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브리핑] 충남 농업용 저수지·담수호 수질 ‘매우 나쁨’

  • 정치/행정
  • 국회/정당

[국감브리핑] 충남 농업용 저수지·담수호 수질 ‘매우 나쁨’

민주당 어기구 의원, 한국농어촌공사의 2025년 상반기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 분석

  • 승인 2025-10-16 14:16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어기구1
자료제공=어기구 의원실
충남 당진 석문호와 태안 미포·이원호·도내, 서산 중왕지 등 농업용 저수지와 담수호 수질이 '매우 나쁨'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시)이 한국농어촌공사의 '2025년 상반기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1053개 저수지·담수호 중 98곳(9.3%)이 농업용수로 사용하기 어려운 수질 기준 Ⅴ등급(나쁨) 이상으로 조사됐다.

KakaoTalk_20250904_155324199_02
어기구 의원
이 중 Ⅴ등급(나쁨)으로 평가된 곳이 67곳, Ⅵ등급(매우 나쁨)은 31곳으로, 상당수 농업용수가 농작물 재배에 부적합한 수준이었다.

지역별로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곳은 전남도가 27곳으로 가장 많고, 충남 24곳, 경북 19곳, 전북 10곳 등의 순이었다.



특히 충남도는 전체 조사대상 121곳 중 24곳(19.8%)이 부적합 등급으로, 이는 전국 평균(9.3%)의 두 배가 넘는 높은 비율이다. 당진 석문호(Ⅵ등급), 태안 미포·이원호·도내(Ⅵ등급), 서산 중왕지(Ⅵ등급) 등 주요 농업용 저수지와 담수호에서 '매우 나쁨' 수준의 수질로 확인됐다.

한국농어촌공사는 환경정책기본법 제10조에 따라 농업용수 수질 기준을 설정하고, 전국 975개 수질측정망을 운영 중이다. 현행 기준에 따르면 Ⅳ등급(보통)은 고도의 정수처리를 거쳐야 농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며, Ⅴ·Ⅵ등급은 농업용수로 부적합한 수준으로 분류된다.

어기구 의원은 "농업용수는 단순한 물이 아니라 작물 생산의 기초이자 식량안보의 핵심 인프라 수질이 나쁘면 작물 생육뿐 아니라 토양오염에도 악영향"이라며 "노후화된 저수지 정비와 수질 개선사업을 확대하고 오염원 차단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3.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4. 차기 대전교육감 선거 진보 단일화 시작? 5명 한 자리에
  5.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1.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2.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3.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4.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5.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