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독서 문화 확산'...부산 별빛도서관 12곳 순차적 개관

  • 전국
  • 부산/영남

'가족 독서 문화 확산'...부산 별빛도서관 12곳 순차적 개관

9월 말부터 개관 시작, 11월까지 이어져
퇴근 후 15분 거리 가족 독서 문화 공간 제공
안전 환경 조성 및 다양한 독서 연계 프로그램 운영

  • 승인 2025-09-29 12:31
  • 김성욱 기자김성욱 기자
20250929 부산교육청, 2관)
금빛초 별빛도서관./부산교육청 제공
부산시교육청이 학생과 학부모에게 특별한 문화 경험과 독서의 즐거움을 주기 위해 9월 말부터 총 12개교에 '별빛도서관'을 순차적으로 개관한다.

별빛도서관은 퇴근 시간 이후 걸어서 15분 이내에 학교도서관을 방문해 부모와 자녀가 함께 책을 읽고 소통하며, 학부모 상호 간에도 교류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다.

부산교육청은 학생들이 늦은 시간에도 안심하고 이용하도록 밝은 조명, 가로등, CCTV 등을 설치해 안전한 환경을 조성했다.

독서 공간은 따뜻한 분위기와 편안한 좌석으로 자유롭게 휴식하고 책을 즐기도록 탈바꿈했다. 또한, 학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교육청이 직접 전담 인력 배치와 운영 물품을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별빛도서관에서는 책 읽는 경험을 기록하는 '독서여권', 가족이 함께 완주하는 '夜好! 가족 책몰이 100', 휴대폰 없는 독서 몰입을 위한 '체인지 박스', 찾아가는 문화 공연과 독서 연계 프로그램 등 다양한 콘텐츠를 운영한다.

이를 통해 학생과 가족이 함께 독서하는 문화를 지속해서 확산시킬 예정이다. 별빛도서관을 찾은 학생에게는 권장도서나 소정의 기념품을 제공해 책 읽기의 즐거움을 더할 계획이다.

개관 일정은 29일 안민초를 시작으로 금빛초(9.30.), 천마초·남산초(10.1.), 두실초(10.24.), 강동초(10.27.), 대교초(10.28.), 용문초(10.29.), 전포초(10.31.), 초읍초(11.1.), 주양초(11.5.), 연일초(11.24.) 등 총 12개교에서 저녁 시간 별빛도서관이 차례로 문을 연다.

김석준 교육감은 "별빛도서관이 단순히 책을 읽는 공간을 넘어 가족이 함께 어울리고 성장하는 집 근처의 작은 문화등대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학교도서관이 아이와 학부모에게 편안하고 열린 공간이 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리튬배터리 폭발·서버 보호에 물 사용 제한…화재진압 장시간 소요
  2. 글로컬대학 선정 충남대-공주대 3500억 수혜…향후 통합 관건
  3.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민원 불편 장기화 우려
  4. 교육부 글로컬대학 7곳 선정… 충남대-공주대·순천향대·한서대 포함
  5. 최주원 신임 대전경찰청장 취임 앞서 리튬배터리 화재현장 찾아
  1. [문화 톡] 국제 장애인 문화예술축제장의 그 열기
  2. 대전월드컵경기장 주차요금 대폭 완화
  3. 유성구민 70% "기후위기가 일상생활에 영향 미친다"
  4. K-water연구원, 추석 맞아 지역 내 소외계층과 ‘사랑 나눔’
  5.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결핍과 상상력

헤드라인 뉴스


노후배터리냐 작업실수냐… 국가 전산실 화재 원인 `주목`

노후배터리냐 작업실수냐… 국가 전산실 화재 원인 '주목'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전산실 화재를 일으킨 리튬이온 배터리가 언제 설치됐는지 설명이 엇갈린 데다 배터리를 옮기기 전 전원을 먼저 차단했던 것인지 여부가 사고원인을 밝히는 조사에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이번 화재에서 유일한 화상 부상자는 화재가 시작된 배터리에서 전원 케이블을 분리하던 중 불꽃에 부상을 입은 것으로 파악돼 9월 26일 오후 8시 20분께 이곳 5층 전산실에서 어떻게 작업이 이뤄졌는지 규명이 요구된다. 먼저, 불꽃 튀고 화재로 이어진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가 언제 설치됐는지 설명이 엇갈리고 있..

여야, 국정자원 화재에 "국민불편 최소화" 한뜻에도 책임 공방
여야, 국정자원 화재에 "국민불편 최소화" 한뜻에도 책임 공방

여야 정치권이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국민 불편을 최소화를 위해 빠른 사태 수습을 촉구했다. 현재 여야 모두 사태 수습이 우선이라는 인식은 같지만, 벌써 진상 규명과 책임 소재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면서 여야 간 공방이 거세지는 모습이다. 앞서 26일 오후 8시 20분께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해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이 중단됐다. 화재는 발생 21시간 45분에 완진됐고, 복구작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가 주요 행정 시스템이 화재로 전면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에 여야 정치권도 긴박하게 움직..

추석 명절 전 공공기관 사칭 등 스미싱 기승 "출처 불분명 URL 클릭·전화 금지"
추석 명절 전 공공기관 사칭 등 스미싱 기승 "출처 불분명 URL 클릭·전화 금지"

추석 연휴를 앞두고 다양한 사이버사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정부가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 택배, 지인 사칭 등 수법이 대표적인데, 출처가 불분명한 인터넷주소(URL)를 누르거나 전화해선 안 되며 개인정보를 요구할 때도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금융위원회·경찰청·한국인터넷진흥원·금융감독원은 추석 전 다양한 문자결제사기(스미싱) 등 사이버사기에 대한 국민 피해가 우려된다며 28일 피해 최소화를 위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최근 수법으로 공공기관을 사칭해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

  •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