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전경. |
경과원은 이달 발행한 '이슈 브리핑(ISSUE BRIEFING)'을 통해 '미국 고관세 정책에 따른 경기도 수출 중소기업 영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 속에서 도내 수출기업의 피해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지원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추진됐다.
조사는 지난 9월 경기도 내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기업들의 애로사항과 대응전략, 정책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47.3%가 미국 고관세 정책 변화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52.5%는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고 응답해 충격 규모가 적지 않음을 보여줬다.
피해 유형으로는 ▲수출 단가 상승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29.3%) ▲해외 바이어 거래 유지 어려움(28.0%) 등이 가장 크게 꼽혔다. 이는 고관세로 인한 원가 부담이 단순히 기업 수익성 악화에 그치지 않고, 해외 거래선 이탈로 이어지는 구조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기업들은 적극적인 대응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체 응답 기업의 55.0%는 ▲생산비 절감(20.3%) ▲신규 수출국 발굴(20.0%) 등을 통해 자구책을 추진 중이라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업종이 신규 시장 개척 의지를 36.1%로 나타내 평균보다 훨씬 높았으며, 반도체 업종은 기존 시장 유지·집중 전략을 선택한 비율이 51.5%에 달해 보수적 태도가 뚜렷했다.
신규 진출 희망 지역으로는 ▲EU(24.7%) ▲인도(11.1%) ▲일본(6.2%) 순으로 조사돼, 미국 의존도를 낮추고 시장 다변화를 모색하려는 흐름도 확인됐다.
기업들은 관세 외에도 ▲수출 운영자금 부족(49.7%) ▲운송비 상승(44.0%) ▲가격경쟁력 약화(40.3%)를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응답 기업의 62.7%가 수출금융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으며,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48.0%) ▲해외규격 인증 지원(47.7%) ▲해외마케팅 대행 지원(46.7%) 등 글로벌 시장 진출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사업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경기도의 수출지원제도 활용 경험은 전체의 52.7%였으며, 이 가운데 71.5%는 "만족한다"고 답해 제도의 효과성이 입증됐다.
김현곤 경과원장은 "이번 조사로 미국 고관세 정책 변화가 도내 수출 중소기업에 큰 충격을 주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기업들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경기도와 긴밀히 협력해 금융·마케팅 등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과원은 산업·경제·신기술 분야 주요 현안을 다루는 '이슈 브리핑'을 발간하고 있다. 이번 '미국 고관세 정책에 따른 경기도 수출 중소기업 영향 실태조사' 자료는 경과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기=김삼철 기자 news100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