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대전시당. |
조속히 절차를 마쳐 시당 체제를 정상화하겠다는 목표로, 새 시당위원장 선출을 시작으로 어수선한 당내 분위기를 다잡고 시당을 비롯한 각 당협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대전 국민의힘의 리빌딩이 본격화될지 주목된다.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고 이상민 위원장의 삼우제를 마친 21일 시당위원장 선출 후보자 등록 공고를 냈다. 기간은 23일 오후 5시까지로, 등록 서류는 동구 삼성동 당사에 접수하면 된다.
후임 시당위원장 선출을 서두른 건 신속한 재정비가 필요하단 판단에 따른 것이다. 당헌·당규상 공석이 된 시당위원장 선출 작업은 40일 이내 마치면 되는 만큼 시간적 여유가 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내년 지방선거가 점점 다가오는 데다, 당내 분위기 또한 다소 어수선해지면서 시당 중심의 사령탑을 하루빨리 세워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며 이날 선출 절차에 들어갔다.
후보군을 놓곤 조심스런 반응이다. 이번 시당위원장이 임기 만료에 따른 정기 선출이 아니라 보궐 성격이다 보니 공개적으로 출마 의향을 밝히거나, 관련 의견을 개진하는 것도 다들 피하는 모습이다.
다만 방식에 대해선 합의추대가 적절하단 공감대가 형성 중이다. 고인의 빈자리를 놓고 경선을 벌인다면 이상민 위원장에 대한 정치적 예의가 아닐뿐더러 외부적으로도 모양새가 좋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합의추대가 가능할진 미지수다. 현재 복수의 당협위원장이 출마 의사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서로 간의 협의 여부가 관건이다. 조율에 실패한다면 경선이 불가피하며, 기존 당협위원장을 제외한 제3자의 등록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적임자를 놓고도 조심스럽게 관점이 엇갈린다. 비상 체제라는 점에서 시당위원장을 역임했던 인사가 바통을 이어받아야 한다는 주장과 외려 새로운 리더십으로 당의 적극적인 변화를 주도하는 게 낫다는 의견이 교차하고 있다.
누가 됐든 새 시당위원장의 역할은 분명하단 지적이 많다. 각자도생식 당협 운영을 탈피해 시당과 각 당협 간 협력과 결속력을 높이고, 흐트러진 당내 기강과 어수선한 분위기를 다잡는 일들이 당장의 과제로 꼽힌다.
시당 관계자는 "후보 등록 마감 후 당헌·당규에 입각해 공정한 절차를 거쳐 시당위원장을 선출하겠다"며 "중앙당 승인 절차를 조속한 시일 내 마무리해 시당 체제를 정상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