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웹툰 IP 첨단 클러스터로 도약하다

  • 경제/과학
  • IT/과학

대전, 웹툰 IP 첨단 클러스터로 도약하다

신입작가 발굴·멘토링, 국내외 연재, OSMU 사업화까지 적극 지원
풍성한 성과 기반, IP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을 통한 웹툰 클러스터 추진

  • 승인 2025-09-29 15:10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이미지) 웹툰현황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이 2025년 한 해 동안 지역 웹툰산업 분야에서의 성과를 발표하며 대전 웹툰 산업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이 2025년 한 해 동안 지역 웹툰산업 분야에서의 성과를 발표하며 대전 웹툰 산업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진흥원과 대전시 문화콘텐츠산업팀은 한국콘텐츠진흥원(문체부)의 지역기반형 웹툰작가 양성사업에 2년 연속 선정되어 신규 웹툰 IP 제작과 연재계약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대덕대·대전대·목원대· 배재대·우송정보대와 협력하여 대전의 우수 예비·신진작가 10인을 발굴하였고 ▲㈜더그림엔터테인먼트(박태준만화회사) ▲㈜와이랩아카데미 ▲㈜투유드림 ▲㈜재담미디어 ▲팀맷가마리 등에서 전문가들이 멘토로 참여하여 작품 제작 및 연재계약을 위한 멘토링을 지원한다.

사업에 참여 중인 문도현 작가의 '심검의 용사'는 2025년 6월부터 네이버 일요웹툰으로 정식 연재 중이며, 말랭2 작가의 '마왕의 채널', 곰방 작가의 '괴이현상 하나'도 연재계약을 체결했다.



진흥원은 오는 11월 대학만화웹툰 최강전에서 웹툰 에이전시 기업과의 작품 상담회를 통해 작품 연재 기회를 넓히고, 대전특수영상영화제에서 OTT 제작사와의 상담을 통해 웹툰 IP 2차 사업화를 위한 교류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지난 10년간 대전은 네이버·카카오 플랫폼 내 130건, 해외 8개국(북미,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 대만, 인도네시아, 태국)에 연재했으며 95건의 OSMU 사업화를 달성했다.

올해에는 서쿤스 작가의 네이버웹툰 '마흔 즈음에'를 비롯하여, 진자 작가의 '나의 바람은 죄가 아니다', 신여름 작가의 '짝사랑을 망치고 싶어', 이재훈 작가의 '언더복서', 강갱 작가의 카카오페이지 '창천무신 2부'가 신작으로 연재되고 있다.

윤찐빵 작가의 네이버웹툰 '과학고 생존일지'는 과학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진흥원은 과학 주제 웹툰 제작 또한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꼬마비 작가의 넷플릭스 '살인자ㅇ난감', 신대성 작가의 디즈니+ '커넥트'는 대전 작가의 웹툰 IP가 글로벌 OTT로 제작된 OSMU 대표사례다. 구르 작가(인절미스튜디오)와 ㈜엠스토리허브는 카카오페이지 '빙의자를 위한 특혜'를 단행본, 캐릭터 굿즈, 현대백화점 팝업스토어까지 확장하며 웹툰 IP의 OSMU 사업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진흥원과 대전시는 이러한 성과를 기반으로 '웹툰 IP 첨단 클러스터'를 추진하고 있다. 클러스터의 3대 운영 전략(과학기술 융합, IP 확장, 인큐베이팅)을 기반으로 중부권 글로벌 웹툰 IP 비지니스 생태계를 선도할 계획이다.

이은학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장은 "대전은 풍부한 인력, 과학기술 인프라, 융복합 특수영상 콘텐츠 클러스터 등 우수자원을 모두 갖춘 최적의 도시"라며 "웹툰 IP 첨단 클러스터를 통해 일류웹툰도시 대전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금상진 기자 jodp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글로컬대학 선정 충남대-공주대 3500억 수혜…향후 통합 관건
  2. 교육부 글로컬대학 7곳 선정… 충남대-공주대·순천향대·한서대 포함
  3.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민원 불편 장기화 우려
  4. [문화 톡] 국제 장애인 문화예술축제장의 그 열기
  5. 최주원 신임 대전경찰청장 취임 앞서 리튬배터리 화재현장 찾아
  1. 대전월드컵경기장 주차요금 대폭 완화
  2. 유성구민 70% "기후위기가 일상생활에 영향 미친다"
  3.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결핍과 상상력
  4. K-water연구원, 추석 맞아 지역 내 소외계층과 ‘사랑 나눔’
  5. 서철모 서구청장, 명절 물가 점검 및 전통시장 이용 독려

헤드라인 뉴스


노후배터리냐 작업실수냐… 국가 전산실 화재 원인 `주목`

노후배터리냐 작업실수냐… 국가 전산실 화재 원인 '주목'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전산실 화재를 일으킨 리튬이온 배터리가 언제 설치됐는지 설명이 엇갈린 데다 배터리를 옮기기 전 전원을 먼저 차단했던 것인지 여부가 사고원인을 밝히는 조사에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이번 화재에서 유일한 화상 부상자는 화재가 시작된 배터리에서 전원 케이블을 분리하던 중 불꽃에 부상을 입은 것으로 파악돼 9월 26일 오후 8시 20분께 이곳 5층 전산실에서 어떻게 작업이 이뤄졌는지 규명이 요구된다. 먼저, 불꽃 튀고 화재로 이어진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가 언제 설치됐는지 설명이 엇갈리고 있..

88년 행정의 심장에서 ‘충북도민 문화의 정원’으로
88년 행정의 심장에서 ‘충북도민 문화의 정원’으로

충북도는 29일 충북도청 본관 정원에서 '그림책정원 1937' 기공식을 열고, 도민 성금으로 세워진 근대문화유산을 도민 품으로 되돌려주는 새로운 도약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김영환 충청북도지사, 이양섭 도의회 의장, 김태형 부교육감, 이범우 공무원노조위원장을 비롯해 문화예술·교육계 인사, 도민 등 100여 명이 함께해 자리를 빛냈다. 이번 사업은 김영환 도지사가 지난해 2월 "도청 본관을 도민에게 돌려드리겠다"는 결심을 밝힌 뒤, 1년 반 동안 정책연구용역과 도민 설문조사, 기본계획 수립, 전 국민 네이밍 공모 등 차근..

여야, 국정자원 화재에 "국민불편 최소화" 한뜻에도 책임 공방
여야, 국정자원 화재에 "국민불편 최소화" 한뜻에도 책임 공방

여야 정치권이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국민 불편을 최소화를 위해 빠른 사태 수습을 촉구했다. 현재 여야 모두 사태 수습이 우선이라는 인식은 같지만, 벌써 진상 규명과 책임 소재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면서 여야 간 공방이 거세지는 모습이다. 앞서 26일 오후 8시 20분께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해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이 중단됐다. 화재는 발생 21시간 45분에 완진됐고, 복구작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가 주요 행정 시스템이 화재로 전면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에 여야 정치권도 긴박하게 움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2차 합동감식

  •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가을 악취 주범’ 은행나무 열매의 습격

  •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