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군 예산 9253억 편성

  • 전국
  • 부산/영남

산청군 예산 9253억 편성

재난 회복과 생활 인프라 강화에 중점
청년과 지역이 함께 커가는 미래 설계

  • 승인 2025-11-21 09:43
  • 김정식 기자김정식 기자
dji_fly_20241109_112350_107_1731119130736_photo_optimized
산청읍 전경<사진=김정식 기자>
경남 산청군은 2026년 예산 9253억을 편성해 군의회에 제출했다.

군은 극한호우와 산불 피해 회복을 위해 2916억을 반영해 예산 규모가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올해보다 2750억 확대되며 산청 예산은 처음으로 9000억을 넘어섰다.

산청 예산은 크게 국도비 보조금 5142억과 지방교부세 2542억이 중심이다.



군 자체수입은 586억이며 주민 세금과 수수료가 포함된다.

담당자는 "인구가 적은 지역은 교부세가 핵심 재원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예산이 늘어난 가장 큰 원인은 복구비 2916억이다.

이 금액은 집중호우와 산불 피해를 복구하기 위한 국가 지원이며 군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큰 규모다.

군민은 이 복구비가 도로, 하천, 마을 기반 정비에 단계적으로 반영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군은 예산 대부분을 생활 기반 강화에 투입한다.

농림·해양·수산 분야에는 1828억이 편성돼 농업 기반 확충에 집중한다.

복지와 교육 분야는 경로당 기능보강 11억과 평생학습 프로그램 4.2억이 포함된다.

청년과 인구 분야에는 청년몰 조성 3.5억과 인구정책지원 3.8억이 반영됐다.

청소년 교육지원 1.6억과 자유공간 조성 1.8억도 이어진다.

담당자는 "젊은 세대가 지역에서 생활 기반을 찾도록 돕는 사업들"이라 설명했다.

관광과 문화·체육 분야에는 파크골프장 조성 33억과 생초 축구센터 28억이 포함된다.

캠핑장 조성 2억과 행복문화센터 31억도 예산에 반영됐다.

군은 관광 기반 정비가 지역 방문 증가로 이어지길 기대하며 기반 공사를 준비 중이다.

환경 분야는 하수도 확충 215억과 상수도 확장 120억이 편성됐다.

소각시설 사업비는 8.6억이며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연차 계획이 이어진다.

군은 생활환경 기반 정비를 통해 군민 생활 편의가 향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농업 분야는 농업인수당 55억과 시설원예 지원 28억이 중심이다.

농기계 공급 11억과 단성 농기계임대사업소 신축 20억도 포함된다.

담당자는 "현장 의견을 반영해 농업 기반을 꾸준히 보완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청군은 회복과 성장 기반을 한 단계씩 채워가는 방식으로 예산을 구성했다.

준비된 기반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 단단한 산청을 만든다.
산청=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대전만 없는 `공립형 대안학교`… 학교설립 공약 끝내 실패

대전만 없는 '공립형 대안학교'… 학교설립 공약 끝내 실패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10여년 숙원이었던 공립형 대안학교 설립 공약이 결국 이행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지 확보에 오랜 시간을 소모했지만 끝내 추진에 실패하면서 차기 교육감의 과제로 넘어가게 됐다. 20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올 초까지 추진했던 유성구 복용동 설립이 결국 무산됐다. 당초 AI 특성화 대안학교를 설립하려던 계획이었지만 교육부가 1월 중앙투자심사에서 대안교육 중심의 학교 설립을 주문하면서 제동을 걸었다. 대안학교 성격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자 교육청은 주민 설득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다른 부지를 알아보겠다고 물러..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