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왕죽구'는 현재 대전 동구 가양동 박팽년의 생가가 있던 곳의 옛 지명이다. 왕대(王竹)라는 종류의 큰 대나무가 많이 자라는 언덕이라는 뜻이다. 이곳에는 1668년(현종 9)에 세워진 박팽년의 유허비가 있다. 비문은 노론의 영수이며 성리학의 대가인 우암 송시열이 글을 짓고 우암과 함께 서인에 속하며 예학에 밝고 문장에 능했던 동춘당 송준길이 글을 썼다. 숙종의 장인이며 경서에 밝던 여양부원군 민유중은 두전(頭箋)글씨를 썼다. 이 비문의 내용을 보면 "생각건대 이 흥룡촌(興龍村)의 왕죽구(王竹丘)는 회덕현(懷德縣) 치소(治所)의 남쪽 경계인데, 예로부터 전해오기를 '고(故) 평양(平陽) 박선생(朴先生) 팽년(彭年)의 유지(遺址)이다.'고 한다." 이렇듯 왕죽구인 흥룡촌은 현재 동구 가양동 우암사적공원 인근의 골목길 주택가를 지칭한다.
우암사적공원 경내 이직당이 있는 곳은 정절서원이 있던 터이다. 정절서원은 1684년(숙종10)에 지방 유림이 송유, 박팽년, 송갑조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01년에 김경여와 송상민, 1822년(순조22)에 송국택을 추가 배향하였다.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8)에 훼철된 뒤로 복원하지 못하였다. 『옥오제집』에는 정절서원 박팽년 선생 봉안 제문에 "살펴보건대, 이곳 죽구(竹丘)는 선생의 유허(遺墟)이니 정자와 연못, 숲과 샘물이 옛날부터 있었습니다. -중략- 생각지 않은 화재로 갑자기 불에 탔습니다. 천막을 치고 제향을 모시니 의식이 법도에 맞지 않기에 이건 하기로 하니 옛터의 동쪽입니다. 그 동쪽엔 무엇이 있습니까. 물과 돌이 있습니다. 이곳을 거니시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한 듯합니다." 이렇듯 박팽년의 유허와 정절서원이 있던 왕죽구는 주택가에 자리한 유적지가 아니라 물과 돌과 샘이 있고 왕대나무가 자라던 절개와 의리를 상징하는 유서 깊은 곳이었다.
도시 개발이 이루어지기 전인 60~70년대 초만 해도 왕죽구로 불리던 이곳은 더퍼리라 불리던 전통 마을이 있었다. 마을 논 가운데 유허비와 그 옆에는 작은 연못이 있었다. 그 연못에서 동네 아이들은 멱을 감고 놀았었다. 문화재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시절 유허의 못은 메워지고 초라한 모습으로 방치되었다. 정절서원이 있던 남간정사 인근도 옛 경관을 모두 잃어버렸다. 왕대나무가 무성했던 언덕이 있던 마을은 주택가로 변했고, 봄에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면 해마다 마을 벚꽃축제가 열린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화려한 꽃보다는 꼿꼿한 절개와 의리를 상징하는 대나무와 소나무 등이 더 어울려 보인다. 마을의 땅이름은 그 지역의 역사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 정체성 및 마을 공동체의 소속감을 형성하는 문화적 특성을 드러낸다. 그러한 의미에서 마을 공동체의 행사에 있어서 지역의 땅이름에 대한 공동체의 심사숙고가 필요해 보인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