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연욱 국회의원./정연욱 의원실 제공 |
유산청은 '2026년도 정부 예산안 반영'만 언급할 뿐, 당장 필요한 국내외 홍보, 선언문 준비를 위한 연구 용역 비용 등을 부산시에 사실상 떠넘겼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정연욱 의원(부산 수영구)은 16일 국정감사에서 "유산청이 스스로 7월부터 예산 편성에 착수하겠다고 계획해놓고도 실제로는 예산이 0원"이라며, "국가 행사 비용을 지자체에 선집행시키는 구조는 비정상"이라고 밝혔다.
부산시는 회의 성공을 위해 별도 추가 경정 예산을 편성해 준비를 진행 중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는 196개 협약국 대표단과 유네스코 사무총장 등 약 3000명이 참석하고, 실무 인력까지 합하면 1만 1000명 이상이 방문하는 국제 행사다.
우리나라에서는 첫 개최임에도 유산청은 준비 총괄 조직인 '준비기획단' 출범도 당초 7월 계획에서 두 달 이상 지연했다. 기본 계획 수립과 유네스코와의 협의 등 선행 과제가 멈춰 있다는 지적이다.
실사 대응 공백도 우려된다. 예산이 확정되더라도 실제 집행 가능 시점은 2026년 1월에서 2월로 예상된다. 그러나 유네스코 실사단은 2026년 1월과 4월 두 차례 방문할 예정이라, 내년 초 실사 준비에 필요한 집행 예산이 사실상 없는 상태다.
정연욱 의원은 "예산 한 푼 없이 실사단을 어떻게 맞겠다는 것이냐"며 "실사를 부산시 돈으로 버티라는 말이냐"고 했다.
정 의원은 "주최 기관인 국가유산청이 예비비 편성이나 긴급 전용 등 국가 차원의 대응책을 즉시 마련해야 한다"며, "유치만 하고 손을 놓는 행정이면 국가 위상과 신뢰에 상처를 남긴다"고 말했다. 이어서 "지자체에 비용을 전가하지 말고, 중앙정부가 책임과 역할을 분명히 하라"고 촉구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