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 세종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은 행정수도 완성의 마지막 퍼즐이나 이 과정까지 험로가 예정돼 있다. 사진=행복청 제공. |
2012년부터 2025년까지 44개 중앙행정기관과 15개 국책연구기관이 이전하기까지 흐름은 좋지 않다. 수도권 인구 순유입 비중은 급전직하하고 있고, 국가균형발전 취지도 퇴색되고 있다. 인구는 40만 장벽을 넘지 못한 채 2년 6개월째 39만여 명 박스권에 갇혀 있다.
22일 행복도시건설청 및 세종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체 인구 80만 명 목표 대비 달성율은 8월 기준 49.8%(39만 8430명), 신도시(행복도시) 인구 50만 명 대비로는 62.3%(31만 1485명)에 그치고 있다. 이는 매년 24개 읍면동 기준으론 8만여 명, 신도시 14개 동지역으론 3만 7700여 명이 2030년까지 늘어야 하는 수치에 해당한다.
사실상 목표 달성이 어려워졌다. 이 때문에 시는 이미 80만 인구 목표를 2040년으로 10년 늦춰 잡았고, 신도시 인구도 2032년 이후를 기약해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도 그럴 것이 2025년 이전 들어섰어야 할 ▲서울~세종 고속도로(2028년) ▲KTX 세종역(2025년) ▲법원·검찰청(2031년) ▲종합운동장 및 체육시설(미지수), 2027년 동시 준공을 목표로 둔 ▲대통령 세종 집무실(2029년) ▲국회 세종의사당(2033년) ▲디지털 미디어단지(2030년 이후 물음표) ▲중앙공원 2단계(?)가 줄줄이 지연·건립되는 흐름에 놓여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역시 2031년에야 본 모습을 볼 수 있고, 국립자연사박물관은 입지만 확정한 채 한 걸음도 떼지 못하고 있다.
성평등가족부와 법무부, 감사원, 금융위원회, 대통령 및 총리 직속 위원회 등 수도권 잔류 중앙행정기관의 이전 흐름 역시 계속 뒤로 밀리고 있다.
문재인·윤석열 정부를 거치며, 실질적인 행정수도 기능 완성에 공을 들이지 못한 탓이다. 이재명 정부의 첫 출발도 수도권 중심의 주택 공급 정책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그 사이 세종시는 2021년부터 이렇다 할 주택 공급도 없이 4년의 세월을 흘려 보냈다. 같은 면적 대비 가격 차가 최대 5배 이상 나는 현실에도 규제는 수도권과 동일했고, 일부 공직자들의 일탈을 표적 삼아 꼭 필요한 '주택 특별공급 혜택'마저 모두 종료했다. 새 정부는 해양수산부 및 산하기관 이전까지 1300여 명(가족 제외) 공직자마저 부산으로 내보내며, 세종시의 온전한 성장에 걸림돌을 놨다.
![]() |
2012년 출범 이후 각 지역별 세종시로 순유입 인구 현황. 사진=행복청 자료 재구성. |
실제 세종시로 순유입된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12년 32%, 2013년 38%까지 정점을 찍은 뒤 점점 하락세를 보이더니, 2018년 24%, 2025년 22.8%까지 뚝 떨어졌다. 역으로 충청권 순유입 인구 비중은 계속 늘었다. 2012년 58%로 출발하다 2017년 65%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올해 63.2% 선을 유지 중이다.
정부부처의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실과 국회 이전이 능사가 아니다. 자칫 희망고문이 될 수 있다. 세종시 건설의 본래 취지를 살려야 하고, 그럴려면 수도권 미이전 중앙행정기관의 완전한 이전 과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라며 "백화점 등 쇼핑시설부터 도시가 갖춰야 할 최소한의 기본 기능도 부재한 현실이다. 세종시의 완성은 작은 것에서부터 바라봐야 한다"라며 지역 민관정의 분발을 촉구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