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은 전동초등학교 전경. 사진=중도일보 DB. |
세종특별자치시의회(의장 임채성) 윤지성 의원(국민의힘, 연기·연동·연서면·해밀동)은 지난 12일 제102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면지역 작은학교 소멸 위기가 세종시 공교육의 균형을 무너뜨리고 있다"며 이 같은 주장을 했다.
학령인구 감소세 아래 동지역과 면지역의 초등학교 학생 수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고, 면지역 학교는 학생 수가 부족해 복식학급 운영과 교원 배치 면에서 역차별을 받고 있는 실정으로 진단했다. 교육 여건의 차이가 곧 지역 간 교육과 정주환경 격차를 가져오고, 지역 소멸 위기를 몰고 있다는 지적도 했다.
실제 수치로 보면, 동지역 초등학교의 학급당 학생 수는 약 22명인 반면, 면지역은 14명 내외 수준으로 파악했다. 한 학년에 3~4명만 있는 학교도 언급했다. 이로 인해 학부모들이 안정적 교육환경을 찾아 동지역 또는 타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 |
| 12일 5분 발언에 나선 윤지성 의원. 사진=시의회 제공. |
윤 의원은 "그 결과 수왕초·감성초 등 일부 학교는 동지역 학부모들이 찾아 보내는 '찾아가는 학교'로 자리 잡는 성과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면지역 학교는 여전히 학생 수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학생 수가 적은 학교 역시 세종시 공교육의 다양성과 균형을 상징하는 공간임을 강조하며 작은학교를 지키기 위한 방안으로 ▲지속가능한 특성화 교육 지원체계 마련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AI·디지털 융합, 예술·창의교육 등을 포함한 특색교육과정 운영 ▲찾아가는 학교 실현을 위한 통학지원 확대를 제시했다.
끝으로 윤지성 의원은 "지역을 지키는 힘은 교육에 있다"며 "아이들이 어느 지역에 살든 차별 없는 교육 기회가 보장되도록 면지역 작은학교의 지속가능한 교육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희택 기자

![[2026 수능 현장] "푸는대로 다 맞으리다" 교사·후배들의 따뜻한 응원](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1m/13d/002.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