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타버스콘텐츠과는 3D디자인, 프로그래밍, 인공지능, 네트워크, 블록체인 등을 기반으로 차세대 가상현실 산업을 주도할 인재를 양성한다. 가상융합기술(VR·AR)과 디지털 콘텐츠 산업이 성장하면서 관련 인재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는 흐름을 반영한 결과다.
반도체융합기계과는 3D모델링과 반도체 장비 및 부품 설계, 반도체 공정부품 제작 및 측정까지 교육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에 필요한 기술 인력을 배출한다.
반도체장비제어과는 제조공정 장비의 제작, 설치, 제어, 유지보수 능력을 집중적으로 키워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요구되는 현장 맞춤형 인재를 기른다.
산업설비과는 용접·배관을 기본으로 냉동공조설비,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공기조화설비, 자동제어설비 등 산업 현장 설비 전반을 다룬다. 제조업과 건설 현장에서 필수적인 기초기술을 다루는 학과로, 뿌리산업의 안정적 인력 공급에 기여한다.
스마트소프트웨어과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데이터베이스,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인공지능 등을 교육해 기업체와 공공기관, 군무원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전문가로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영상크리에이터과는 CG, VFX, 편집, 음향 등 영상 제작의 기초부터 실무를 아우르며, 영화·방송·디자인·SNS 콘텐츠 제작 등 문화·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성장 수요에 맞춘 창의 인재를 길러낸다.
인공지능과는 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교육을 중심으로 AIoT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개발, RPA(로봇프로세스자동화) 개발 등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AI 응용 전문가를 양성한다.
전기전자제어과는 신재생에너지와 전기전자제어 시스템 설계·제작·운용 능력을 두루 갖춘 전문 인력을 배출한다. 이는 친환경 에너지 확산과 자동화 기술 보급이 가속화되는 산업 수요와 직결된다.
클라우드보안과는 사이버보안과 클라우드컴퓨팅을 융합한 특화 교육으로 클라우드 엔지니어, 보안 엔지니어, 화이트해커를 양성한다. 인공지능 대전환(AX) 시대 핵심 기반기술로 평가받는 분야인 만큼, 국내 최고 수준의 실습 환경과 프로젝트 기반 교육을 제공한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