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대전 서구갑)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마약류 의약품 처방 현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4년 20대 여성 식욕억제제 처방 환자는 13만 3135명으로, 전년 대비 10%가량, 30대 여성은 2023년 23만6481명으로 6%가량 감소했다.
![]() |
장종태 의원 |
더 심각한 건 약물 의존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1인당 처방량이다. 2024년 30대 여성의 1인당 처방량은 225.6정으로, 모든 성별과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한번 식욕억제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이들의 복용량이 줄어들지 않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는 대목이다.
장종태 의원은 "식욕억제제는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된 엄연한 마약류"라며 "단기간에 체중 감량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의존성과 내성이 쉽게 생겨 장기 복용 시 우울감, 불면, 심장 질환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처방 환자 수가 소폭 줄었다고 문제가 해결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1인당 처방량이 그대로라는 건 한번 시작된 의존성을 끊기가 매우 어렵다는 방증"이라며 "식약처는 마약류 의약품 처방 가이드라인 강화와 함께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오남용 예방 교육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