와 인터넷은행과의 협업 시도 등 활로를 모색 중이지만, 지역 한계성에 봉착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가 지방 금융을 신경 쓰는 것은 반가운 일이지만, 지방은행이 전무한 충청권으로써는 고민이 클 수 밖에 없다. 지방은행 설립은 선거 때마다 공약으로 나올 정도로 지역민의 숙원이지만, 현 여건 상 설립이 쉽지는 않는 상황이다. 더욱이 지방은행이 경쟁력을 잃으면서 설립은 더 어려운게 현실이다.
이에 대전시는 지역 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해 투자금융을 직접 설립하고, 제4인터넷은행에 나서는 금융기업과 손잡고 대전에 본사를 둔 인터넷은행 설립에 나서는 노력을 해왔다. 하지만, 최근 정부가 제4인뱅 설립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이마저도 사실상 물건거 갔다.
정부가 지방은행을 중심으로 한 지역금융 생태계 건전성을 위한다면 상대적으로 지방은행이 없는 대전과 충청권에는 컨트롤 타워가 없을 수도 있는 상황이다.
지역 경제계 한 인사는 "경제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금융이다. 금융이 안정적으로 돌아가야 지역 경제 성장에 큰 동력이 될 수 있다"면서 "중앙 정부는 물론 지역 사회에서도 지방은행이 없는 충청권이 홀대 받지 않도록 보완책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